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신화, 연휴, 축제(마츠리, 마쯔리), 무역, 국회]일본의 일반적 사항, 일본의 위치, 일본의 신화, 일본의 연휴, 일본의 축제(마츠리, 마쯔리), 일본의 무역, 일본의 국회, 일본의 아시아주의, 일본의 자위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신화, 연휴, 축제(마츠리, 마쯔리), 무역, 국회]일본의 일반적 사항, 일본의 위치, 일본의 신화, 일본의 연휴, 일본의 축제(마츠리, 마쯔리), 일본의 무역, 일본의 국회, 일본의 아시아주의, 일본의 자위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본의 일반적 사항
1. 위치
2. 면적
3. 수도
4. 정체
5. 공용어
6. 통화
7. 나라꽃

Ⅲ. 일본의 위치

Ⅳ. 일본의 신화
1. 창세 신화
2. 이사나기 이사나미
3. 황천국
4. 천조대어신과 수좌지남명
5. 대국주신 이후

Ⅴ. 일본의 연휴
1. 대형 연휴와 비공식 연휴
2. 대체 휴일

Ⅵ. 일본의 축제(마츠리, 마쯔리)

Ⅶ. 일본의 무역

Ⅷ. 일본의 국회
1. 양원제
2. 양원의 내부기관
1) 의장(부의장)
2) 위원회

Ⅸ. 일본의 아시아주의

Ⅹ. 일본의 자위대
1. 자위대의 개념
2. 자위대의 설립배경
3. 자위대의 규모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원제를 채택하게 하였다. 그러나 일본에서 채택된 양원제도는 양원 모두 국민들의 직접선거로서 의원들을 선출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였으므로 제2원의 차별성 부각이 문제되어 제도적인 측면에서 참의원은 중의원과는 임기 운영방법 피선거권 의원선출 등에 차이를 두었다.
그러나 현재 일본의 참의원의 중의원에 대한 견제 기능보다는 신중한 심의 진행의 측면에서만 찾아 볼 수 있다.
중의원과 참의원은 각각 독립해서 조직되고 자율적으로 활동한다. 그러나 그 권한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2. 양원의 내부기관
1) 의장(부의장)
議院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법적 정치적으로 강력한 권한행사가 보장되고 있다. 의장이 r지는 법적 권한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내의 질서유지 사무국 감독 본회의 개회 및 의사일정의 작성 공청회의 승인 그리고 본회의에서 표결이 可否同數가 되었을 경우 캐스팅 보트의 행사 등을 들 수 있다. 정치적으로도 의장은 여야당이 격렬하게 대립할 경우 조정 알선 재정 등의 형태로 중재에 나서며 각 당은 의장의 이러한 역할을 존중하는 것이 보통이다
2) 위원회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의 두 종류가 있다. 상임위원회는 중의원과 참의원에 각각 17개씩 설치되어 있다. 특별위원회는 상임위원회의 소관에 속하지 않는 특별한 안건을 처리하거나 원에서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설치된다. 각 위원회의 운영은 이사회에서 결정되어 시나리오대로 움직이는 것이 보통이다. 이사회는 위원장과 주요 정당별로 배분된 이사들로 구성되며 위원회가 개최되기 전에 미리 회의를 열어 위원회에서 논의도리 안건 순서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결정한다. 이사회의 운영은 관례적으로 여야당 간의 합의에 의한 만장일치가 원칙이지만 만일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에는 위원장에게 그 결정을 위임한다.
Ⅸ. 일본의 아시아주의
전전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아시아주의 개념들이 등장하였다. 첫째, 일본이 가능한 한 빨리 구미열강들을 따라잡아 근대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근대화에 뒤쳐진 아시아와의 관계를 차단(遮斷)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탈아론(脫亞論)이 있었다. 이러한 주장은 초기 메이지정부 지도자들, 즉,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등에 의해 제기되었다.
둘째, 일본맹주론(日本孟主論)은 구미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신속히 아시아를 일본의 지배 하에 둔다는 사고였다. 메이지유신 지도자들의 사상적 스승이었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에 의해 주창되었고, 그 후 1873년 정한론(征韓論)을 주장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 이타타게 다이스케(板垣退助)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일본맹주론은 1930년대 나타난 대아시아주의의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셋째, 아시아연대론은 구미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동아시아국가들과 연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고였다. 아시아연대론은 자유민권운동을 이끌었던 민권파(民權派) 인사들에 의해 주로 제기되었다. 고노 히로나카(河野廣中), 우에키 에모리(植木枝盛), 나카에 초민(中江兆民), 다루이 도키치(樽井吉), 오이 겐다로(大井憲太郞) 등이 아시아연대론의 대표적인 주창자들이었다.
마지막으로, 대아시아주의는 일본맹주론과 아시아연대론이 국수주의적 대일본주의 사상과 결합된 것으로서, 일본이 서구열강들에 대항해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는 대륙으로 팽창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인들을 서양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고, 아시아인들의 번영과 평화를 달성하는 것이 일본의 고귀한 의무라고 보는 주장이었다. 1930년대 이후 일본 군부지도자, 현양사(玄洋社), 흑룡회(黑龍會) 등과 같은 민간 극우단체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전전 일본의 아시아주의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정체성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전전 일본의 동아시아 정체성은 서구열강들과의 관계의 변화에 따라 탈아론에서 일본맹주론과 아시아연대론, 1930년대에 들어서서는 대아시아주의라는 개념으로 변화하게 된다. 아시아주의는 다양한 개성(個性)을 지닌 하나의 큰 사조(思潮)로 나타났기 때문에, 어떤 특정 인물이나 단체에 의해서 주도되었던 독립해서 존재하는 사상은 아니었다(竹內好編 1977, 14). 다만, 아시아주의적 관념들 사이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장은 구미열강의 동아시아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동아시아 민족들은 단결연대해야 한다는 것과 이러한 아시아 민족들의 단결은 일본의 지도력 하에 이루어져야 한 것이었다.
Ⅹ. 일본의 자위대
1. 자위대의 개념
◇어떠한 전력도 보유하지 않고 국가의 교전권 역시 인정하지 않는다. - 평화헌법 9조-
◇이러한 헌법에 맞춰 만들어진 사실상의 일본 군대
◇명목상으로는 군대가 아니어서 자위대원은 군법에 적용되지 않고 민법의 적용을 받는다. 또한 최고 지휘권은 총리대신이 통상업무는 방위장관이 가진다.
2. 자위대의 설립배경
◇한국전쟁 발발로 인한 일본의 치안공백을 메우기 위해 맥아더원수가 1950년 7월 8일 7만 5천명의 경찰 예비대 창설요청.
◇이에 의해 8월 10일 보병 4개 사단규모로 탄생하게 된 것이 자위대 창설의 시발점이 되었다.
-52년 해안보안대를 통합하여 보안 청 설치, 미일 안보조약
-54년 방위청 설립, 자위대설치법 통과
-56년 자위대 창설
3. 자위대의 규모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군비
-육상자위대-약15만 명 5개방면대와 13개 사단
전차1130대 장갑차730대 대전차 헬기84기
-해상자위대 약 42000명 5개 자위함대와 5개지방대
이지스함4척 호위함60척 잠수함16척
대잠초계기 양륙형대형수송함 98대
-항공자위대 약 46000명
전폭기370대 정찰기23대 조기경보기13대
참고문헌
구정호, 고대일본인의 상상력을 통해 본 일본신화 : 고대 한·일 교류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국회사무처, 일본국회개관, 대한민국국회, 1956
산실신일 외 1명, 일본의 아시아주의와 아시아 학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5
신경식, 일본의 자위대관련 법제정비와 방위정책 전망, 경원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3
임천석 외 1명, 일본의 무역구조와 통상정책의 변화, 한국일본학회, 2004
황달기, 일본의 축제와 지역사회, 제이앤씨, 2011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