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벌][체벌 종류][체벌 사용제한][체벌 훈계][체벌 놀이][체벌 방법]체벌(벌)의 종류, 체벌(벌)의 사용제한, 체벌(벌)의 훈계, 체벌(벌)의 놀이, 체벌(벌)의 방법 분석(체벌, 벌, 체벌 종류, 체벌 사용제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벌][벌][체벌 종류][체벌 사용제한][체벌 훈계][체벌 놀이][체벌 방법]체벌(벌)의 종류, 체벌(벌)의 사용제한, 체벌(벌)의 훈계, 체벌(벌)의 놀이, 체벌(벌)의 방법 분석(체벌, 벌, 체벌 종류, 체벌 사용제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체벌(벌)의 종류
1. 꾸짖기
2. 격리
3. 편지
4. 행사 참여 박탈
5. 특권의 박탈
6. 방과 후 잡아두기
7. 관심 중단

Ⅲ. 체벌(벌)의 사용제한

Ⅳ. 체벌(벌)의 훈계
1. 꾸짖을 때의 열 가지 금지 조항
2. 기록카드를 만들어서 나 스스로 되돌아보기

Ⅴ. 체벌(벌)의 놀이
1. 같은 대답하기
2. 노래부르기 1
3. 노래부르기 2
4. 다리수 줄이기
5. 만세
6. 뻥튀기 먹기
7. 뽕 망치
8. 수염 떼기
9. 신문지 위에 올라서기
10. 아니오! 네! 감사합니다

Ⅵ. 체벌(벌)의 방법
1. 벌은 행동이 발생한 뒤에 바로 주어져야 한다
2. 벌은 아동의 행동과 관련해서 주어야 효과적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집……
3. 노래부르기 2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부른다.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고 서서 상대방이 노래를 못하도록 큰 소리로 각기 다른 노래를 부른다.
두 사람이 서로 상대의 코를 잡거나, 이마를 맞대고 노래를 부른다.
한 사람은 웃으면서 다른 사람은 울면서 노래를 부른다.
삐삐 머리하고 부르기(고무줄로 양쪽 머리를 묶어 올린 후 노래 부른다.)
국민체조하며 노래 부르기
발레하며 노래 부르기
훌라춤추며 노래 부르기
뱃속에 풍선 집어넣고 노래 부르기
동물 흉내내며 노래 부르기
로봇 동작하며 노래 부르기
연필을 코와 입 사이에 놓고 윗입술 치켜 올려 떨어지지 않게 하며 노래 부르기
입에 음식을 잔뜩 넣고 음식물 밖으로 나오지 않게 하면서 노래 부르기
4. 다리수 줄이기
여러 명이 벌칙을 받을 경우 부르는 숫자대로 다리수를 줄여 나간다. 예를 들면 다리수 3개 하면 6명이 벌칙을 받을 경우 3명이 1명씩 업고 외발로 선다.
5. 만세
칠판이나 벽에 키 높이 정도의 손 모양을 그린 후 벌칙자는 손을 갖다 붙인다. 동성인 아이들을 한명 불러내어 겨드랑이를 간지럽히게 한다. 약 3~5초 정도 참고 있으면 벌칙자를 들여보내도록 한다.
6. 뻥튀기 먹기
입에 뻥튀기를 물고서 손을 대지 않고 먹게 한다. 뻥튀기가 녹아서 어렵지 않게 먹을 수 있다.
7. 뽕 망치
두 사람이 눈을 감고 등을 맞대어 가위바위보를 한다. 교사는 이기고 지는 것에 상관없이 뽕망치로 한 사람은 때리는 시늉만 하고 한 사람만 집중적으로 때린다.
8. 수염 떼기
물 묻힌 종이를 뺨이나 턱에 붙인다. 벌칙을 받는 아이는 손을 대지 않고 얼굴 근육만을 움직여서 종이를 떼도록 한다.
9. 신문지 위에 올라서기
신문지 위에 사람들이 다 올라가 선다. 신문지를 점차 조금씩 접어 가며 줄어든 신문지 위에 모두 올라가게 한다.
10. 아니오! 네! 감사합니다
벌칙을 받는 사람에게 질문을 하여 반드시 첫 번째 질문에는 아니오, 두 번째 질문에는 네, 세 번째 질문에는 감사합니다를 하게 한다. 부탁하고자 하는 말을 마음속으로 정한 후 질문을 하여 벌칙자가 부탁을 들어주게 한다.
첫 번째 질문 : 그냥 들어가시겠습니까? - 아니오
두 번째 질문 : 부탁 하나를 들어 주시겠습니까? - 네
세 번째 질문 : 그럼 노래하나 부탁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Ⅵ. 체벌(벌)의 방법
벌은 원칙적으로 주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부득이 벌을 주어야 할 때는 벌을 주기 전에 유아에게 어떤 행동을 기대하며, 기대에서 어긋났을 때는 어떤 결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어떤 행동에 대해서 벌을 주는 것이 옳다고 생각될 때는 다음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 보자.
1. 벌은 행동이 발생한 뒤에 바로 주어져야 한다
만일 어머니가 \"네 아버지가 오시면 혼날거야\"라고 말한다면 아동은 아버지가 올 때까지 벌을 받는 것이 되며, 아버지가 오셨을 때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고 있었다면 아동은 바람직한 행동이 벌을 받는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벌은 아동의 수준에서 이해되고 벌 받을 만하다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아동이 벌을 받는 것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그 벌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2. 벌은 아동의 행동과 관련해서 주어야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이 교실 벽에 크레파스로 그림을 그렸다면 잠시 동안 크레파스를 갖지 못하게 하고 자신이 그린 벽을 닦도록 하는 벌을 준다.
벌은 사랑과 존중의 관계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부모는 자신의 기분이 나쁠 때 아동에게 화풀이하는 심정으로 벌을 주면 안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적인 벌은 부모의 감정을 방출시키는 매개체가 되며, 아동이 적절한 행동을 배우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아동의 마음속에 적개심, 분노, 부모에 대한 두려움 등이 쌓이게 하여 비효과적일 수도 있다. 부모가 아동 자신보다 아동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벌을 주면 아동의 자아 존중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항상 아동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벌을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문성학(2011), 전면적 체벌금지는 교육적인가?, 철학문화연구소
박정원 외 1명(2010), \'체벌\' 금지에 대한 입법동향과과제, 대한교육법학회
이종근(2011), 체벌의 허용범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정진이(2006), 체벌의 교육적 효과와 법적 고찰, 군산대학교
조국(2007), 교사의 체벌과 정당행위, 서울대학교
최순례(2006), 학생체벌의 법적 한계, 충북대학교

키워드

체벌,   ,   훈계,   놀이,   교육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