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극][마당극 발생과 전개][마당극 특성][마당극과 민속극][마당극과 김지하][마당극과 성교육프로그램]마당극의 발생과 전개, 마당극의 특성, 마당극과 민속극, 마당극과 김지하, 마당극과 성교육프로그램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당극][마당극 발생과 전개][마당극 특성][마당극과 민속극][마당극과 김지하][마당극과 성교육프로그램]마당극의 발생과 전개, 마당극의 특성, 마당극과 민속극, 마당극과 김지하, 마당극과 성교육프로그램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마당극의 발생과 전개

Ⅲ. 마당극의 특성

Ⅳ. 마당극과 민속극

Ⅴ. 마당극과 김지하

Ⅵ. 마당극과 성교육프로그램
1. 대본 제작
2. 마당극 연습
3. 표현 및 발성 연습
1) 괴물놀이
2) 전갈놀이
3) 상상력놀이
4) 과하게 표현하기
4. 캐스팅, 소품, 의상, 무대 꾸미기, 리허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작거나 전달이 잘 안될 경우 발성연습을 할 수 있다.
1) 괴물놀이
술래가 된 한 사람이 괴물로 탄생하여 괴물의 모습을 흉내 내면서 다른 괴물을 만들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잡는 표현 놀이
2) 전갈놀이
눈을 감고 한 명이 전갈 역할을 한다. 한 공간에서 모든 사람들은 발소리와 숨소리만으로 전갈을 피해 다닌다. 전갈은 도망다니는 사람을 잡았을 때 나지막히 공포스러운 소리를 낸다. 그럼 나머지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듣고 또 피해 다니는 놀이이다. 상대에게 집중하고 그 상황에 집중하기 아주 좋은 놀이이다.
3) 상상력놀이
어떤 한 물건을 갖고 앞에 있는 상대에게 전해준다. 물론 그 물건은 자신의 방식대로 상상하여 변한다. 즉 나무젓가락을 들고 상대에게 줄 때는 아주 예쁜 꽃이라고 생각하고 줄 수도 있고, 뱀이라고 생각하고 줄 수도 있다.
4) 과하게 표현하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과한 표현으로 상대에게 접근하기이다.
예)공주-세상에서 제일 이쁜척하는 공주. 남자-가장 능글 맞은, 가장 무서운, 가장 협오스러운, 가장 멋있는 등등.
누구나 자신이 만들어 놓은 규정안에서 행동하고자 한다. 그러나 연극 속에서는 그 틀을 버려야 한다. 그러기 위한 기초작업이 바로 이 같은 표현력 기르기 시간이다.
4. 캐스팅, 소품, 의상, 무대 꾸미기, 리허설
역할배정은 모둠활동과 즉흥극에서 보여주었던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팀원이 의논하여 정한다. 짧은 연습기간이기 때문에 그 역과 가장 비슷한 캐릭터의 학생을 찾아야 한다. 이 때 대사가 짧아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원자에 한해서 했기 때문에 소극적이거나 목소리가 작은 학생들도 있었으나 이럴 경우 대본의 인물과 가장 어울리는 역할을 주도록 한다. 배역설정이 끝나고 연습하는 중에 그 역을 연기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어 끝까지 그 역을 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바꿔주도록 한다. 그러나 연습의 문제라면 개별적인 지도와 집중적인 소규모 지도를 통해 자신감을 고취시켜 진행해 갈 수 있다.
소품 등은 구입할 것과 만들 것으로 구분하여 학생들과 함께 만든다. 음악역시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을 골라 배경음악으로 사용한다.
의상은 따로 구입하거나 만들지 않고 필요한 의상을 정리한 후 이 의상을 가져 올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총리허설 때 확인 한 후 부족한 것은 다음날 보완한다.
총리허설은 음향장치시설을 설치 후 핀마이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행한다. 아이들의 목소리 크기에 따라 음향설비기사가 조절해주도록 한다. 무대에서의 동작 등을 조절하며 입장과 퇴장 등에 유의하며 소품을 갖다놓는 상황에서 각자의 담당을 정한다.
참고문헌
김현민(1993), 1970년대 마당극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김월덕(2000), 마당극의 공연학적 특성과 문화적 의미, 한국극예술학회
이종배(1983), 마당극 에 대한 소론, 원광대학교 / 이헌
임진택(1987), 민중문화운동과 마당극, 인하대학교
정은희(1990), 한국 마당극 연구, 조선대학교
표경흠(1993), 마당극의 인식, 대구대학교 / 영광문화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