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LAB DATA
4. Medication
5. 간호과정
2. 간호력
3. LAB DATA
4. Medication
5. 간호과정
본문내용
치료법에 대한 지각 / 지식 -
알고자하는 정보 -
학력 초등학교졸업(읽고 쓰기능력 가능)
기억력 : 정상 √ 비정상 -
(8) 감정
안위
통증/불편감 : 유 √ 무 _____
부위 복부 양상 불규칙적
완화요인 진통제 투약 √
정서상태
최근의 스트레스 사건 -
표현되는 느낌 -
신체적 증상 -
기타 : 음주습관 -
흡연습관 -
정서상태 평가 : 안정 √ 측정불가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III. Medication
* 수술 날짜는 9월 13일 이였고, POTENAMIN 약물은 수술 전에 사용함.
약명
투여
기간
효능 효과
부작용
주의사항
PAMISOL 500ml/BTL
(Aminoacetic Acid)
9/3~
9/12
뇌기능 손상(뇌질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중증의 간기능 장애(간부전)시, 간성혼수 치료시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빈맥, 오한, 발열, 삼투압 이뇨 및 탈수증, BUN상승 등
고도의 산증 환자, 울혈성중증 심부전, 나트륨 저류로 인한 부종 환자, 고칼륨혈증, 칼륨 저류환자 등
HUMULIN R INJ. 10ml/V
(휴먼인슐린유전자재조합)
9/3~
9/13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간기능이상, 전신부종, 가려움, 발진, 심계항진, 정신장애, 구토, 졸림, 케톤산증, 두드러기, 지방이영양증
고령자 및 소아, 알콜 남용 환자, 체중 감소자, 심한 간 또는 신기능 장애 환자, 뇌하수체 또는 부신기능 부전상태
POTENAMIN INFU (Aminoacetic Acid)
9/11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발진, 구역, 구토, 혈압상승, 빈맥, 오한, 발열, 산증, 호흡정지, 쇽, 기관지 경축, 간부전 및 신부전 환자는 BUN의 상승 등
고도의 산증 환자, 울혈성 심부전 환자, 나트륨 저류로 인한 부종 환자, 고칼륨혈증, 칼륨저류가 있는 환자, 간장애, 신장애 환자 등
9/11
9/12
9/13
p.m 14:00
172
160
166
p.m 18:00
165
152
157
*환자 혈당
IV. LAB Data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WBC
4~10 *103/ul
5.03
정상
RBC
4.2~6.3*106
4.29
정상
Hgb
13~17g/dl
14.1
정상
Hct
39~52%
40.7
정상
MCV
79~95 μ3
94.9
정상
MCH
26~32pg
↑32.9
증가 :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은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 수치를 의미하고, 이것은 거대성 적혈구인 경우에 증가하지만, 임상적 의미는 없다.
MCHC
32~36g/dl
34.6
정상
RDW
11.9~14.5
13.6
정상
HDW
2.2~3.2
2.3
정상
PLT
130~400*103
182
정상
MPV
9.4~12.6
9.9
정상
PDW
9.8~16.1
11.6
정상
LYMPH
20~51
41.0
정상
MONO
1.7~9.3%
↑12.5
증가 : 백혈구 종류중에 단핵구를 말하는 것으로 단핵구의 증가는 혈액질환, 감염증, 악성종양이 있을 때 등등 증가한다.
EOSINO
1~4
2.4
정상
NEUTRO
42~75
43.9
정상
(1) Hematology
(2) Urinalysis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S.G
1.005-1.03
1.015
정상
pH
4.5-8
6.0
정상
color
Amber yellow
yellow
정상
Turbidity
Clear
Clear
정상
Ketones
(-)
(-)
정상
Bilirubin
(-)
(-)
정상
Occult Blood
(-)
(+/-)
정상
Nitrite
(-)
(-)
정상
Urobilirubin
(-)
(-)
정상
Protein
(-)
(-)
정상
Glucose
(-)
(2+)
증가 : 1차성 당뇨병, 2차성 당뇨병(만성 췌장염), Glucagonoma, 갑상선기능항진증, 쿠싱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등.
RBC
0-1
1-4
WBC
0-1
1-4
(3) Blood Chemistry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Albumine
3.4-4.8 ㎎/㎗
4.0
정상
A.S.T.
4-37
40
증가↑
: 간암, 간경화에 의한 간기능 배설장애
A.L.T.
4-41
39
정상
CRP
0-0.5
0.17
정상
LDH
240-480
394
정상
B.U.N.
6-20
14.5
정상
Creatinine
0.7-1.2
0.83
정상
CK
26-174
38
정상
Na
136-145
141
정상
K
3.5-5.1
4.6
정상
Cl
98-107
106
정상
Bilirubin, total
0.2-1.2
0.47
정상
(4) 지혈시간감소
검사
정상치
결과
임상적 의의
9/2
PT (prothrombine time)
9-13sec
11.7
정상
APTT
25~37sec
30.5
정상
* 검사 결과도 첨부하려고 했는데, 환자가 퇴원한지 일주일이 넘어서 등록번호로 찾아보려 했지만, 등록번호로 퇴원한 환자의 정보를 알아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서 첨부하지 못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V. 간호과정
#1 복부의 통증
주관적 자료
①“배가 너무 아파요.”
②“아파서 잠도 못 자겠고, 너무 힘들어.”
객관적 자료
① 종종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며 기운이 없어 보임.
② 진통제를 요구함.
③ 10점 척도로 사정했을 때 7점 측정됨.
간호진단 : 종양과 관련된 복부의 통증
간호목표
① 복부 통증이 완화된다.
② NRS 3점 이하로 측정된다.
계획 및 수행(중재)
① 통증 척도(NRS)를 사정함.
② 통증의 강도와 특성을 표현하도록 함.
③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함.
④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함.
간호평가 : 통증은 10점 만점에 3점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날이 지날수록 진통의 강도와 횟수가 잦아지고 그에 따라 진통제의 투여 횟수도 하루 1~2회로 투여되었다. 밤에 자지 못한 수면을 조금씩 취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II, 이영희 외, 정담미디어
생리학, 박인국, 라이프사이언스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성미혜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 I,II, 송경애 외, 현문사
알고자하는 정보 -
학력 초등학교졸업(읽고 쓰기능력 가능)
기억력 : 정상 √ 비정상 -
(8) 감정
안위
통증/불편감 : 유 √ 무 _____
부위 복부 양상 불규칙적
완화요인 진통제 투약 √
정서상태
최근의 스트레스 사건 -
표현되는 느낌 -
신체적 증상 -
기타 : 음주습관 -
흡연습관 -
정서상태 평가 : 안정 √ 측정불가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III. Medication
* 수술 날짜는 9월 13일 이였고, POTENAMIN 약물은 수술 전에 사용함.
약명
투여
기간
효능 효과
부작용
주의사항
PAMISOL 500ml/BTL
(Aminoacetic Acid)
9/3~
9/12
뇌기능 손상(뇌질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중증의 간기능 장애(간부전)시, 간성혼수 치료시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빈맥, 오한, 발열, 삼투압 이뇨 및 탈수증, BUN상승 등
고도의 산증 환자, 울혈성중증 심부전, 나트륨 저류로 인한 부종 환자, 고칼륨혈증, 칼륨 저류환자 등
HUMULIN R INJ. 10ml/V
(휴먼인슐린유전자재조합)
9/3~
9/13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간기능이상, 전신부종, 가려움, 발진, 심계항진, 정신장애, 구토, 졸림, 케톤산증, 두드러기, 지방이영양증
고령자 및 소아, 알콜 남용 환자, 체중 감소자, 심한 간 또는 신기능 장애 환자, 뇌하수체 또는 부신기능 부전상태
POTENAMIN INFU (Aminoacetic Acid)
9/11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발진, 구역, 구토, 혈압상승, 빈맥, 오한, 발열, 산증, 호흡정지, 쇽, 기관지 경축, 간부전 및 신부전 환자는 BUN의 상승 등
고도의 산증 환자, 울혈성 심부전 환자, 나트륨 저류로 인한 부종 환자, 고칼륨혈증, 칼륨저류가 있는 환자, 간장애, 신장애 환자 등
9/11
9/12
9/13
p.m 14:00
172
160
166
p.m 18:00
165
152
157
*환자 혈당
IV. LAB Data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WBC
4~10 *103/ul
5.03
정상
RBC
4.2~6.3*106
4.29
정상
Hgb
13~17g/dl
14.1
정상
Hct
39~52%
40.7
정상
MCV
79~95 μ3
94.9
정상
MCH
26~32pg
↑32.9
증가 :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은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 수치를 의미하고, 이것은 거대성 적혈구인 경우에 증가하지만, 임상적 의미는 없다.
MCHC
32~36g/dl
34.6
정상
RDW
11.9~14.5
13.6
정상
HDW
2.2~3.2
2.3
정상
PLT
130~400*103
182
정상
MPV
9.4~12.6
9.9
정상
PDW
9.8~16.1
11.6
정상
LYMPH
20~51
41.0
정상
MONO
1.7~9.3%
↑12.5
증가 : 백혈구 종류중에 단핵구를 말하는 것으로 단핵구의 증가는 혈액질환, 감염증, 악성종양이 있을 때 등등 증가한다.
EOSINO
1~4
2.4
정상
NEUTRO
42~75
43.9
정상
(1) Hematology
(2) Urinalysis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S.G
1.005-1.03
1.015
정상
pH
4.5-8
6.0
정상
color
Amber yellow
yellow
정상
Turbidity
Clear
Clear
정상
Ketones
(-)
(-)
정상
Bilirubin
(-)
(-)
정상
Occult Blood
(-)
(+/-)
정상
Nitrite
(-)
(-)
정상
Urobilirubin
(-)
(-)
정상
Protein
(-)
(-)
정상
Glucose
(-)
(2+)
증가 : 1차성 당뇨병, 2차성 당뇨병(만성 췌장염), Glucagonoma, 갑상선기능항진증, 쿠싱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등.
RBC
0-1
1-4
WBC
0-1
1-4
(3) Blood Chemistry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9/2
Albumine
3.4-4.8 ㎎/㎗
4.0
정상
A.S.T.
4-37
40
증가↑
: 간암, 간경화에 의한 간기능 배설장애
A.L.T.
4-41
39
정상
CRP
0-0.5
0.17
정상
LDH
240-480
394
정상
B.U.N.
6-20
14.5
정상
Creatinine
0.7-1.2
0.83
정상
CK
26-174
38
정상
Na
136-145
141
정상
K
3.5-5.1
4.6
정상
Cl
98-107
106
정상
Bilirubin, total
0.2-1.2
0.47
정상
(4) 지혈시간감소
검사
정상치
결과
임상적 의의
9/2
PT (prothrombine time)
9-13sec
11.7
정상
APTT
25~37sec
30.5
정상
* 검사 결과도 첨부하려고 했는데, 환자가 퇴원한지 일주일이 넘어서 등록번호로 찾아보려 했지만, 등록번호로 퇴원한 환자의 정보를 알아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서 첨부하지 못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V. 간호과정
#1 복부의 통증
주관적 자료
①“배가 너무 아파요.”
②“아파서 잠도 못 자겠고, 너무 힘들어.”
객관적 자료
① 종종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며 기운이 없어 보임.
② 진통제를 요구함.
③ 10점 척도로 사정했을 때 7점 측정됨.
간호진단 : 종양과 관련된 복부의 통증
간호목표
① 복부 통증이 완화된다.
② NRS 3점 이하로 측정된다.
계획 및 수행(중재)
① 통증 척도(NRS)를 사정함.
② 통증의 강도와 특성을 표현하도록 함.
③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함.
④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함.
간호평가 : 통증은 10점 만점에 3점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날이 지날수록 진통의 강도와 횟수가 잦아지고 그에 따라 진통제의 투여 횟수도 하루 1~2회로 투여되었다. 밤에 자지 못한 수면을 조금씩 취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II, 이영희 외, 정담미디어
생리학, 박인국, 라이프사이언스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성미혜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 I,II, 송경애 외, 현문사
추천자료
통증이란?
통증에 대해서
ADHD(과잉행동장애)의 치료 방법에 대하여
통증관리
통증클리닉에서 신경차단의 의미
통증과 통증간호
암(정의,원인,종류,증상,치료,예방,식이요법)
에이즈(AIDS)의 개념, 에이즈(AIDS)감염경로, 에이즈(AIDS)증상과 에이즈(AIDS)의 현황, 에이...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개념,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원인과 종류, 간경변(간경화,...
케이스 스터디 - 간세포 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알코올성 간경변 Alcoholic LC ...
‘오십견’타파하기_정의(현대의학,한의학),원인(유발 요인 5가지),증상(통증기,경직기)
스포츠 의학 - 햄스트링 손상과 치료
폐암(폐 편평상피세포암) 간호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