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수성의 유래
Ⅲ. 수성의 특징
Ⅳ. 수성의 표면과 대기
Ⅴ. 수성의 질량
Ⅵ. 수성의 공전주기
Ⅶ. 수성의 자전주기
Ⅷ. 수성의 궤도변화
Ⅸ. 수성의 관측
참고문헌
Ⅱ. 수성의 유래
Ⅲ. 수성의 특징
Ⅳ. 수성의 표면과 대기
Ⅴ. 수성의 질량
Ⅵ. 수성의 공전주기
Ⅶ. 수성의 자전주기
Ⅷ. 수성의 궤도변화
Ⅸ. 수성의 관측
참고문헌
본문내용
즉, 태양이 뜬 뒤 다시 태양이 뜰 때까지의 기간은 약 176일이나 된다. 수성의 자전주기는 59일이며, 88일인 공전주기의 2/3에 해당한다.
Ⅷ. 수성의 궤도변화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쉽게 발견할 수가 없다. 더구나 지평선 부근에는 우리의 시야를 가로막는 안개나 구름이 많기 때문에 수성을 찾아내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나 성도를 보고 미리 수성의 위치를 어림잡아 놓고 해가 서산으로 넘어간 직후부터 참을성 있게 기다리면 아직 저녁놀의 붉은 기운이 남아 있는 하늘에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하는 수성을 마침내 발견할 수 있다.
수성이 우리의 큰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수성 궤도의 원일점의 위치가 100년에 574초나 변한다는 사실을 관측하고부터 이다. 태양과 다른 행성과의 인력의 영향으로 530초의 변화는 이해할 수 있었으나 나머지 43초에 대하여는 설명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태양과 수성사이에 또 하나의 행성이 있지 않나 의심하여 생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이 큰 태양 주위에는 공간이 휘어져 있고 휘어진 공간이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Ⅸ. 수성의 관측
수성의 표면을 지상에서 관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수성이 지구에 가까울 때는 그 어두운 면이 보일 때이고, 그렇지 않을 때는 낮에 관측해야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해가 진후에도 수성은 지평선에 가까이 있어 지구대기층의 동요로 잘 관측되지 않는다. 최근 수성에 접근한 우주탐사선이 찍은 표면사진은 달의 표면처럼 크고 작은 많은 크레이터로 뒤덮인 것을 밝혀주었다. 1974년 우주탐사선 매리너 10호는 수성표면에 매우 엷은 대기와 약한 자기장이 있음을 밝혔다. 수성은 위성(衛星)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질량은 수성이 다른 근접 천체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여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참고문헌
남상인(2008), 행성의 운동 개념 변화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공주대학교
데이바 소벨 저, 김옥진 역(2010), 행성이야기, 생각의나무
데이비드 A. 애길라(2009), 우리 태양계 13행성, YBMSISA
송영주(2004),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탐사선의 비행궤적 설계, 연세대학교
임성빈(2008), 태양은 살아있다,2 : 태양계의 행성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Douglas N. C. Lin 외 1명(2008), 행성의 기원, 과학과 문화
Ⅷ. 수성의 궤도변화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쉽게 발견할 수가 없다. 더구나 지평선 부근에는 우리의 시야를 가로막는 안개나 구름이 많기 때문에 수성을 찾아내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나 성도를 보고 미리 수성의 위치를 어림잡아 놓고 해가 서산으로 넘어간 직후부터 참을성 있게 기다리면 아직 저녁놀의 붉은 기운이 남아 있는 하늘에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하는 수성을 마침내 발견할 수 있다.
수성이 우리의 큰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수성 궤도의 원일점의 위치가 100년에 574초나 변한다는 사실을 관측하고부터 이다. 태양과 다른 행성과의 인력의 영향으로 530초의 변화는 이해할 수 있었으나 나머지 43초에 대하여는 설명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태양과 수성사이에 또 하나의 행성이 있지 않나 의심하여 생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이 큰 태양 주위에는 공간이 휘어져 있고 휘어진 공간이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Ⅸ. 수성의 관측
수성의 표면을 지상에서 관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수성이 지구에 가까울 때는 그 어두운 면이 보일 때이고, 그렇지 않을 때는 낮에 관측해야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해가 진후에도 수성은 지평선에 가까이 있어 지구대기층의 동요로 잘 관측되지 않는다. 최근 수성에 접근한 우주탐사선이 찍은 표면사진은 달의 표면처럼 크고 작은 많은 크레이터로 뒤덮인 것을 밝혀주었다. 1974년 우주탐사선 매리너 10호는 수성표면에 매우 엷은 대기와 약한 자기장이 있음을 밝혔다. 수성은 위성(衛星)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질량은 수성이 다른 근접 천체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여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참고문헌
남상인(2008), 행성의 운동 개념 변화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공주대학교
데이바 소벨 저, 김옥진 역(2010), 행성이야기, 생각의나무
데이비드 A. 애길라(2009), 우리 태양계 13행성, YBMSISA
송영주(2004),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탐사선의 비행궤적 설계, 연세대학교
임성빈(2008), 태양은 살아있다,2 : 태양계의 행성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Douglas N. C. Lin 외 1명(2008), 행성의 기원, 과학과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