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대행사] 광고대행사의 조직(종류,유형)과 보상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대행사] 광고대행사의 조직(종류,유형)과 보상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광고대행사

Ⅰ. 광고대행사의 조직

1. 광고대행사의 종류
2. 광고대행사의 조직
3. 광고기획부
4. 크리에이티브부서
5. 매체부
6. 조사부
7. 관리부서

Ⅱ. 광고대행사의 보상

1. 수수료제도
2. 보수제도
3. 인센티브 보상제도
4. 이윤

본문내용

sers: ANA)의 1989년 조사에 따르면 광고주가 채택하는 비용 지불 방법은 다음과 같다. 15%의 수수료제 34%, 15% 이하의 수수료제 32%, 보수제 24%.
한 예로 미국의 자동차업계에서는 수수료율을 12% 또는 그 이하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체로 15% 수수료제를 택하고 있다.
2) 보수제도
광고 대행사의 주요 수입원 가운데 하나가 보수이다. 특히, 15%의 수수료 관행이 줄어들고 수수료율이 적어지면서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광고 대행사는 별도의 보수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원래 이 제도는 수수료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행해졌다. 예를 들면, PR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했을 경우 특정 매체로부터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광고주로부터 PR 서비스 요금을 별도로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특별한 광고 전략을 개발할 때는 노력에 들인 시간에 상응하는 요금을 받도록 계약할 수도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대체로 시간당 요금을 계산한다.
보수 제도를 채택하면 작업의 질적, 양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계산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3) 인센티브 보상제도
광고 효과에 따라 광고 대행사에게 보상을 해 주는 제도를 인센티브 보상 또는 업적 보상이라고 한다. 특히, 요즈음 광고계에 강조되는 철학이 '광고의 책임'이다. 이는 광고가 과연 광고비를 투자한 만큼 효과가 있었는지 그 책임을 묻는 것을 뜻한다. 인센티브 제도는 업계의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다.
한 예로 캠벨(Campbell), GM, 볼보, IBM 등은 더 이상 광고 대행사에 15% 수수료를 일률적으로 지급하지 않는다. 광고 대행사의 서비스가 좋으면 16%를 지급하고, 그저 그렇다면 13.5%를 지급하는 식으로 차등을 둔다.
그러나 판매 효과가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광고 효과를 판매와 직접 연결시켜서 보상하려는 시도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광고주나 광고의 목표가 다양하기 때문에 '광고 효과 -판매'라는 등식이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도 고려한 인센티브보상 제도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4) 이윤
광고 대행사가 광고물을 제작할 때는 외부 업자의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유명인을 이용한 카탈로그를 전문 사진작가를 섭외하여 제작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광고 대행사는 이 작가와 접촉하고 관리하는데 드는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업무 역시 광고주를 위한 일이므로 이 업무에 대한 비용을 광고주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광고 대행사는 사진작가에게 지불해야 될 비용 외에 별도의 비용을 첨부하여 광고주에게 청구한다. 이렇듯 부가적으로 청구하여 광고 대행사가 갖게 되는 음을 이윤(원가에 덧붙이는 금액)이라고 한다. 그 계산은 일반적으로 외부 업자가 청구하는 금액의 17.65%에 해당되는 금액에 기초한다.
한 예로 사진작가에게서 85만원의 청구 비용이 들어왔다면 광고 대행사는 17.65%의 이윤인 15만원(85만원 x 17.65% = 15만원)을 덧붙여 총 100만원을 광고주에게 청구한다. 그렇게 되면 광고 대행사는 광고주로부터 역시 15%의 수수료를 받게 되고(100만원 x 15% -= 15만원), 나머지는 사진작가에게 지불한다. 물론 이러한 계산이 항상 광고 대행사의 비용을 부담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높은 이윤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윤을 적용시키는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디자이너에 의해 완성된 작품(디자인 비용). (2) 사진 제작비(사진업자나 작가 포함), (3) 방송 광고 제작비, (4) 인쇄업자, (5) 비디오 프로덕션, (6) 녹음실 등.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