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근대 광고의 출현: 1986~1910년
Ⅱ. 일제 시대의 광고: 1910~1945년
Ⅲ. 광고 기반 조성기: 1945~1969년
Ⅳ. 광고 성장기: 1970~현재
Ⅱ. 일제 시대의 광고: 1910~1945년
Ⅲ. 광고 기반 조성기: 1945~1969년
Ⅳ. 광고 성장기: 1970~현재
본문내용
인 1975년 7월 16일에야 끝나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기간에 언론사의 광고 수입은 폭증했다.
1970년대는 과거에 비해 제약 회사의 광고 비중이 감소되었다. 식품, 화장품, 가전제품, 섬유, 의류 등이 급속도로 성장한 것이 주원인이었다.
그리고 1976년에 드링크류의 광고가 중단되는 등 제약 광고에 대한 규제 탓도 있었다.
1980년 짓밟힌 '서울의 봄' 이후 언론 통폐합이 뒤따랐다. TBC 방송국이 1980년 11월 30일 고별 방송을 한데 이어, 다음 날인 12월 1일부터 KBS를 필두로 컬러 방송이 시작되었다. 텔레비전 광고의 컬러화는 광고 대행사와 텔레비전 광고 제작사인 프로덕션사가 분업하는 계기가 되었다. 광고 대행사는 전략 등의 기획까지 전담하고 그 다음의 제작 단계는 프로덕션이 떠맡게 된 것이다.
한국방송공사법이 개정되어 1981년 3월 7일부터 KBS가 상업 광고를 시작하였다. 또한 언론 통폐합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가 발족되어 1981년부터 광고 시간의 영업을 독점 대행할 뿐만 아니라, 광고 대행사를 인정하는 권한과 함께 방송 광고물도 심의하게 된다. 1989년 2월에 방송 광고물 심의는 방송위원회로 이관되었다.
1981년에는 일간지가 8면에서 12면으로 증면되었다. 1986년 <조선일보>는 발행 부수가 179만부임을 공개하였다. 1988년에는 <한겨레>가 창간되는 등 신규 매체가 급증하였다. 1989년에는 한국ABC협회가 설립되어 매체에 대한 과학화 움직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 1980년대 초반에는 대기업 계열의 광고 대행사가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해태그룹의 코래드, 현대그룹의 금강기획, 롯데그룹의 대홍기획, 태평양그룹의 동방기획 등.
1984년의 10대 광고주는 태평양화학, 금성사, 삼성전자, 대우전자, 럭키, 농심, 제일은행, 유한양행, 삼양식품, 해태제과 순이었다. 1986년에는 대우전자가 국내 최초로 비디오테이프에 15-60초씩 광고를 삽입하였다. 1991년의 광고주 순위는 삼성전자, 럭키, 금성사로 바뀌게 되어 광고계에서 비중을 더하는 가전사의 위치를 잘 보여 준다.
1987년은 국내 광고 시장의 개방 원년이기도 하다. 재무부가 외국 기업에 대한 광고 대행업을 금지 업종에서 제한 업종으로 변경 고시했기 매문이다. 그리고 1991년에는 광고 대행업이 외국인 투자 자유 업종으로 전환되어 완전 개방되었다. 국내 광고 시장이 개방화와 국제화의 물결에 휩싸이면서 광고계의 자구책이 지속적으로 모색되는 시기라고도 할 수 있다. 외국의 광고 대행사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형태는 대체로 아래의 표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외국광고 대행사의 국내 진출 형태 -
국내 광고 시장의 개방은 국제적 수준의 광고 관행과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로 평가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우려도 제기된다.
국내 산업 시장 잠식: 시장 개방으로 다국적 기업의 국내 진출 활발
국내 광고계 잠식: 다국적 대행사의 영역 화장으로 국내 대행사 및 제작 관련업체의 시장점유율 감소
문화 침투: 서구적 가치관의 팽배로 인한 부작용 및 문화 정체성 확립의 어려움 등
마케팅 측면에서는 시장 세분화가 다양하게 전개된 시기였다. 소비자는 더 이상 고가 고품질, 또는 저가 저품질로 양분되는 시장 상황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 빈틈을 이용한 증가 브랜드 전략이 성황을 이루었다. (주)이랜드는 이랜드, 브렌따노, 연더우드 등의 상표로 시장을 공략하였으며, 경림의 미스미스터라는 상표도 증가 구두 시장을 장악하였다. 1980년대의 사회적 세분화는 1990년대에 더욱 진행되어 X세대니 미시족이니 하는 신조어를 유행시킨다.
1970년대는 과거에 비해 제약 회사의 광고 비중이 감소되었다. 식품, 화장품, 가전제품, 섬유, 의류 등이 급속도로 성장한 것이 주원인이었다.
그리고 1976년에 드링크류의 광고가 중단되는 등 제약 광고에 대한 규제 탓도 있었다.
1980년 짓밟힌 '서울의 봄' 이후 언론 통폐합이 뒤따랐다. TBC 방송국이 1980년 11월 30일 고별 방송을 한데 이어, 다음 날인 12월 1일부터 KBS를 필두로 컬러 방송이 시작되었다. 텔레비전 광고의 컬러화는 광고 대행사와 텔레비전 광고 제작사인 프로덕션사가 분업하는 계기가 되었다. 광고 대행사는 전략 등의 기획까지 전담하고 그 다음의 제작 단계는 프로덕션이 떠맡게 된 것이다.
한국방송공사법이 개정되어 1981년 3월 7일부터 KBS가 상업 광고를 시작하였다. 또한 언론 통폐합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가 발족되어 1981년부터 광고 시간의 영업을 독점 대행할 뿐만 아니라, 광고 대행사를 인정하는 권한과 함께 방송 광고물도 심의하게 된다. 1989년 2월에 방송 광고물 심의는 방송위원회로 이관되었다.
1981년에는 일간지가 8면에서 12면으로 증면되었다. 1986년 <조선일보>는 발행 부수가 179만부임을 공개하였다. 1988년에는 <한겨레>가 창간되는 등 신규 매체가 급증하였다. 1989년에는 한국ABC협회가 설립되어 매체에 대한 과학화 움직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 1980년대 초반에는 대기업 계열의 광고 대행사가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해태그룹의 코래드, 현대그룹의 금강기획, 롯데그룹의 대홍기획, 태평양그룹의 동방기획 등.
1984년의 10대 광고주는 태평양화학, 금성사, 삼성전자, 대우전자, 럭키, 농심, 제일은행, 유한양행, 삼양식품, 해태제과 순이었다. 1986년에는 대우전자가 국내 최초로 비디오테이프에 15-60초씩 광고를 삽입하였다. 1991년의 광고주 순위는 삼성전자, 럭키, 금성사로 바뀌게 되어 광고계에서 비중을 더하는 가전사의 위치를 잘 보여 준다.
1987년은 국내 광고 시장의 개방 원년이기도 하다. 재무부가 외국 기업에 대한 광고 대행업을 금지 업종에서 제한 업종으로 변경 고시했기 매문이다. 그리고 1991년에는 광고 대행업이 외국인 투자 자유 업종으로 전환되어 완전 개방되었다. 국내 광고 시장이 개방화와 국제화의 물결에 휩싸이면서 광고계의 자구책이 지속적으로 모색되는 시기라고도 할 수 있다. 외국의 광고 대행사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형태는 대체로 아래의 표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외국광고 대행사의 국내 진출 형태 -
국내 광고 시장의 개방은 국제적 수준의 광고 관행과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로 평가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우려도 제기된다.
국내 산업 시장 잠식: 시장 개방으로 다국적 기업의 국내 진출 활발
국내 광고계 잠식: 다국적 대행사의 영역 화장으로 국내 대행사 및 제작 관련업체의 시장점유율 감소
문화 침투: 서구적 가치관의 팽배로 인한 부작용 및 문화 정체성 확립의 어려움 등
마케팅 측면에서는 시장 세분화가 다양하게 전개된 시기였다. 소비자는 더 이상 고가 고품질, 또는 저가 저품질로 양분되는 시장 상황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 빈틈을 이용한 증가 브랜드 전략이 성황을 이루었다. (주)이랜드는 이랜드, 브렌따노, 연더우드 등의 상표로 시장을 공략하였으며, 경림의 미스미스터라는 상표도 증가 구두 시장을 장악하였다. 1980년대의 사회적 세분화는 1990년대에 더욱 진행되어 X세대니 미시족이니 하는 신조어를 유행시킨다.
키워드
추천자료
지식경영의 이해 및 적용방법 사례 연구 (경영전략)
[A+평가 레포트]통일 한국의 바람직한 보훈제도 통합방향에 관한 연구 - 이론적 고찰, 통합사...
인쇄광고의 표현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 미국 VS 한국
2007년 1학기 비교행정론 C형(비교연구과정에서 제기되는 방법론상의 문제)
혁신학교 운영 사례 비교 연구
인적자원의 개발과 훈련, 인적자원개발 중요성과 교육훈련계획 및 방법, 조직개발 의의와 기...
관람자 연구의 개념 및 방법과 전시평가 사례 조사분석
관람자 연구의 개념 및 중요성과 전시평가 사례 조사분석
[인지적 구성주의]인지적 구성주의의 의의, 인지적 구성주의의 기원, 인지적 구성주의와 기업...
[관계마케팅][마케팅][관계마케팅 정의][관계마케팅 중요성][관계마케팅 선행연구][관계마케...
경영환경의 변화,교육훈련의 의의와 특징,교육훈련의 중요성,교육훈련의 목적과 효과,교육훈...
[기업문화][기업][문화][기업문화 의미][기업문화 중요성]기업문화의 의미, 기업문화의 중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