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와 사회] 광고와 사회의 관계(광고의 사회적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와 사회] 광고와 사회의 관계(광고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광고와 사회의 관계

Ⅰ. 광고는 현실을 창조한다?

Ⅱ. 광고는 사회의 품위를 저하시킨다?

Ⅲ. 광고는 소비자를 통제하는가?

Ⅳ. 광고는 잠재의식기법을 사용하는가?

Ⅴ. 광고주가 매체사를 통제하는가?

본문내용

찾아내기도 했다. 그러나 훗날 뉴저지 극장에서의 실험 소동은 거짓말이었음이 밝혀졌다.
이후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잠재의식 기법을 이용하면 선호도를 조작할 수 있다는 이론을 발표하기는 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효과가 있더라도 행동의 영역에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고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광고계가 종종 잠재의식 기법을 사용해서 소비자를 설득시킨다고 믿는다. 실제 광고계 종사자들은 그 같은 기법을 사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법적으로도 금지된 사항이다(때때로 장난기가 발동해서 극히 소수의 광고인들이 사용할 경우를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의 방송위원회와 미국의 FCC에서는 효과의 문제를 떠나서 잠재의식 기법이 의도적인 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공중의 이익에 반한다고 평가한다. 이처럼 각국에서 잠재의식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제적인 광고 규제에서도 이를 명문화하여 금지하고 있다.
V. 광고주가 매체사를 통제하는가?
광고주는 매체에 광고비를 지불함으로써 매체 경영의 주된 수익원이 된다. 미국의 경우, 잡지 수익의 60%, 신문은 70%, 방송은 거의 100%를 광고가 지탱해 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조선일보>의 경우 수익의 72.4%, <한국일보>는 76.6%를 광고에 의존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긴다. 광고주가 매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면, 광고주가 뉴스나 보도 프로그램에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하지 않을까? 아니면 매체사가 스스로 미리 자제하는 역학 관계는 없을까?
사실 그 같은 사례가 발생하였다. 현대그룹의 정주영 회장이 1992년 대선에 출마했을 때 <조선일보>의 보도 방향이 비호의적이라고 해서 현대그룹의 광고를 철수한 적이 있다. 누가 원인 제공자였는지는 차치하고 광고주와 매체사 사이의 갈등을 단적으로 드러낸 사례라고 하겠다. 미국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자동차 Automobile > 잡지사의 편집인이 연설 도중에 GM사의 감량 경영을 비난하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이에 격분한 GM사는 잡지사에 3개월 동안 광고를 게재하지 않았다.
비영리 기관인 상업주의 연구 센터(Center for the Study of Commercialism)는 미국에서 50개의 사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광고주의 압력으로 인하여 매체사는 일부 기사의 보도를 금지하거나, 부정적인 면을 축소, 또는 긍정적인 면을 강조할 수 있다. 즉, 광고주와 연관된 논란이 되는 이슈들을 피하고 싶은 게 매체사의 본능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매체가 광고주에 고분고분한 자세를 보인다면 그 매체는 시청자나 독자로부터 멀어질 것이고, 이는 시청률이나 구독률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광고할 대상이 감소하므로 광고주의 선호 대상에서 제외되는 악순환을 맞는다.
그리고 광고주에게도 역효과가 발생한다. 매체사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알려지면 독자나 시청자는 광고주에게 호감을 갖지 않는다. 수용자의 입장에서 매체는 뉴스나 오락의 중요한 정보원이기를 바라며, 이들 매체사가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해 주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일부 매체들은 광고주가 아니라 국가의 지원을 받는다. 사회주의 국가의 매체나 자본주의의 공영 방송이 그러한 사례에 속한다. 그렇지만 언론자유 옹호자들은 국가 지원을 빌미로 정부가 매체를 통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염려한다. 이에 비하여 매체사가 여러 광고주와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면, 단독 광고주에게 영향 받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