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사료의 이온균형
Ⅲ. 사료의 산업
Ⅳ. 사료의 수입
Ⅴ. 사료의 곡물생산량
1. 수급 동향과 전망
2. 국내 소비 동향과 전망
Ⅵ. 사료의 실험 사례
1. 혈중, 뇨중 pH 및 대사물질 변화
2.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참고문헌
Ⅱ. 사료의 이온균형
Ⅲ. 사료의 산업
Ⅳ. 사료의 수입
Ⅴ. 사료의 곡물생산량
1. 수급 동향과 전망
2. 국내 소비 동향과 전망
Ⅵ. 사료의 실험 사례
1. 혈중, 뇨중 pH 및 대사물질 변화
2.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참고문헌
본문내용
GF-Ⅰ의 농도가 감소하였다(Baxer, 1981)는 보고가 있으며, Hart 등(1984)은 양에서 그리고 Thomas 등(1991)은 면양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Thomas(1991) 등의 연구에 의하면 성장률이 빠른 양은 성장률이 느린 양보다 IGF-Ⅰ 수준이 높기 때문에 IGF-Ⅰ의 농도는 실질적으로 성장률의 개선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Wears, 1995).
2.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Kellaway(1976)은 송아지에 NaHCO3을 2~4 % 첨가하면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Tucker 등(1991)은 육성송아지 사료에 2 % NaHCO3을 첨가한 결과 사료섭취량 및 일당증체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Rose 등(1994)은 체중이 247 ㎏ 인 앵거스 육성우 120두를 84일 동안 공시하여(Na++K+)-Cl-의 mEq 를 건물 100 g 당 0, +15, +30 및 +45 mEq 의 4개 처리를 두고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이온균형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였는데 0 mEq 의 사료를 급여했을 경우 일당증체량이 0.98㎏인 반면에 +15, +30 및 +45인 경우는 1.13, 1.11 및 1.06㎏으로 증체량이 +15와 +30 mEq/100 g 일때가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6주령 암송아지에 21일동안 +37 mEq/100 g 인 사료를 급여했을 경우 0나 +52 mEq/100 g 보다 증체량이 더 높았다(Jackson, 1992).
Beighle 등(1988)도 고수준의 양이온인 +55 mEq/100 g 인 사료를 급여한 송아지 보다 +12 mEq/100 g 급여한 송아지가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며, Veal 송아지에 +6.4, +15.7, +25, +34.4 및 +43.8 mEq/100 g 사료를 급여한 결과 +15.7, +25 및 +34.4 mEq/100 g 가 +6.4 및 +43.8 mEq 보다 일당증체량이 더 높았다(Den hartog, 1989).
또한 Ross 등(1994)은 체중 337 ㎏ 인 앵거스 120두를 생후 13개월령부터 0, +15, +30, +45 mEq/100 g 의 4개 수준으로 가축에 사양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이차방정식형태로 증가하여 +15 mEq/100 g 일 때 1.19 ㎏ 로 다른 처리수준의 1.03~1.08 ㎏ 보다 더 높았으며, Jackson 등(1992)도 56일령 송아지에 0, +21 및 +37 mEq/100 g 의 사료를 급여한 결과 +21과 +37 mEq/100 g 에서 일당증체량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들은 근내 지방도도 2차방정식형태로 이온균형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는데, +15와 +30 mEq/100 g 의 사료를 급여 받은 소가 근내 지방도가 가장 높았고, 또한 rib eye area 및 정육률 등도 각각 73.2㎠ 및 280.3 ㎏ 으로 +15 meg/100 g 에서 다소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참고문헌
김현섭(1997) / 사료중의 이온균형이 젖소 건유우의 유열발생, 산유량 및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농촌진흥청
김호진(1990) / 사료곡물 수급 전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김형화(1981) / 사료수입 과 축산물수입 의 비교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윤영만 외 5명(2008) / 수입사료에 의한 가축분뇨 물질순환 및 환경부하 분석,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최원호(2010) / 사료산업에서 협력업체와의 관계개선을 통한 수·배송 방식 효율화, 서경대학교
홍성수(2012) / 2011년 국내 사료산업 동향 및 2012년 전망, 한국오리협회
2.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Kellaway(1976)은 송아지에 NaHCO3을 2~4 % 첨가하면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Tucker 등(1991)은 육성송아지 사료에 2 % NaHCO3을 첨가한 결과 사료섭취량 및 일당증체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Rose 등(1994)은 체중이 247 ㎏ 인 앵거스 육성우 120두를 84일 동안 공시하여(Na++K+)-Cl-의 mEq 를 건물 100 g 당 0, +15, +30 및 +45 mEq 의 4개 처리를 두고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이온균형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였는데 0 mEq 의 사료를 급여했을 경우 일당증체량이 0.98㎏인 반면에 +15, +30 및 +45인 경우는 1.13, 1.11 및 1.06㎏으로 증체량이 +15와 +30 mEq/100 g 일때가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6주령 암송아지에 21일동안 +37 mEq/100 g 인 사료를 급여했을 경우 0나 +52 mEq/100 g 보다 증체량이 더 높았다(Jackson, 1992).
Beighle 등(1988)도 고수준의 양이온인 +55 mEq/100 g 인 사료를 급여한 송아지 보다 +12 mEq/100 g 급여한 송아지가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며, Veal 송아지에 +6.4, +15.7, +25, +34.4 및 +43.8 mEq/100 g 사료를 급여한 결과 +15.7, +25 및 +34.4 mEq/100 g 가 +6.4 및 +43.8 mEq 보다 일당증체량이 더 높았다(Den hartog, 1989).
또한 Ross 등(1994)은 체중 337 ㎏ 인 앵거스 120두를 생후 13개월령부터 0, +15, +30, +45 mEq/100 g 의 4개 수준으로 가축에 사양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이차방정식형태로 증가하여 +15 mEq/100 g 일 때 1.19 ㎏ 로 다른 처리수준의 1.03~1.08 ㎏ 보다 더 높았으며, Jackson 등(1992)도 56일령 송아지에 0, +21 및 +37 mEq/100 g 의 사료를 급여한 결과 +21과 +37 mEq/100 g 에서 일당증체량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들은 근내 지방도도 2차방정식형태로 이온균형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는데, +15와 +30 mEq/100 g 의 사료를 급여 받은 소가 근내 지방도가 가장 높았고, 또한 rib eye area 및 정육률 등도 각각 73.2㎠ 및 280.3 ㎏ 으로 +15 meg/100 g 에서 다소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참고문헌
김현섭(1997) / 사료중의 이온균형이 젖소 건유우의 유열발생, 산유량 및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농촌진흥청
김호진(1990) / 사료곡물 수급 전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김형화(1981) / 사료수입 과 축산물수입 의 비교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윤영만 외 5명(2008) / 수입사료에 의한 가축분뇨 물질순환 및 환경부하 분석,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최원호(2010) / 사료산업에서 협력업체와의 관계개선을 통한 수·배송 방식 효율화, 서경대학교
홍성수(2012) / 2011년 국내 사료산업 동향 및 2012년 전망, 한국오리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