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동지 유래][동지 의미][동지 풍속][동지와 성묘][동지와 팥죽][동지와 납일][한식][하지]동지의 유래, 동지의 의미, 동지의 풍속, 동지와 성묘, 동지와 팥죽, 동지와 납일, 동지와 한식, 동지와 하지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지][동지 유래][동지 의미][동지 풍속][동지와 성묘][동지와 팥죽][동지와 납일][한식][하지]동지의 유래, 동지의 의미, 동지의 풍속, 동지와 성묘, 동지와 팥죽, 동지와 납일, 동지와 한식, 동지와 하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지의 유래

Ⅲ. 동지의 의미

Ⅳ. 동지의 풍속

Ⅴ. 동지와 성묘

Ⅵ. 동지와 팥죽

Ⅶ. 동지와 납일

Ⅷ. 동지와 한식

Ⅸ. 동지와 하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으나 개자추는 그의 어머니와 내려오지 않고 끝내 불에 타 죽고 말았다. 문공은 너무 마음이 아파 개자추의 충성심을 위로하고자 해마다 오늘이면 하루 동안 불을 지피지 말도록 하였다. 그 날 이후로 한식날에는 불에 타 죽은 개자추의 넋을 위로 하고자 불을 지피지 않고 찬밥을 먹는다고 한다. 한식은 동지가 지나고 1백 5일째가 되는 날이다. 이 때는 농촌이 한창 씨를 뿌릴 때이기 때문에 특별한 놀이를 하지 않고 조상의 묘를 찾아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면서 조용히 하루를 보낸다. 한식날은 양력으로 보면 4월 5,6일쯤이 된다. 식목일과 비슷한 때인데 이 때가 일 년 중 나무를 심거나 씨를 뿌리기에 가장 알맞아 농가에서는 일년 농사의 처음으로 생각했다. 한식날 무렵은 비가 많이 내리지 않은 건조기이다. 이럴 때 성묘하러가서 불을 쓰면 어떻게 되겠는가? 이렇듯 한식은 건조한 날씨에 잘 맞는 명절이다. 불을 조심하고 잘 관리하는 날로 한식날이면 개자추의 슬픈 넋과 위험한 불을 잘 다스렸던 우리 조상들의 슬기를 생각해볼 수 있다.
Ⅸ. 동지와 하지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있으며, 양력 6월 21일경이 시작되는 날이다. 음력으로는 5월중이다. 하지 때는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므로,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에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진다. 중국에서는 하지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눠서, ①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②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③ 반하(半夏)의 알이 생긴다고 했다. 한국의 농사력에서는 모내기가 끝나는 시기이며 장마가 시작되는 때이기도 하다.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반대로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최소가 된다. 또한 동지에는 태양의 남중고도가 최대가 되고, 낮이 가장 긴데, 북반구에서는 그 반대가 된다. 서울(북위 37˚30\')에서 태양의 남중고도는 하지 때에는 75˚57\'이고, 동지 때에는 29˚03\'이다.
참고문헌
강욱(2009), 동지의 세시풍속, 한국지방재정공제회
강욱(2010), 동지(冬至) 이야기, 한국지방재정공제회
권오분(2009), 동지에는 팥죽을 끓이세요, 한국식품연구원
조후종(1999), 동지와 섣달그믐의 절기음식, 대한영양사협회
최상수(1980), 동지 · 칠석 · 답교민속 의고찰, 내외문제연구소
편집부(1997), 동지와 팥죽,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키워드

동지,   풍속,   성묘,   팥죽,   납일,   한식,   납일,   하지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