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감염경로
Ⅲ.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정의
Ⅳ.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유형
1. 일반 바이러스
2. 부트 바이러스
3. 매크로 바이러스
4. 윈도우즈 바이러스
5. 웜
6. 트로이 목마
7. 백도어 프로그램
8. 가짜 바이러스(Hoax)
Ⅴ.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예방방법
Ⅵ.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백신프로그램
Ⅶ.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백업
Ⅷ.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부팅디스켓
1. 부팅 디스켓 준비
2. 백신 프로그램 복사
3. 주요 파일 복사
4. 쓰기방지 탭
5. 주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6. 조심할 날짜
참고문헌
Ⅱ.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감염경로
Ⅲ.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정의
Ⅳ.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유형
1. 일반 바이러스
2. 부트 바이러스
3. 매크로 바이러스
4. 윈도우즈 바이러스
5. 웜
6. 트로이 목마
7. 백도어 프로그램
8. 가짜 바이러스(Hoax)
Ⅴ.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예방방법
Ⅵ.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백신프로그램
Ⅶ.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백업
Ⅷ.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부팅디스켓
1. 부팅 디스켓 준비
2. 백신 프로그램 복사
3. 주요 파일 복사
4. 쓰기방지 탭
5. 주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6. 조심할 날짜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일의 사태는 일어난다. 갑자기 컴퓨터가 다운된다거나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도 걱정 없이 데이터를 지키는 방법은 없을까? 혹시 일어날지 모를 데이터 손실에 대비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을 백업이라고 한다.
PC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백업 기능을 이용해서 바이러스나 해킹에 의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잃어버려도 다시 복구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백업이란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복사하여 플로피디스크이나, CD 콤팩트디스크 등과 같은 미디어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손실 및 파괴에 대비한 완벽한 데이터 복구 방법이다.
Ⅷ.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부팅디스켓
바이러스나 컴퓨터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첫 번째로 할 일은 부팅 디스켓을 만드는 것이다. 부팅 디스켓은 바이러스 대비책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부팅 디스켓은 윈도우의 시동 디스크 작성 기능을 이용해 생성할 수 있지만, 가급적 도스 모드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도록 한다. 부팅에 필요한 파일만을 모아 작성하는 데에는 이 방법이 보다 편리하다.
1. 부팅 디스켓 준비
우선 부팅 디스켓으로 만들 깨끗한 디스켓을 준비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A 드라이브가 3.5인치이므로 3.5인치 디스켓으로 한다. 포맷되어 있는 디스켓이면 그냥 \'sys a:\'로, 포맷되지 않은 디스켓이면 \'format a:/s\' 명령을 실행한다.
2. 백신 프로그램 복사
부팅이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면 최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을 디스켓에 복사한다. 백신 프로그램들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서로의 보완을 위해 두 세 개 정도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주요 파일 복사
\'C:\\WINDOWS\\COMMAND\'폴더에 있는 FDISK.EXE, SCANDISK.EXE,
FORMAT.COM, SYS.COM 등의 파일을 디스켓에 복사한다.
4. 쓰기방지 탭
모든 과정을 마쳤으면 쓰기방지 탭을 붙여둔다. 혹시 실수로 디스켓이 감염될지도 모르므로 아예 어떤 정보도 기록할 수 없도록 쓰기를 막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디스켓은 디스켓을 이용해 정기적으로 하드 디스크를 진단한다.
진단 시에는 반드시 디스켓으로 부팅 해야 한다. 만약 하드 디스크가 감염되어 있는 상태라면, 이 곳에서 백신 프로그램을 실행해봤자 오히려 백신 프로그램이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5. 주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최신의 바이러스 검색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만약 바이러스에 걸린 것이 확실하다면, 실행 파일이 아닌 다른 파일에 숨어있을지도 모를 바이러스들을 찾아내야 하므로 모든 파일을 다 검색하도록 한다. 모든 파일을 다 검사하는 명령은 V3나 TV의 실행 끝에 \'/a\'를 붙여주면 된다.
6. 조심할 날짜
치명적인 바이러스들이나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바이러스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여러 기업이나 공공단체의 전산망들은 특정 날짜에는 아예 시스템을 켜지 않든가, CMOS에서 날짜를 조정해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동원하기도 한다. 대개의 바이러스들은 특정한 날짜를 기해 기지개를 켜므로 주의하기 바란다.
참고문헌
* 박학수 외 2명(1990), 컴퓨터 바이러스와 소프트웨어 에러의 비교연구, 한국정보과학회
* 송은지(2011), 효율적인 디스크 백업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 안철수(1999), 컴퓨터 바이러스와 정보화, 대한민국국회
* 안철수(2000), 컴퓨터 바이러스의 특징과 예방 대책, 한국공학교육학회
* 이기승(1991), 컴퓨터 바이러스, 한국철도기술협력회
* 황규범(2000), 컴퓨터 바이러스 진단법 연구, 한국정보통신대학교
PC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백업 기능을 이용해서 바이러스나 해킹에 의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잃어버려도 다시 복구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백업이란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복사하여 플로피디스크이나, CD 콤팩트디스크 등과 같은 미디어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손실 및 파괴에 대비한 완벽한 데이터 복구 방법이다.
Ⅷ.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와 부팅디스켓
바이러스나 컴퓨터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첫 번째로 할 일은 부팅 디스켓을 만드는 것이다. 부팅 디스켓은 바이러스 대비책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부팅 디스켓은 윈도우의 시동 디스크 작성 기능을 이용해 생성할 수 있지만, 가급적 도스 모드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도록 한다. 부팅에 필요한 파일만을 모아 작성하는 데에는 이 방법이 보다 편리하다.
1. 부팅 디스켓 준비
우선 부팅 디스켓으로 만들 깨끗한 디스켓을 준비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A 드라이브가 3.5인치이므로 3.5인치 디스켓으로 한다. 포맷되어 있는 디스켓이면 그냥 \'sys a:\'로, 포맷되지 않은 디스켓이면 \'format a:/s\' 명령을 실행한다.
2. 백신 프로그램 복사
부팅이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면 최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을 디스켓에 복사한다. 백신 프로그램들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서로의 보완을 위해 두 세 개 정도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주요 파일 복사
\'C:\\WINDOWS\\COMMAND\'폴더에 있는 FDISK.EXE, SCANDISK.EXE,
FORMAT.COM, SYS.COM 등의 파일을 디스켓에 복사한다.
4. 쓰기방지 탭
모든 과정을 마쳤으면 쓰기방지 탭을 붙여둔다. 혹시 실수로 디스켓이 감염될지도 모르므로 아예 어떤 정보도 기록할 수 없도록 쓰기를 막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디스켓은 디스켓을 이용해 정기적으로 하드 디스크를 진단한다.
진단 시에는 반드시 디스켓으로 부팅 해야 한다. 만약 하드 디스크가 감염되어 있는 상태라면, 이 곳에서 백신 프로그램을 실행해봤자 오히려 백신 프로그램이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5. 주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최신의 바이러스 검색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만약 바이러스에 걸린 것이 확실하다면, 실행 파일이 아닌 다른 파일에 숨어있을지도 모를 바이러스들을 찾아내야 하므로 모든 파일을 다 검색하도록 한다. 모든 파일을 다 검사하는 명령은 V3나 TV의 실행 끝에 \'/a\'를 붙여주면 된다.
6. 조심할 날짜
치명적인 바이러스들이나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바이러스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여러 기업이나 공공단체의 전산망들은 특정 날짜에는 아예 시스템을 켜지 않든가, CMOS에서 날짜를 조정해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동원하기도 한다. 대개의 바이러스들은 특정한 날짜를 기해 기지개를 켜므로 주의하기 바란다.
참고문헌
* 박학수 외 2명(1990), 컴퓨터 바이러스와 소프트웨어 에러의 비교연구, 한국정보과학회
* 송은지(2011), 효율적인 디스크 백업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 안철수(1999), 컴퓨터 바이러스와 정보화, 대한민국국회
* 안철수(2000), 컴퓨터 바이러스의 특징과 예방 대책, 한국공학교육학회
* 이기승(1991), 컴퓨터 바이러스, 한국철도기술협력회
* 황규범(2000), 컴퓨터 바이러스 진단법 연구,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