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국제수지의 역사
Ⅲ. 국제수지의 소득탄력성
Ⅳ. 국제수지의 적자
Ⅴ. 국제수지의 흑자
Ⅵ. 국제수지의 현황
Ⅶ. 국제수지의 대기성자금지원협약
1. 정책양해
2. 이행기준
Ⅷ. 향후 국제수지의 내실화 방안
1. 구조적 물가안정기조의 정착
2. 경제구조개선을 통한 시장경쟁의 촉진
3. 저축률 제고와 투자효율화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국제수지의 역사
Ⅲ. 국제수지의 소득탄력성
Ⅳ. 국제수지의 적자
Ⅴ. 국제수지의 흑자
Ⅵ. 국제수지의 현황
Ⅶ. 국제수지의 대기성자금지원협약
1. 정책양해
2. 이행기준
Ⅷ. 향후 국제수지의 내실화 방안
1. 구조적 물가안정기조의 정착
2. 경제구조개선을 통한 시장경쟁의 촉진
3. 저축률 제고와 투자효율화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임에 따라 制度的인 측면에서 貯蓄誘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貯蓄率 下落은 성장둔화 및 人口構造의 변화에 주로 기인하였으며, 향후의 人口構造 변화추이를 고려할 때 貯蓄率은 현재보다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 전망이다.
우선 金融貯蓄 增大를 위하여 長期金融貯蓄에 대한 稅制상의 誘因을 擴大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동시에 不動産價格의 급등을 철저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不動産價格의 급등은 資産效果를 통한 소비증가를 유발함으로써 결국 貯蓄率 低下를 초래한다.
이와 함께 중장기적인 貯蓄率 제고를 위하여 현행 國民年金制度의 收支改善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年金에 대한 納入率을 높이거나 年金支給率을 下向調整함으로써 國民年金에 따른 貯蓄率 하락 가능성을 방지해야 한다.
현행 國民年金을 포함한 각종 年金의 경우 가입자가 누릴 수 있는 期待收益率이 시장금리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소비를 증대시키고 저축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民間信託會社에게 연금기금의 운용을 委託하는 등의 年金 民營化 方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행 年金制度의 기본취지인 强制加入의 원칙은 유지하되 가입자에게 年金運用과 관련하여 信託會社 選擇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연금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企業의 投資行態가 합리화될 수 있도록 制度的 여건을 改善함으로써 過剩投資에 따른 國際收支 不均衡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높은 貯蓄率에도 불구하고 國際收支 不均衡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國內投資의 效率性 여부에 대한 檢證이 필요하다.
經濟內의 한정된 投資財源이 投資生産性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배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인 金利自由化를 통하여 金利의 價格機能을 活性化하는 것이 시급하다.
金融産業 內部의 競爭促進을 통하여 금융기관의 自律責任經營과 內部 經營革新을 유도함으로써 수익성과 건전성 위주의 貸出慣行을 定着시켜야 한다.
外部借入에 크게 의존하는 投資資金 調達慣行을 개선하고 기업의 취약한 財務構造를 시정하기 위한 制度的 裝置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 기업의 負債比率은 287%에 달해 주요 경쟁국인 日本과 臺灣에 비해 크게 높은 실정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대만에 비해 거의 2배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金利水準과 취약한 재무구조로 인하여 金融費用負擔率이 日本과 臺灣에 비해 3배 이상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財務構造의 健全度와 低利의 海外借入에 대한 許容與否를 連繫하는 방안을 추진함으로써 財務構造 改善에 대한 유인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投資效率化를 위해서는 企業經營의 透明性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자자들에 의한 企業監視體系(monitoring system)의 확립을 制度的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企業經營情報가 공개되고 會計監査의 公正性이 확보되어야 기업의 방만한 투자결정이 억제될 수 있다.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港灣과 空港 등의 社會間接資本을 확충함으로써 貿易外收支 赤字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運輸서비스 收支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주요 항구의 港灣施設 조기확충 및 附帶서비스 改善 등을 통하여 東아시아 地域의 中心港(Hub port)으로 육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운수항만 서비스의 輸出産業化를 추진해야 한다.
Ⅸ. 결론 및 제언
보호주의로부터 큰 잠재적 이득을 얻을 국내 생산자들과 비조직화된 소비자들 간의 싸움의 결과는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한 다른 국가들의 반응의 예측에 좌우되는데, 이는 보호되는 특정 품목 뿐 아니라 무역에 대한 국가적, 국제적 제한으로부터 파생되는 국제 무역의 보다 광범위한 쟁점들을 수반한다. 보호주의의 시발에 대한 정부의 또 다른 반응은 국가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점과, 또 특수 이익 집단이 그러한 시발에 대해 정부 또는 WTO 같은 국제 기구를 통해 맞대응 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A국가의 수출 제한에 대해 B국가는 상호적 제한을 부과함으로써 A국가의 무역 제한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대응 전략’(Tit-for-tat) 규칙은 A국가로 하여금 보호주의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그러한 Tit-For-Tat 규칙이 일반적 자유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성에 대해서는 의문스럽다. 대체적으로, 국제 무역에 관한 경제적 이론(설명)은 무역의 자유화는 다른 국가가 보복하는 것과 상관없이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 국가에 의한 Tit-For-Tat적 규제는 다른 국가들로 하여금 그들 나름대로 특별한 제한적 규칙을 채택하도록 조장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며, 국제 무역에 대해 규제적 장애의 혼란을 일으킬 것인데 이러한 규제적 장애는 지대를 추구하는 국내 기업 집단이 자신들이 바라는 시장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 야기할 수 있다. 모든 개인들은 무역에 제한이 적을수록 후생은 더 나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소규모 경제들은 무역에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면(비록 다른 국가가 반대적 입장을 취할 지라도) 거의 언제나 더 나은 상태가 된다.
위 논의는 정치 상황의 중요성 뿐 아니라 또한 tit-for-tat이라는 기술적 쟁점의 잠재적 복잡성을 보여준다. 대개의 경우 기술적 쟁점을 고려하는 것이 오로지 보호주의로만 나아가는 것을 합리화하는 것으로만 여겨질지 모른다. 이런 문제들을 많이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훨씬 더 어려운 기술적 의문들을 제기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수입된 사과를 걱정하는 (*국내의*) 사과 재배자가 왜 사과의 가격 뿐 아니라 자신의 사과 과수원이 수입 사과에 의해 질병이 창궐케 되리라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무관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백한 이유는 없다.
참고문헌
김홍원(2008), 최근 환율변동이 한국의 국제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김영재(1996), 국제수지 변동과 주가와의 상관성 분석, 한국거래소
박태진(1999), 국제수지 불균형과 금융국제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이희석(2000), 한국 국제수지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장두채(1984), |경제성장이 국제수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최형원(2001), 국제수지 흑자의 효율적 관리방안, 계명문화대학
우선 金融貯蓄 增大를 위하여 長期金融貯蓄에 대한 稅制상의 誘因을 擴大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동시에 不動産價格의 급등을 철저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不動産價格의 급등은 資産效果를 통한 소비증가를 유발함으로써 결국 貯蓄率 低下를 초래한다.
이와 함께 중장기적인 貯蓄率 제고를 위하여 현행 國民年金制度의 收支改善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年金에 대한 納入率을 높이거나 年金支給率을 下向調整함으로써 國民年金에 따른 貯蓄率 하락 가능성을 방지해야 한다.
현행 國民年金을 포함한 각종 年金의 경우 가입자가 누릴 수 있는 期待收益率이 시장금리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소비를 증대시키고 저축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民間信託會社에게 연금기금의 운용을 委託하는 등의 年金 民營化 方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행 年金制度의 기본취지인 强制加入의 원칙은 유지하되 가입자에게 年金運用과 관련하여 信託會社 選擇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연금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企業의 投資行態가 합리화될 수 있도록 制度的 여건을 改善함으로써 過剩投資에 따른 國際收支 不均衡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높은 貯蓄率에도 불구하고 國際收支 不均衡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國內投資의 效率性 여부에 대한 檢證이 필요하다.
經濟內의 한정된 投資財源이 投資生産性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배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인 金利自由化를 통하여 金利의 價格機能을 活性化하는 것이 시급하다.
金融産業 內部의 競爭促進을 통하여 금융기관의 自律責任經營과 內部 經營革新을 유도함으로써 수익성과 건전성 위주의 貸出慣行을 定着시켜야 한다.
外部借入에 크게 의존하는 投資資金 調達慣行을 개선하고 기업의 취약한 財務構造를 시정하기 위한 制度的 裝置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 기업의 負債比率은 287%에 달해 주요 경쟁국인 日本과 臺灣에 비해 크게 높은 실정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대만에 비해 거의 2배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金利水準과 취약한 재무구조로 인하여 金融費用負擔率이 日本과 臺灣에 비해 3배 이상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財務構造의 健全度와 低利의 海外借入에 대한 許容與否를 連繫하는 방안을 추진함으로써 財務構造 改善에 대한 유인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投資效率化를 위해서는 企業經營의 透明性을 확보하는 동시에 투자자들에 의한 企業監視體系(monitoring system)의 확립을 制度的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企業經營情報가 공개되고 會計監査의 公正性이 확보되어야 기업의 방만한 투자결정이 억제될 수 있다.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港灣과 空港 등의 社會間接資本을 확충함으로써 貿易外收支 赤字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運輸서비스 收支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주요 항구의 港灣施設 조기확충 및 附帶서비스 改善 등을 통하여 東아시아 地域의 中心港(Hub port)으로 육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운수항만 서비스의 輸出産業化를 추진해야 한다.
Ⅸ. 결론 및 제언
보호주의로부터 큰 잠재적 이득을 얻을 국내 생산자들과 비조직화된 소비자들 간의 싸움의 결과는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한 다른 국가들의 반응의 예측에 좌우되는데, 이는 보호되는 특정 품목 뿐 아니라 무역에 대한 국가적, 국제적 제한으로부터 파생되는 국제 무역의 보다 광범위한 쟁점들을 수반한다. 보호주의의 시발에 대한 정부의 또 다른 반응은 국가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점과, 또 특수 이익 집단이 그러한 시발에 대해 정부 또는 WTO 같은 국제 기구를 통해 맞대응 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A국가의 수출 제한에 대해 B국가는 상호적 제한을 부과함으로써 A국가의 무역 제한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대응 전략’(Tit-for-tat) 규칙은 A국가로 하여금 보호주의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그러한 Tit-For-Tat 규칙이 일반적 자유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성에 대해서는 의문스럽다. 대체적으로, 국제 무역에 관한 경제적 이론(설명)은 무역의 자유화는 다른 국가가 보복하는 것과 상관없이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 국가에 의한 Tit-For-Tat적 규제는 다른 국가들로 하여금 그들 나름대로 특별한 제한적 규칙을 채택하도록 조장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며, 국제 무역에 대해 규제적 장애의 혼란을 일으킬 것인데 이러한 규제적 장애는 지대를 추구하는 국내 기업 집단이 자신들이 바라는 시장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 야기할 수 있다. 모든 개인들은 무역에 제한이 적을수록 후생은 더 나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소규모 경제들은 무역에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면(비록 다른 국가가 반대적 입장을 취할 지라도) 거의 언제나 더 나은 상태가 된다.
위 논의는 정치 상황의 중요성 뿐 아니라 또한 tit-for-tat이라는 기술적 쟁점의 잠재적 복잡성을 보여준다. 대개의 경우 기술적 쟁점을 고려하는 것이 오로지 보호주의로만 나아가는 것을 합리화하는 것으로만 여겨질지 모른다. 이런 문제들을 많이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훨씬 더 어려운 기술적 의문들을 제기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수입된 사과를 걱정하는 (*국내의*) 사과 재배자가 왜 사과의 가격 뿐 아니라 자신의 사과 과수원이 수입 사과에 의해 질병이 창궐케 되리라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무관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백한 이유는 없다.
참고문헌
김홍원(2008), 최근 환율변동이 한국의 국제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김영재(1996), 국제수지 변동과 주가와의 상관성 분석, 한국거래소
박태진(1999), 국제수지 불균형과 금융국제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이희석(2000), 한국 국제수지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장두채(1984), |경제성장이 국제수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최형원(2001), 국제수지 흑자의 효율적 관리방안, 계명문화대학
추천자료
대미· 대일 실질환율과 수출입 분석
아마존의 보고서 _마케팅전략
박정희정권과 한일협정, 베트남파병
인플레이션에 관한 보고서
[국제수지][무역수지][경상수지][무역][수지][수입][수출]국제수지, 무역수지, 경상수지의 현...
회계이익의 예측을 위한 기본적 요소분석에 관한 고찰
맨큐의경제학5판연습문제
한미 통상현황과 협력방향
[국제수지] 국제수지의 개념과 구조, 국제수지 변동과 무역
서비스산업 동향
방송통신대학교 국제금융론 레포트자료
[국제금융론] 환율 인상 효과에 대한 이론과 모형
M&A성공사례 & 실패
경영학 -M&A성공사례와 M&A실패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