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 퇴적사, 퇴적물오염, 퇴적물환경기준, 퇴적구조]퇴적과 퇴적사, 퇴적과 퇴적물오염, 퇴적과 퇴적물환경기준, 퇴적과 퇴적구조, 퇴적과 탄성파층서이론, 퇴적과 공룡발자국, 퇴적과 초등학교탐구활동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적, 퇴적사, 퇴적물오염, 퇴적물환경기준, 퇴적구조]퇴적과 퇴적사, 퇴적과 퇴적물오염, 퇴적과 퇴적물환경기준, 퇴적과 퇴적구조, 퇴적과 탄성파층서이론, 퇴적과 공룡발자국, 퇴적과 초등학교탐구활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퇴적과 퇴적사
1. 퇴적분지의 형성
2. 후기마이오세 또는 플라이오세 퇴적층(Sequence D)
3. 전기 제4기 또는 플라이오세 퇴적층(Sequence C)
4. 후기 제4기 퇴적층(Sequence B)
5. 현세 퇴적층(sequence A)

Ⅱ. 퇴적과 퇴적물오염

Ⅲ. 퇴적과 퇴적물환경기준
1. 국내의 퇴적물 환경기준
2. 국외의 퇴적물 환경기준
1) 미국
2) 캐나다
3) 일본
4) 네덜란드

Ⅳ. 퇴적과 퇴적구조

Ⅴ. 퇴적과 탄성파층서이론

Ⅵ. 퇴적과 공룡발자국
1. 공룡발자국의 관찰
2. 공룡발자국화석층의 퇴적 특징

Ⅶ. 퇴적과 초등학교탐구활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된 층서들로부터 제4기층서를 이해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종합적인 해석에 의한 체계적인 층서구분이 필요하였다.
Ⅵ. 퇴적과 공룡발자국
1. 공룡발자국의 관찰
의성군 금성면 만천리에서 보여주는 공룡발자국 화석은 다른 곳에 비하여 규모는 작으나(가로 약 6m, 세로 약 11m)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발자국이 찍힌 곳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해남의 우항리에서 보는 것처럼 별모양으로 다섯 개의 조각 또는 네 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발톱의 흔적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조각류의 보행렬은 5개가 나타나는데 발자국이 가장 뚜렷한 것은 C열로 특히 C4는 3개의 발톱이 선명히 드러나며 길이는 23.5cm, 폭은 21.5cm, 깊이는 3.8cm이다. 발자국이 아주 큰 용각류의 보행렬은 앞발자국은 발톱의 흔적이 없는 원형의 발자국으로 뒷발의 뒤쪽에 찍혀 있으며, 뒷부분에 오목한 부분이 있어 말 발굽의 모양이고 앞발자국의 깊이가 뒷발자국보다 깊다. 이렇게 좁은 지역에 많은 종류가 나타나며 보행렬의 방향도 일정하지 않아서 용각류는 서쪽방향으로, 조각류는 서쪽, 남쪽, 동쪽으로, 새끼 공룡의 발자국은 북쪽 등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새끼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된 것은 우리 나라에서 아직 이곳 밖에 없으며, 다른 곳에 비하여 자국이 뚜렷하다. 이들 발자국의 보행렬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공룡발자국화석층의 퇴적 특징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지역 퇴적층의 두께는 20여cm 정도로 얇은 층이 발달한 담자색의 세립사암과 실트스톤, 이암으로 구성되어있다. 세립사암과 실트스톤을 구성하는 입자들은 주로 석영질이고 교질광물은 대부분 방해석이며 공룡발자국이 나타나는 곳은 이암질 표면이다. 연흔은 국부적으로 관찰되는데, 대부분 파랑연흔으로 파장은 약 5cm 정도이고 파고는 1cm 내외이며, 연장선의 굴곡은 미약한 편이다. 이암층에는 건열이 흔히 발견되는데 대부분 다각형상이고 폭은 3~5mm 정도로 수직층리가 관찰되며, 공룡발자국에 나타난 건열의 경우 발자국 표면에 건열이 발달되어 있어 이암층 표면 위에 발자국이 찍힌 후 건열이 형성되었음을 지시하여 준다.
Ⅶ. 퇴적과 초등학교탐구활동
초등학교의 학생들에게 야외학습은 자연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만져서 조작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또 그 기회를 통하여 원리와 내용이 학생의 마음에서 감각화한다는 의미에서, 즉 hands-on 측면과 minds-on 측면에서 그 의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자연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도 부합하고 있다(교육부, 1992). 학생들은 실제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할 때 탐구할 기회가 생기며 이를 통하여 자연을 이해하고 마음속으로 느끼게 되는 탐구능력이 길러진다. 이렇게 자연과 경험으로 얻은 탐구태도나 능력은 일상생활로 전이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정완호 등, 1996)고 한다.
이러한 야외 질답사는 여러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습할 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Mckenzie et al., 1986),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학생의 탐구기능을 향상시키며 관찰내용과 개념간의 이해가 강화(Zielinski, 1987)된다. 그리고 야외답사는 새로운 교육의 장소이기도 하며 학생의 오개념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Pederson, 1978; Manner, 1995)는 점이다. 박진홍 등(2000)도 야외답사는 지구과학 교육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으로서 지질학 내용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야외활동이 중요한 점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인식되어 왔으며, 초등학교 6차 교육과정처럼 7차 교육과정에서도 과학교과는 야외에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 공원, 놀이동산, 박물관같은 정형화한 시설외에는 야외활동을 간과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서 야외활동을 어디에서 언제, 얼마나, 어떻게 할 것이냐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울 때 마주치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약 여건들을 들고 있다. 즉 학교 관리자의 지원측면, 운영시간, 학습장의 개발, 학습자료의 구비, 교사의 이해부족(홍정수와 장남기, 1997; Mckenzie et al., 1986) 등 다방면에서 제약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약을 벗어나는 한 가지는 연구자들이 많은 야외 학습장을 개발하고, 그에 관한 탐구자료를 개발하여 관련자료를 학교의 현장에 널리 보급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야외활동에 대한 인식이 넓어지면서 현실적 제약이 조금씩 완화될 수 있는 여건이 된다고 생각한다.
오래전부터 초등학교 수준에서도 지층과 암석에 대한 야외학습을 조장하기 위하여 학습장을 개발하여 왔다(김중욱과 김재경, 1989; 김혜경 등, 1994; 김중욱 등, 1997, 김중욱, 2000). 최근에는 지질탐사에 관한 안내자료(박정웅 등, 2000)도 발간되어 있다. 현재는 교육과정에서 야외학습을 하기 위한 기회가 학교현장에서 많아지면서 야외학습장의 이용에 필요한 탐구학습 또는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도 하다. 이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초등학생에게 지층에 대한 탐구활동의 수준은 어느 정도가 적절한가? 또 그들은 활동에서 지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생겼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자료가 축적될 때 야외지층 답사에 대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학습장의 소프트웨어격인 적절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많이 갖춰질 때 학교현장은 야외에 있는 학습장에 더욱 친근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김은정(2009), 남해 대륙붕 도미분지의 탄성파층서와 지구조운동, 경북대학교
▷ 김상현(2012), 수계환경 중 오염 퇴적물의 재활용을 위한 고형화 연구, 경희대학교
▷ 이종현(2005), 저서 단각류를 이용한 퇴적물 생물검정과 퇴적물 환경기준, 규장각한국학연구소
▷ 이윤화 외 1명(2005), 영종북 갯벌의 퇴적 구조, 대한지리학회
▷ 장성재(2011), 한반도 수각류 공룡발자국의 형태학적 특징, 전남대학교
▷ 황인걸 외 1명(1993), 덕성 선상지 삼각주의 층형,퇴적작용 및 퇴적사, 대한지질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