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체코 작곡가 얀 루디슬라브 듀섹의 피아노 고별 소나타 Op. 44
Ⅱ.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1. 제 1악장(Allegro affettuoso a단조 4/4박자)
2. 제 2악장(Andante grazioso F장조 2/4박자)
3. 제 3악장(Allegro vivace A장조 3/4박자)
Ⅲ.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 1번 B♭장조 op.99
Ⅳ.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의 물에 비치는 반영
Ⅴ. 폴란드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의 에튀드(에뛰드)
1. 에튀드 작품 10의 12곡
1) 제 1곡 C장조 알레그로
2) 제 2곡 a단조 알레그로
3) 제 3곡 E장조 렌토 마 논 트로포
4) 제 4곡 C#장조 프레스토
5) 제 5곡 G♭장조 비바체
6) 제 6곡 e♭단조 안단테
7) 제 7곡 C장조 비바체
8) 제 8곡 F장조 알레그로
9) 제 9곡 f단조 알레그로 몰토 아지타토
10) 제 10곡 A♭장조 비바체 아사이
11) 제 11곡 E♭장조 알레그레토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2. 에튀드 작품 25의 12곡
1) 제 1곡 A♭장조 알레그로 소스테누토
2) 제 2곡 f단조 프레스토
3) 제 3곡 F장조 알레그로
4) 제 4곡 a단조 아지타토
5) 제 5곡 e단조 비바체
6) 제 6곡 g#단조 알레그로
7) 제 7곡 c#단조 렌토
8) 제 8곡 D♭장조 비바체
9) 제 9곡 G♭장조 아사이 알레그로
10) 제 10곡 b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11) 제 11곡 a단조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몰토 콘 푸오코
3. 3개의 새로운 에튀드(유작)
1) 제 1곡 f단조 안단티노
2) 제 2곡 A♭장조 알레그레토
3) 제 3곡 D♭장조 알레그레토
Ⅵ. 헝가리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의 에스떼장의 분수
참고문헌
Ⅱ.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1. 제 1악장(Allegro affettuoso a단조 4/4박자)
2. 제 2악장(Andante grazioso F장조 2/4박자)
3. 제 3악장(Allegro vivace A장조 3/4박자)
Ⅲ.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 1번 B♭장조 op.99
Ⅳ.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의 물에 비치는 반영
Ⅴ. 폴란드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의 에튀드(에뛰드)
1. 에튀드 작품 10의 12곡
1) 제 1곡 C장조 알레그로
2) 제 2곡 a단조 알레그로
3) 제 3곡 E장조 렌토 마 논 트로포
4) 제 4곡 C#장조 프레스토
5) 제 5곡 G♭장조 비바체
6) 제 6곡 e♭단조 안단테
7) 제 7곡 C장조 비바체
8) 제 8곡 F장조 알레그로
9) 제 9곡 f단조 알레그로 몰토 아지타토
10) 제 10곡 A♭장조 비바체 아사이
11) 제 11곡 E♭장조 알레그레토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2. 에튀드 작품 25의 12곡
1) 제 1곡 A♭장조 알레그로 소스테누토
2) 제 2곡 f단조 프레스토
3) 제 3곡 F장조 알레그로
4) 제 4곡 a단조 아지타토
5) 제 5곡 e단조 비바체
6) 제 6곡 g#단조 알레그로
7) 제 7곡 c#단조 렌토
8) 제 8곡 D♭장조 비바체
9) 제 9곡 G♭장조 아사이 알레그로
10) 제 10곡 b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11) 제 11곡 a단조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몰토 콘 푸오코
3. 3개의 새로운 에튀드(유작)
1) 제 1곡 f단조 안단티노
2) 제 2곡 A♭장조 알레그레토
3) 제 3곡 D♭장조 알레그레토
Ⅵ. 헝가리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의 에스떼장의 분수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곡 A♭장조 알레그로 소스테누토
슈만으로부터 절찬을 받은 곡으로, 분산하는 약한 화음 위에 아름다운 선율이 꿈처럼 흐르고 있다. 이 곡은 폭풍우로 동굴 속에 피신한 목동이 피리를 부는 정경을 묘사하고 있어, “양치기의 피리”라고도 불리며, 또 슈만은 이 곡을 “에올리언 하프”라고 불렀다.
2) 제 2곡 f단조 프레스토
겹리듬과 레가토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슈만에 의하면 ‘잠자는 어린이가 부르는 노래와도 같은 곡’이다.
3) 제 3곡 F장조 알레그로
겹리듬의 연습곡인데, 리듬의 구성은 제 2곡보다도 복잡하다.
4) 제 4곡 a단조 아지타토
약한 박자에 충실한 화음을 둔 스타카티시모와 분절음의 연습곡으로, 불안스럽고 차분하지 않은 느낌을 가지고 있다.
5) 제 5곡 e단조 비바체
특이한 리듬으로 스케르초다운 효과를 내는 처음과 끝 부분, 그리고 피우 렌토로 오른손 아르페지오의 물결치는 듯한 움직임 속에 아름다운 선율을 들려주는 중간부로 이루어졌다.
6) 제 6곡 g#단조 알레그로
오른손을 한결같이 3도로 움직이는 연습곡으로, 어려운 곡에 속한다.
7) 제 7곡 c#단조 렌토
대단히 느린 곡으로 반주 화음을 중간부에 놓고, 왼손 오른손이 아름다운 중창을 하는 멜로디의 연습곡으로 뷜로는 이 곡을 플루트와 첼로의 2중주라 했다.
8) 제 8곡 D♭장조 비바체
오른손 6도의 연습곡인데, 왼손의 움직임도 6도가 중심이 된다. 기교상 어려운 곡으로 알려져 있는 곡이다.
9) 제 9곡 G♭장조 아사이 알레그로
나비가 춤추는 듯한 경쾌한 곡으로, “나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0) 제 10곡 b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정열적인 8도의 연습곡이다. 8도를 레가토로 연주하는 점에 어려움이 있다. 중간부는 렌토로 속도를 줄이고, 우아한 선율을 들려준다.
11) 제 11곡 a단조
혁명적인 정열을 풍기는 걸작으로, 초겨울의 찬바람이 휘몰아치는 느낌이 있어 “초겨울의 찬바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렌토의 서주에서 행진곡풍의 선율이 두 번 연주된다. 첫 번째는 단음으로, 두 번째는 충실한 화음으로, 그러고 나서 알레그로 콘 브리오의 화려한 주요부에 들어간다. 뷜로가 말하듯이 피아노 음악과 관현악의 경계에 있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몰토 콘 푸오코
아르페지오를 위한 연습곡으로, 음의 큰 파도가 바다 한가운데에서 무섭게 움직이는 듯한 정열에 넘친다.
3. 3개의 새로운 에튀드(유작)
1) 제 1곡 f단조 안단티노
오른손과 왼손이 서로 다른 리듬을 내고, 더구나 오른손에 풍부한 표정을 나타낸다.
2) 제 2곡 A♭장조 알레그레토
복잡한 리듬을 가졌으며, 오른손을 화음 위조로 움직인다.
3) 제 3곡 D♭장조 알레그레토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는 곡이다.
Ⅵ. 헝가리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의 에스떼장의 분수
<에스떼장의 분수>는 순례 연보 III권 중 네 번째 곡으로, 여기에서 리스트(1811-1886)는 어떤 인상을 표현하는 특별한 음형이나 어휘를 통해서가 아니라 고전적 화성에 근거한 19세기 낭만 음악 어법을 기본으로 그가 즐겨쓰는 주제 변형기법(thematic transformation)에 의한 순환적(cyclic) 어법으로 전체 2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속 9, 11화음과 같은 속화음(Dominant)의 연장 화음, 5음 음계(Pentatonic scale), 선법(Modes)의 사용, 셋잇단 음표의 민속적 선율 등의 사용은 인상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곡에서는 아르페지오와 같은 분산 화음의 상하행 음형, 트레몰로, 트릴 등으로 분수의 아치형을 표현하고 있으며, 스타카토나 연타음으로 물방울의 튀어 오르는 인상을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물에 대한 인상적 표현이라기보다는 그 대상에서 느낀 리스트 자신의 정서적 표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김소라, 드뷔시의 피아노 음악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12
2. 민경아, 쇼팽 피아노음악의 연주기법 및 어법연구, 대진대학교, 2008
3. 박성아, 슈베르트의 가곡 선율을 바탕으로 한 편곡 기법 연구, 울산대학교, 2010
4. 이승경, Jan Ludislav Dussek의 피아노 소나타 연구 : Op.44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9
5. 이지예,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연구, 명지대학교, 2006
6. 한정화, R. Schumann 「Piano Concerto a minor Op.54」에 관한 분석 연구, 경성대학교, 2005
슈만으로부터 절찬을 받은 곡으로, 분산하는 약한 화음 위에 아름다운 선율이 꿈처럼 흐르고 있다. 이 곡은 폭풍우로 동굴 속에 피신한 목동이 피리를 부는 정경을 묘사하고 있어, “양치기의 피리”라고도 불리며, 또 슈만은 이 곡을 “에올리언 하프”라고 불렀다.
2) 제 2곡 f단조 프레스토
겹리듬과 레가토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슈만에 의하면 ‘잠자는 어린이가 부르는 노래와도 같은 곡’이다.
3) 제 3곡 F장조 알레그로
겹리듬의 연습곡인데, 리듬의 구성은 제 2곡보다도 복잡하다.
4) 제 4곡 a단조 아지타토
약한 박자에 충실한 화음을 둔 스타카티시모와 분절음의 연습곡으로, 불안스럽고 차분하지 않은 느낌을 가지고 있다.
5) 제 5곡 e단조 비바체
특이한 리듬으로 스케르초다운 효과를 내는 처음과 끝 부분, 그리고 피우 렌토로 오른손 아르페지오의 물결치는 듯한 움직임 속에 아름다운 선율을 들려주는 중간부로 이루어졌다.
6) 제 6곡 g#단조 알레그로
오른손을 한결같이 3도로 움직이는 연습곡으로, 어려운 곡에 속한다.
7) 제 7곡 c#단조 렌토
대단히 느린 곡으로 반주 화음을 중간부에 놓고, 왼손 오른손이 아름다운 중창을 하는 멜로디의 연습곡으로 뷜로는 이 곡을 플루트와 첼로의 2중주라 했다.
8) 제 8곡 D♭장조 비바체
오른손 6도의 연습곡인데, 왼손의 움직임도 6도가 중심이 된다. 기교상 어려운 곡으로 알려져 있는 곡이다.
9) 제 9곡 G♭장조 아사이 알레그로
나비가 춤추는 듯한 경쾌한 곡으로, “나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0) 제 10곡 b단조 알레그로 콘 푸오코
정열적인 8도의 연습곡이다. 8도를 레가토로 연주하는 점에 어려움이 있다. 중간부는 렌토로 속도를 줄이고, 우아한 선율을 들려준다.
11) 제 11곡 a단조
혁명적인 정열을 풍기는 걸작으로, 초겨울의 찬바람이 휘몰아치는 느낌이 있어 “초겨울의 찬바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렌토의 서주에서 행진곡풍의 선율이 두 번 연주된다. 첫 번째는 단음으로, 두 번째는 충실한 화음으로, 그러고 나서 알레그로 콘 브리오의 화려한 주요부에 들어간다. 뷜로가 말하듯이 피아노 음악과 관현악의 경계에 있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12) 제 12곡 c단조 알레그로 몰토 콘 푸오코
아르페지오를 위한 연습곡으로, 음의 큰 파도가 바다 한가운데에서 무섭게 움직이는 듯한 정열에 넘친다.
3. 3개의 새로운 에튀드(유작)
1) 제 1곡 f단조 안단티노
오른손과 왼손이 서로 다른 리듬을 내고, 더구나 오른손에 풍부한 표정을 나타낸다.
2) 제 2곡 A♭장조 알레그레토
복잡한 리듬을 가졌으며, 오른손을 화음 위조로 움직인다.
3) 제 3곡 D♭장조 알레그레토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는 곡이다.
Ⅵ. 헝가리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의 에스떼장의 분수
<에스떼장의 분수>는 순례 연보 III권 중 네 번째 곡으로, 여기에서 리스트(1811-1886)는 어떤 인상을 표현하는 특별한 음형이나 어휘를 통해서가 아니라 고전적 화성에 근거한 19세기 낭만 음악 어법을 기본으로 그가 즐겨쓰는 주제 변형기법(thematic transformation)에 의한 순환적(cyclic) 어법으로 전체 2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속 9, 11화음과 같은 속화음(Dominant)의 연장 화음, 5음 음계(Pentatonic scale), 선법(Modes)의 사용, 셋잇단 음표의 민속적 선율 등의 사용은 인상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곡에서는 아르페지오와 같은 분산 화음의 상하행 음형, 트레몰로, 트릴 등으로 분수의 아치형을 표현하고 있으며, 스타카토나 연타음으로 물방울의 튀어 오르는 인상을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물에 대한 인상적 표현이라기보다는 그 대상에서 느낀 리스트 자신의 정서적 표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김소라, 드뷔시의 피아노 음악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12
2. 민경아, 쇼팽 피아노음악의 연주기법 및 어법연구, 대진대학교, 2008
3. 박성아, 슈베르트의 가곡 선율을 바탕으로 한 편곡 기법 연구, 울산대학교, 2010
4. 이승경, Jan Ludislav Dussek의 피아노 소나타 연구 : Op.44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9
5. 이지예,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연구, 명지대학교, 2006
6. 한정화, R. Schumann 「Piano Concerto a minor Op.54」에 관한 분석 연구, 경성대학교,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