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방송, 국제방송 특징, 국제방송 중요성, 위성방송, 한류]국제방송의 특징, 국제방송의 중요성, 국제방송의 현황, 국제방송의 위성방송, 국제방송의 한류, 국제방송의 문제점, 향후 국제방송의 방안(국제방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방송, 국제방송 특징, 국제방송 중요성, 위성방송, 한류]국제방송의 특징, 국제방송의 중요성, 국제방송의 현황, 국제방송의 위성방송, 국제방송의 한류, 국제방송의 문제점, 향후 국제방송의 방안(국제방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제방송의 특징
1. Sidney Head
1) 방송의 편재성(ubiquity)
2) 탐욕성(voracity)
3) 유연성(flexibility)
4) 자발성(voluntariness)
5)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6)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2. 배양효과(버그너 형제가 주장)
3. TV에서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치
4. 사회적 통제 가능성

Ⅲ. 국제방송의 중요성

Ⅳ. 국제방송의 현황

Ⅴ. 국제방송의 위성방송

Ⅵ. 국제방송의 한류

Ⅶ. 국제방송의 문제점
1. 국제방송정책의 부재
2. 법적, 제도적 근거 미비
3. 재원의 불안정
4. 운영상의 문제

Ⅷ. 향후 국제방송의 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총 2000억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을 보면, 방송 프로그램 수출에서 이차적 유통시장의 활용이 수입 방송사의 수익만 늘리는 것이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이차 시장 활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외국 수용자가 자국 방송사를 거치지 않고도 드라마를 볼 수 있도록 하는 DVD, OST CD 등의 직접 수출이나 인터넷 다운로드 환경의 정비가 필요하고, 이런 경우 외국의 수용자들이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더빙, 자막 처리 등을 비롯하여 콘텐츠 가공이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지에서 자발적으로 탄생한 한류 팬클럽을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일본의 한류 팬클럽의 경우, 열성 팬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해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가장 적극적인 한류 드라마의 소비자이며 한류를 확산시킨 주역들이다. 하지만 다양한 열성 팬클럽들이 지속적으로 유지 되는데는 물적, 정보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 저작권 문제 때문에 사진-음원 등의 이용에도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 배용준이나 박용하 등 극히 일부만 매니지먼트사가 일본의 현지 팬을 조직적으로 관리하여 일본에서 콘서트를 여는 등의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타는 현지 팬들에 의한 자발적인 팬클럽에만 의존하는 형편이다.
이들 팬 사이트들에 대해 방송국차원의 조직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콘텐츠 제공, 번역서비스, 한국 기업들의 광고협찬(인터넷광고) 등의 지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송3사 합동으로 한류 드라마 사이트 개설을 통해 외국의 수용자들이 보다 쉽게 한국 드라마와 스타에 대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고려해볼만하다. 아울러 드라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소설이나 캐릭터 상품, 음반 등의 연관 상품들의 개발을 통해 현지 진출을 도모하는 기업들의 마케팅 활동에 방송사가 적극적인 연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Ⅸ. 결론
일반적으로 TV 드라마 장르가 지속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힘을 가지는 것은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의 시청행위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특정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특정 장르의 드라마에 노출되면서 그 장르의 주제나 형식들에 익숙해지고 그에 대한 문화적 취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개별 드라마마다 다소간의 시청률 편차를 보이지만, 장르별로 고정적인 시청층이 형성된다. 이들은 해당 드라마에 대해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더라도 극히 매력적인 대안 프로그램이 없는 한 그 프로그램을 소비하게 된다. 최근 국내에서 방영되고 있는 중국 드라마 <칭기스칸>은 한국 시청자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배우들과 영상,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는 점, 비슷한 시간대의 <프라하의 연인>이 30%에 육박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 등의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12% 내외의 꾸준한 시청률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선전은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앞서 종영된 드라마 <불멸의 영웅 이순신>을 비롯해 오랜 기간 동안 이 시간대의 역사드라마 시청을 통해 이 장르에 대한 취향을 갖고 있는 50대 이후의 장년층 남성 수용자들의 시청관습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TV 시청의 관습은 크게 변화하고 있는 듯하다.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수용자들은 자신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방송사의 편성 시간대와 방영 시기에 얽매이지 않고 인터넷 VOD 서비스 등을 통해 편리한 시간대에 자유자재로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외국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들의 접근성도 훨씬 높아졌고,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1990년대 이후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과 한국의 트렌디드라마가 폭넓게 수용될 수 있었던 이면에는 VCD(Vidoe Compact Disc)의 광범위한 확산과 인터넷의 발달이 있다(Hu, 2004). 이를 통해서 수용자들은 자국의 방송사들이 어떤 프로그램을 수입하는가, 어떤 시기와 어떤 시간대에 방송하는가에 상관없이 외국의 드라마를 생산국 시청자들과 동시에 소비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아울러 VCD, DVD, VOD서비스 등은 방송사들이 일주일에 1회 내지 2회 정도의 분량만을 소화하기 때문에 한 편의 드라마를 끝까지 보는데 몇 달씩 걸렸던 것과 달리 아주 짧은 기간 내에 많은 양의 드라마 소비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새로운 수용의 조건들은 수용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문화적 취향에 맞는 다양한 드라마들을 찾아내고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시청관습에 의존하여 진부하고 상투적인 드라마가 반복되더라도 참을성있게 지켜보았던 충성심 높은 수용자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수용자들의 문화적 취향이 더욱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는 상황에서 최고 시청률의 수치는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대중 정서에 소구하는 국민 드라마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드라마의 해외 유통은 점차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TV, 인터넷 다운로드 등을 통해서 먼저 유통되고 난 다음에 지상파 방송으로 옮겨져 방송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지상파 방송을 거친 프로그램이 위성이나 케이블 TV에서 재방영되는 것과는 정반대다. 따라서 방송 수출에 있어 이제 양국 방송사 간의 거래보다는 자신의 문화적 취향에 맞는 드라마를 해외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찾는 일반 수용자들과의 거래라는 새로운 유통의 통로를 어떻게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인가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강태영(2002), 국제 방송프로그램의 유통구조와 한국 방송프로그램 수출전략, 한국방송학회
ⅱ. 강현두(1996), 국제방송환경과 우리의 정책방향, 한국방송정보협회
ⅲ. 김규완(1991), 국제 방송 센터, 대한설비공학회
ⅳ. 박창희 외 2명(2009), 국제방송기구에 대한 참여와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ⅴ. 유세경 외 2명(2007), 시청자의 개인적 특성과 해외국제방송 시청행태와의 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ⅵ. 한희주(2002), 국제방송 다국어 인터넷서비스의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