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카피
1. 카피에 대한 기초
2. 헤드라인
3. 본문
4. 슬로건
Ⅱ. 카피라이팅
1. 카피의 개요 작성법
2. 카피라이터를 위한 지침
1) 명확하게 쓰자
2) 언어 선택에 신중하자
3) 능동적으로 현
4) 간결하도록
5) 생동감 있게
6) 진부한 표현은 피하자
Ⅲ. 활자
1. 활자체에 관한 이해
2. 활자체의 선정
1. 카피에 대한 기초
2. 헤드라인
3. 본문
4. 슬로건
Ⅱ. 카피라이팅
1. 카피의 개요 작성법
2. 카피라이터를 위한 지침
1) 명확하게 쓰자
2) 언어 선택에 신중하자
3) 능동적으로 현
4) 간결하도록
5) 생동감 있게
6) 진부한 표현은 피하자
Ⅲ. 활자
1. 활자체에 관한 이해
2. 활자체의 선정
본문내용
합한 것으로 최정호에 의해 창작된 서체다. 기본 골격은 고딕체와 유사하지만 가로와 세로의 굵기는 명조체를 반영한다.
(4) 궁서체: 못글씨 모양을 본뜬 서체로 전통적 이미지의 표현에 적합하다.
(5) 필기체: 손으로 글씨를 쓴 형태의 글자체로 비형식적이고 다정다감한 느낌을 전달한다. 가독성은 약간 떨어진다.
- 국문 활자체의 종류
각 활자체 내에서 기본적인 디자인은 똑같지만 글자의 비율이나 기울기 등이 변형될 수 있다. 글자체의 굵기가 않거나 굵을 수 있으며, 이탤릭체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각 활자체에 속하면서 가질 수 있는 모든 특성을 폰트라고 한다. 이들 특성들은 가독성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활자체를 선정할 때 함께 고려해야 한다.
- 활자체의 변형요인
영문 활자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가운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활자체는 로만체 와 고딕체 이다.
(1) 로만roman(세리프serif): 고대 로마인들의 글자체에 기원을 둔다. 두껍고 얇은 획을 모두 사용하는데 획의 끝에 세리프(가늘고 짧은 선)가 붙어 있다. 모양은 작은 삼각형 형태를 띤다. 이 세리프 덕분에 글자체에 따뜻함이 느껴진다.
(2) 고딕 gothic: 로만체보다 단순하고 명료하다. 획의 폭이 일정하며 세리프가 없다(sans은 프랑스어로 '없다'는 뜻임). 고딕체(또는 블록체)는 헤드라인이나 로고처럼 본문이 아닌 '눈에 띄는 카피'용으로 사용된다. 비록 로만체가 본문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지만 종종 고딕체도 본문에 사용된다.
(3) 스퀘어 세리프: 로만체와 고딕체의 교배종인 셈이다. 고딕체와 짧았지만 세리프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리프가 글자체의 획과 똑같은 두께로 처리된다. 본문에 많이 사용되면 읽기 힘들고, 헤드라인에 적합하다.
(4) 스크립트(script): 필기체와 유사한 형태를 떤다. 글자가 종종 연결되며 여성다움, 고전적 느낌을 전달해 줄 수 있다. 읽기가 어려우므로 주로 헤드라인에 사용된다.
(5) 장식체(ornamental): 장식체는 많은 장식으로 꾸며지고 새로운 디자인 형태를 사용한 글자체이다. 특수 효과를 덧붙이지만 가독성은 떨어진다.
이 같은 각 활자체의 종류는 연관된 활자체 가족으로 구성된다. 한 예로 로만은 세 종류로 더욱 세분된다. 올드 스타일(old styl)e, 트랜지셔널transitional, 모던modern. 그 가운데 트랜지셔널에 속한 바스커빌(Baskerville) 활자체는 가장 아름다운 로만체로 평가되고 있어 본문 활자체로 많이 사용된다.
- 영문 활자체의 종류
2) 활자체의 선정
활자체의 시각적인 요인은 느낌과 의미를 전달하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된다. 그래서 활자 디자이너 존 맥웨이드 John McWade 는 활자체를 '눈에 보이는 목소리 visible voice'라고 칭할 정도다.
즉, 광고에 등장하는 인물이 말하는 목소리인 셈이다. 올바른 활자체를 선정하는 작업은 광고 디자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면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할까?
첫째, 활자체와 내용이 조화를 이루는지 판별해야 한다. 즉, 광고 제품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부드러운 속옷 광고에 고딕체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또 다른 조화는 광고 내용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메시지는 강력한 에너지를 이야기하는데 부드러운 필기체로 전달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된다. 따라서 이 같은 조화를 고려해서 활자체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활자체와 시각의 조화다. 카피와 아트는 함께 통합된 전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한 예로 광고물의 주요 시각적 요인은 스피드를 강조하는데 활자체가 궁서체라면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헤드라인과 본문의 활자체가 조화를 이를 뿐만 아니라 광고물의 시각적 이미지와도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읽기 쉬워야 한다. 디자이너 수엽을 받는 초보자는 흔히 다양한 활자체를 사용함으로써 창의성을 과시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활자의 주된 목적은 읽히는 데 있다. 따라서 수용자가 읽기 쉽도록 활자체를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독성과 연관된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자체를 배열하는 것이 위에서 아래로 배열하는 것보다 읽기 쉽다.
(2) 글자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띄어져 있는 것이 읽기 쉽다.
(3) 검정 바탕에 횐 글씨보다는 횐 바탕에 검정 글씨가 읽기 쉽다.
(4) 활자체를 섞으려면 비슷한 것이거나 아니면 아주 이질적이어야 읽기 쉽다.
(4) 궁서체: 못글씨 모양을 본뜬 서체로 전통적 이미지의 표현에 적합하다.
(5) 필기체: 손으로 글씨를 쓴 형태의 글자체로 비형식적이고 다정다감한 느낌을 전달한다. 가독성은 약간 떨어진다.
- 국문 활자체의 종류
각 활자체 내에서 기본적인 디자인은 똑같지만 글자의 비율이나 기울기 등이 변형될 수 있다. 글자체의 굵기가 않거나 굵을 수 있으며, 이탤릭체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각 활자체에 속하면서 가질 수 있는 모든 특성을 폰트라고 한다. 이들 특성들은 가독성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활자체를 선정할 때 함께 고려해야 한다.
- 활자체의 변형요인
영문 활자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가운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활자체는 로만체 와 고딕체 이다.
(1) 로만roman(세리프serif): 고대 로마인들의 글자체에 기원을 둔다. 두껍고 얇은 획을 모두 사용하는데 획의 끝에 세리프(가늘고 짧은 선)가 붙어 있다. 모양은 작은 삼각형 형태를 띤다. 이 세리프 덕분에 글자체에 따뜻함이 느껴진다.
(2) 고딕 gothic: 로만체보다 단순하고 명료하다. 획의 폭이 일정하며 세리프가 없다(sans은 프랑스어로 '없다'는 뜻임). 고딕체(또는 블록체)는 헤드라인이나 로고처럼 본문이 아닌 '눈에 띄는 카피'용으로 사용된다. 비록 로만체가 본문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지만 종종 고딕체도 본문에 사용된다.
(3) 스퀘어 세리프: 로만체와 고딕체의 교배종인 셈이다. 고딕체와 짧았지만 세리프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리프가 글자체의 획과 똑같은 두께로 처리된다. 본문에 많이 사용되면 읽기 힘들고, 헤드라인에 적합하다.
(4) 스크립트(script): 필기체와 유사한 형태를 떤다. 글자가 종종 연결되며 여성다움, 고전적 느낌을 전달해 줄 수 있다. 읽기가 어려우므로 주로 헤드라인에 사용된다.
(5) 장식체(ornamental): 장식체는 많은 장식으로 꾸며지고 새로운 디자인 형태를 사용한 글자체이다. 특수 효과를 덧붙이지만 가독성은 떨어진다.
이 같은 각 활자체의 종류는 연관된 활자체 가족으로 구성된다. 한 예로 로만은 세 종류로 더욱 세분된다. 올드 스타일(old styl)e, 트랜지셔널transitional, 모던modern. 그 가운데 트랜지셔널에 속한 바스커빌(Baskerville) 활자체는 가장 아름다운 로만체로 평가되고 있어 본문 활자체로 많이 사용된다.
- 영문 활자체의 종류
2) 활자체의 선정
활자체의 시각적인 요인은 느낌과 의미를 전달하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된다. 그래서 활자 디자이너 존 맥웨이드 John McWade 는 활자체를 '눈에 보이는 목소리 visible voice'라고 칭할 정도다.
즉, 광고에 등장하는 인물이 말하는 목소리인 셈이다. 올바른 활자체를 선정하는 작업은 광고 디자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면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할까?
첫째, 활자체와 내용이 조화를 이루는지 판별해야 한다. 즉, 광고 제품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부드러운 속옷 광고에 고딕체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또 다른 조화는 광고 내용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메시지는 강력한 에너지를 이야기하는데 부드러운 필기체로 전달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된다. 따라서 이 같은 조화를 고려해서 활자체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활자체와 시각의 조화다. 카피와 아트는 함께 통합된 전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한 예로 광고물의 주요 시각적 요인은 스피드를 강조하는데 활자체가 궁서체라면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헤드라인과 본문의 활자체가 조화를 이를 뿐만 아니라 광고물의 시각적 이미지와도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읽기 쉬워야 한다. 디자이너 수엽을 받는 초보자는 흔히 다양한 활자체를 사용함으로써 창의성을 과시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활자의 주된 목적은 읽히는 데 있다. 따라서 수용자가 읽기 쉽도록 활자체를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독성과 연관된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자체를 배열하는 것이 위에서 아래로 배열하는 것보다 읽기 쉽다.
(2) 글자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띄어져 있는 것이 읽기 쉽다.
(3) 검정 바탕에 횐 글씨보다는 횐 바탕에 검정 글씨가 읽기 쉽다.
(4) 활자체를 섞으려면 비슷한 것이거나 아니면 아주 이질적이어야 읽기 쉽다.
추천자료
지식경영의 이해 및 적용방법 사례 연구 (경영전략)
[A+평가 레포트]통일 한국의 바람직한 보훈제도 통합방향에 관한 연구 - 이론적 고찰, 통합사...
인쇄광고의 표현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 미국 VS 한국
2007년 1학기 비교행정론 C형(비교연구과정에서 제기되는 방법론상의 문제)
혁신학교 운영 사례 비교 연구
인적자원의 개발과 훈련, 인적자원개발 중요성과 교육훈련계획 및 방법, 조직개발 의의와 기...
관람자 연구의 개념 및 방법과 전시평가 사례 조사분석
관람자 연구의 개념 및 중요성과 전시평가 사례 조사분석
[인지적 구성주의]인지적 구성주의의 의의, 인지적 구성주의의 기원, 인지적 구성주의와 기업...
[관계마케팅][마케팅][관계마케팅 정의][관계마케팅 중요성][관계마케팅 선행연구][관계마케...
경영환경의 변화,교육훈련의 의의와 특징,교육훈련의 중요성,교육훈련의 목적과 효과,교육훈...
[기업문화][기업][문화][기업문화 의미][기업문화 중요성]기업문화의 의미, 기업문화의 중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