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학표현과 사실주의
Ⅱ. 문학표현과 노래
1. 노래와 시적 언어
1) 음악성과 인간의 본성
2) 음악성과 시의 리듬
2. 노래하기의 표현 원리
1) 이미지로 표현하기
2) 비유와 상징으로 표현하기
3) 돌려서 표현하기
4) 거꾸로 표현하기
3. 노래하기와 일상의 언어생활
Ⅲ. 문학표현과 제망매가
Ⅳ. 문학표현과 정서
Ⅴ. 문학표현과 이념
Ⅵ. 문학표현과 낭만주의
참고문헌
Ⅱ. 문학표현과 노래
1. 노래와 시적 언어
1) 음악성과 인간의 본성
2) 음악성과 시의 리듬
2. 노래하기의 표현 원리
1) 이미지로 표현하기
2) 비유와 상징으로 표현하기
3) 돌려서 표현하기
4) 거꾸로 표현하기
3. 노래하기와 일상의 언어생활
Ⅲ. 문학표현과 제망매가
Ⅳ. 문학표현과 정서
Ⅴ. 문학표현과 이념
Ⅵ. 문학표현과 낭만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서의 리얼리즘시 역시 근대 사회의 발전과 운명을 같이 한다는 관점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리얼리즘시는 전통적인 시적 표현의 대표적인 시 양식인 서정시와는 생성적인 차원에서도 다른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수용되는 구조나 양상, 의미라는 측면에서도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 역시 어느 특정한 시대의 산물이면서도, 전대의 문학사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관점이 있을 수 있다. 즉 리얼리즘시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비판 정신과 현실 반영의 문학관은 일찍이부터 우리 시가의 전통 속에서도 찾을 수 있는 것으로, 결코 근대 문학만이 전유(專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우리들의 시적 전통에는 이런 비판적 정신이 표현되는 문화적 전통으로서의 시 양식이 존재하며, 이런 시들은 바로 이런 문화적 전통의 발현일 따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 시가는 비판적 정신의 전통이 면면하게 계승되고 있으며, 이는 문학을 통한 이념적 가치 실현이자 교육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의 시가 현실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이를 다양한 문학적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시가상(詩歌上) 특성이 특정한 문학 양식의 산물이면서도, 이를 창작한 주체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의 하나라는 점이다. 아울러 이런 측면은 문학적 표현 방식 역시 우리 민족의 사유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문화론적 시각에서도 설명될 수 있다.
Ⅵ. 문학표현과 낭만주의
18세기의 말엽에서 19세기에 걸쳐서 문학 뿐 아니라 일반예술 및 사상전반에 까지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소위 로만틱 운동은 서구 여러 나라 가운데서도 특히 독일에서 제일 먼저 발생하였고, 또한 독일에서 가장 그 특색을 발휘하여 각국 및 후대의 문예와 사상계에 커다란 자극과 영향을 줄 수 있었던 것으로, 특히 독일의 문예사조에서는 가장 중요시되는 운동이었다. 주로 17, 8세기의 정신계를 지배하였던 합리적이며 형식위주의 계몽주의 인습과 퇴폐에 빠진 고전주의에 반기를 들고, 냉정한 이성을 배척, 자유분방한 감정과 공상의 약동, 전통의 타파 및 적나라한 주관의 해방운동을 부르짖은 그 정신은, 젊은 괴테와 쉴러에 의해서 일찍이 일으켰던 질풍노도 운동과 본질적으로 상통하는 것이지만, 독일문학사상에서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구별하여 전혀 별개의 두 개의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낭만적이라는 단어는 원래 프랑스어의 「로망」이라는 명사에서 나왔으며, 라틴어로 쓰인 고전문학에 대해서 로망어로 쓰인 기이하고 공상적인 이야기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17 세기경부터 독일에서도 사용되어 차츰 신비적이고 모험적인 내용을 의미하게 되었다. 독일 낭만주의의 특징을 살펴보면 ① 꿈과 憧憬과 감각의 신비적인 무한성 ② 형식과 법칙의 초월 ③ 낭만적 반어, 강한 개성의 존중, 개인적 감정과 기분의 우월 ④ 동양찬미와 외국문학 번역 ⑤ 중세와 카톨릭 신앙, 꿈과 낭만의 세계로서 그들은 조국 독일의 중세를 동경하였다.
독일의 낭만주의는 특히 그 예술관과 인생관의 형식 및 발전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관념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중에서도 로만틱의 계몽자로 일컫는 피히테 Fichte 와 셀링 Schelling 은 중요한 존재이다. 낭만주의 정신은 모순 되고 역설적이며, 자연, 예술, 역사, 철학에 대한 지적인 탐구를 추구하였다, 낭만주의 정신은 전통적 규범을 뛰어넘어 환상적인 것, 불가사의한 것, 비밀에 싸인 것, 병적인 것과 죽음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문학의 형태로 서정시를 들 수 있다. 서정시는 가장 쉽게 새로운 문학의 개념을 따랐다.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단어이 음악성”이 음조와 색체를 대신했고, 분위기를 나타내는 형용사의 성질이 음의 매력 및 화음과 결합하였다. 티크, 브렌타노, 노발리스, 아이헨도르프, 뫼리게는 괴테 문학의 특징인 감상적이며 인간적인 영혼의 노래를 “수 천의 상징”이 뒤섞인 문학으로 변화시켰으며, 또한 종종 유추와 결합시켰다. 또한 티크와 빌헬름 슐레겔은 움직임을 표현하는 “순환형태의” 복잡한 낭만주의 문학형태 즉 3행시, 칸초네, 소네트를 창조하였다. 그리고 창작동화는 “절대적인 혼란과 무한한 관계”를 표현하는 도구가 되었다. 티크의 「금발의 에크베르트 Der blonde Eckbert」(1795) 에서는 일상적인 것이 수수께끼화 되고, 「탄호이저 Thannhauser」 와 「루넨베르크 Runenberg」의 주인공들은 미치게 된다. 노발리스는 「달동화 Mondmarchen」에서 “기이한 종합”을 이룩하려 했고, 반면에 브렌타노는 이탈리아와 라인 지방의 동화를 단어의 왜곡과 바로크 式 은유로 충만되게 했다. 독특한 또 하나의 유형은 호프만의 기이한 “현실동화(Wirklichkeitmarchen)”인 바, 그곳에서 나타나는 시민의 지루한 일상생활과 교활할 정도라고 생각되는 기이함을 보들레르는 웃기는 것(das Komische)의 극치라고 말했다. 또한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노발리스는 “사상의 편린”으로서, 중자적이며 사교적인 정신으로부터 직접 나타날 수도 있고, 미로처럼 혼란한 이 세상을 밝혀주는 정신으로 표현될 수 있는 警句가 있다. 경구는 암호이자 기호이며, 감동적인 사상의 바다를 해안으로 던져 올리는 기이한 보석이다. 이외에 뫼리게의 「화가놀렌 Maler Nolten」과 같은 장편소설, 티크의 「게노페파 Genoveva」, 브렌타노의 「퐁스와 레옹 Ponce de Leon」, 아이헨도르프의 「구혼가 Die Freier」등과 같은 희극 역시 낭만주의 시대를 풍미했다.
참고문헌
김성룡(2010) /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엄창섭(1994) / 사실주의 문학의 이론, 관동대학교
양희철(2000) / <제망매가>의 표현과 주제, 청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윤병로 외 1 명(2000) / 1920년대 후반의 문학이념 논쟁,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윤규섭(1938) / 언어·문학·표현(言語·文學·表現), 조선어학연구회
이미경(2003) / 한국 근대 시문학에서의 낭만주의 문학 담론의 미적 근대성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소
그러나 이런 시 역시 어느 특정한 시대의 산물이면서도, 전대의 문학사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관점이 있을 수 있다. 즉 리얼리즘시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비판 정신과 현실 반영의 문학관은 일찍이부터 우리 시가의 전통 속에서도 찾을 수 있는 것으로, 결코 근대 문학만이 전유(專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우리들의 시적 전통에는 이런 비판적 정신이 표현되는 문화적 전통으로서의 시 양식이 존재하며, 이런 시들은 바로 이런 문화적 전통의 발현일 따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 시가는 비판적 정신의 전통이 면면하게 계승되고 있으며, 이는 문학을 통한 이념적 가치 실현이자 교육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의 시가 현실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이를 다양한 문학적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시가상(詩歌上) 특성이 특정한 문학 양식의 산물이면서도, 이를 창작한 주체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의 하나라는 점이다. 아울러 이런 측면은 문학적 표현 방식 역시 우리 민족의 사유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문화론적 시각에서도 설명될 수 있다.
Ⅵ. 문학표현과 낭만주의
18세기의 말엽에서 19세기에 걸쳐서 문학 뿐 아니라 일반예술 및 사상전반에 까지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소위 로만틱 운동은 서구 여러 나라 가운데서도 특히 독일에서 제일 먼저 발생하였고, 또한 독일에서 가장 그 특색을 발휘하여 각국 및 후대의 문예와 사상계에 커다란 자극과 영향을 줄 수 있었던 것으로, 특히 독일의 문예사조에서는 가장 중요시되는 운동이었다. 주로 17, 8세기의 정신계를 지배하였던 합리적이며 형식위주의 계몽주의 인습과 퇴폐에 빠진 고전주의에 반기를 들고, 냉정한 이성을 배척, 자유분방한 감정과 공상의 약동, 전통의 타파 및 적나라한 주관의 해방운동을 부르짖은 그 정신은, 젊은 괴테와 쉴러에 의해서 일찍이 일으켰던 질풍노도 운동과 본질적으로 상통하는 것이지만, 독일문학사상에서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구별하여 전혀 별개의 두 개의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낭만적이라는 단어는 원래 프랑스어의 「로망」이라는 명사에서 나왔으며, 라틴어로 쓰인 고전문학에 대해서 로망어로 쓰인 기이하고 공상적인 이야기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17 세기경부터 독일에서도 사용되어 차츰 신비적이고 모험적인 내용을 의미하게 되었다. 독일 낭만주의의 특징을 살펴보면 ① 꿈과 憧憬과 감각의 신비적인 무한성 ② 형식과 법칙의 초월 ③ 낭만적 반어, 강한 개성의 존중, 개인적 감정과 기분의 우월 ④ 동양찬미와 외국문학 번역 ⑤ 중세와 카톨릭 신앙, 꿈과 낭만의 세계로서 그들은 조국 독일의 중세를 동경하였다.
독일의 낭만주의는 특히 그 예술관과 인생관의 형식 및 발전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관념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중에서도 로만틱의 계몽자로 일컫는 피히테 Fichte 와 셀링 Schelling 은 중요한 존재이다. 낭만주의 정신은 모순 되고 역설적이며, 자연, 예술, 역사, 철학에 대한 지적인 탐구를 추구하였다, 낭만주의 정신은 전통적 규범을 뛰어넘어 환상적인 것, 불가사의한 것, 비밀에 싸인 것, 병적인 것과 죽음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문학의 형태로 서정시를 들 수 있다. 서정시는 가장 쉽게 새로운 문학의 개념을 따랐다.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단어이 음악성”이 음조와 색체를 대신했고, 분위기를 나타내는 형용사의 성질이 음의 매력 및 화음과 결합하였다. 티크, 브렌타노, 노발리스, 아이헨도르프, 뫼리게는 괴테 문학의 특징인 감상적이며 인간적인 영혼의 노래를 “수 천의 상징”이 뒤섞인 문학으로 변화시켰으며, 또한 종종 유추와 결합시켰다. 또한 티크와 빌헬름 슐레겔은 움직임을 표현하는 “순환형태의” 복잡한 낭만주의 문학형태 즉 3행시, 칸초네, 소네트를 창조하였다. 그리고 창작동화는 “절대적인 혼란과 무한한 관계”를 표현하는 도구가 되었다. 티크의 「금발의 에크베르트 Der blonde Eckbert」(1795) 에서는 일상적인 것이 수수께끼화 되고, 「탄호이저 Thannhauser」 와 「루넨베르크 Runenberg」의 주인공들은 미치게 된다. 노발리스는 「달동화 Mondmarchen」에서 “기이한 종합”을 이룩하려 했고, 반면에 브렌타노는 이탈리아와 라인 지방의 동화를 단어의 왜곡과 바로크 式 은유로 충만되게 했다. 독특한 또 하나의 유형은 호프만의 기이한 “현실동화(Wirklichkeitmarchen)”인 바, 그곳에서 나타나는 시민의 지루한 일상생활과 교활할 정도라고 생각되는 기이함을 보들레르는 웃기는 것(das Komische)의 극치라고 말했다. 또한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노발리스는 “사상의 편린”으로서, 중자적이며 사교적인 정신으로부터 직접 나타날 수도 있고, 미로처럼 혼란한 이 세상을 밝혀주는 정신으로 표현될 수 있는 警句가 있다. 경구는 암호이자 기호이며, 감동적인 사상의 바다를 해안으로 던져 올리는 기이한 보석이다. 이외에 뫼리게의 「화가놀렌 Maler Nolten」과 같은 장편소설, 티크의 「게노페파 Genoveva」, 브렌타노의 「퐁스와 레옹 Ponce de Leon」, 아이헨도르프의 「구혼가 Die Freier」등과 같은 희극 역시 낭만주의 시대를 풍미했다.
참고문헌
김성룡(2010) /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엄창섭(1994) / 사실주의 문학의 이론, 관동대학교
양희철(2000) / <제망매가>의 표현과 주제, 청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윤병로 외 1 명(2000) / 1920년대 후반의 문학이념 논쟁,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윤규섭(1938) / 언어·문학·표현(言語·文學·表現), 조선어학연구회
이미경(2003) / 한국 근대 시문학에서의 낭만주의 문학 담론의 미적 근대성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소
추천자료
사실주의 표현주의 영화 자료
미국문학 사실주의(리얼리즘) 작가 및 작품 요약정리
중남미 문학과 마술적 사실주의
[자연주의]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 작가와 작품, 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와 사실주의(사실주...
[독일문학사]사실주의(Realismus)
[사실주의문학][리얼리즘문학]한국 사실주의문학(리얼리즘문학), 미국 사실주의문학(리얼리즘...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의 의의와 특징,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의 탄생배경, 리얼리...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 정의,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 특징,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
[사실주의문학]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의 정의,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의 특성, 사실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