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감자생산][고추생산][단백질생산][석유생산][수돗물생산][쌀생산][종묘생산][에탄올생산][감자][고추][단백질]감자생산, 고추생산, 단백질생산, 석유생산, 수돗물생산, 쌀생산, 종묘생산, 에탄올생산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산][감자생산][고추생산][단백질생산][석유생산][수돗물생산][쌀생산][종묘생산][에탄올생산][감자][고추][단백질]감자생산, 고추생산, 단백질생산, 석유생산, 수돗물생산, 쌀생산, 종묘생산, 에탄올생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감자생산
1. 종서 생산
2. 줄기모(복지)에서 종서 생산
3. 연구 종합 고찰

Ⅱ. 고추생산
1. 담배나방의 발생동향
2. 해충(담배나방)의 방제책

Ⅲ. 단백질생산
1. Cytokine 및 관련 단백질
2. 단클론항체

Ⅳ. 석유생산

Ⅴ. 수돗물생산
1. 취수구
2. 침사지
3. 취수 펌프장
4. 전오존처리
5. 착수지․혼화지
6. 침전지
7. 여과지
8. 후오존처리
9. 입상활성탄 여과지
10. 정수지
11. 양수장
12. 배수지
13. 고지양수장

Ⅵ. 쌀생산
1. 논벼생산비 동향
2. 10a당 생산비
1) 연도별 10a당 생산비 추이
2) 주요 비목별 동향
3. 80㎏당 생산비

Ⅶ. 종묘생산

Ⅷ. 에탄올생산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식보다 해삼양식이 어렵게 느껴진다. 그러나 전복종묘생산기술의 경험이 있으면 먹이생물 배양시설과 배양기술을 습득할 경우 해삼 종묘생산은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참고로 식물플랑크톤 먹이생물 배양기술 습득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032-745-0565, 745-0567,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 소재) 또는 패류연구센터(055-862-9640, 경남 남해군 상주면 소재)에서 가능하며, 대량배양을 위한 소량의 원종 공급이 필요할 경우에는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해삼양식 산업은 급속히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해삼 종묘생산은 현재와 같이 축제식 및 씨뿌림 양식 등이 활성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대량 종묘생산이 급속히 확대 보급될 경우 오히려 과잉생산에 의한 종묘생산 어업인의 손실이 초래될 수 있으며, 양식산업화가 본격화되기 이전에 자립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국내 해삼 종묘수요량은 당초 약 2천만 마리 수준으로 예상하고 3,000만 마리의 생산을 유도하였으나 실제 생산량은 5,000만 마리 수준에 달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다. 따라서 타 양식산업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종묘생산 어업인의 자발적인 생산량 조정이 필요하며, 우량한 종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기종묘(5월~6월중순 이전)의 생산이 필수적이다.
해삼종묘생산은 앞으로 수요량을 크게 초과하여 대량생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우량종묘가 아니면 판매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해삼종묘생산에 참여를 원하는 생산자는 금후 종묘수급 동향과 판매가능성을 주의 깊게 검토한 다음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해삼종묘생산 시설 적지는 대부분 전복종묘생산시설이 위치한 곳이기 때문에 시설을 새로 마련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전복종묘생산시설을 재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또한 종묘 값이 3cm 크기를 기준으로 150~200원 내외(1cm당 50~60원 내외)에 이르게 됨으로 축제식 양식 등 100만 마리 이상으로 대량의 종묘가 필요할 경우에는 자가 생산을 검토하고 그 이하일 때는 종묘생산기술 및 생산비용의 증가와 판매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구입하여 양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종묘수급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생존율이 낮고 질병 유입 등의 우려가 있는 중국산 해삼종묘의 불법유통을 차단해야 하며, 현재 국내산 종묘가 충분히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수입은 불필요하다.
Ⅷ. 에탄올생산
미생물에 의한 에탄올의 산업적인 생산공정은 원료인 기질의 전처리, 알콜발효, 분리정제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탄올 생성 기질로는 cassava, sugar cane, maize, molasses 등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주로 6탄당인 포도당을 에탄올로 전환시키며, 실제 발효수율은 이론수율의 약 90%인 0.46g ethanol/g glucose 정도이다. 원료비가 에탄올 생산단가의 약 30~60%를 차지하고 있어, 보다 경제적인 에탄올 생산을 위해서는 값이 싼 원료를 이용하여야 한다. 동시에 원료에 대한 에탄올 수율도 향상시켜야 하며 생성속도도 증가시켜야 한다.
연료용 에탄올 생산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분질 및 molasses의 기본원료 외에 바이오매스(biomass)로써 농산 폐기물, 섬유성 물질, 도시 고형폐기물 및 sulfite pulping waste 등이 있다. 이중 섬유성 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고 매년 약 1011tons 가량이 광합성에 의하여 계속 생산되므로 대체에너지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biomass)로써 가장 주목을 받고 있어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섬유성 물질의 구성은 주로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의 세 가지 성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성 물질의 경제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 물질을 모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들 섬유소 구성 성분들은 효소 또는 산분해에 의하여 주성분인 포도당 및 mannose, cellobiose, xylose, arabinose, galactose 등의 6탄당과 5탄당의 혼합된 당이 생성된다. 산가수분해에 의하여 cellulose로부터 포도당은 55~60%의 수율로 얻을 수 있는 반면 xylan과 같은 hemicellulose는 80~85%의 xylose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에탄올 발효에 사용해온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는 hemicellulose의 주성분인 xylose를 직접 에탄올로 전환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 부존하는 천연자원중 이용 가능한 바이오매스(biomass) 총량은 약 1.5억톤으로 추정되며 이중 산림농산 폐기물이 전체의 96%를 차지하므로 국내실정에 알맞는 에탄올 생산기술은 이러한 산림자원 및 농산폐기물 등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목재 중 15~30% 정도와 농산폐기물에는 약 15%가 xylose이고, 또한 펄프.제지공장에서 배출되는 부산물 중에는 평균적으로 포도당 2.6%,xylose 4.6%가 함유되어 있어 에탄올을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포도당뿐만 아니라 5탄당인 xylose도 탄소원으로 이용해야 한다.
Xylose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비용은 크게 원료, 생산 및 분리비용이 있다. 이중에서 생산비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에탄올 수율, 최종농도 및 생산성이다. 따라서 높은 수율과 고농도의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성건, 단백질 구조분석을 위한 단일단백질 생산시스템, 한국생물공학회, 2011
농수산물유통공사, 세계의 쌀생산 및 교역, 1994
박주용 외 4명, 심해 석유 생산 시스템 시뮬레이션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12
이준수, 친환경 고기능 고추 생산 및 상품화 전략 기술 개발연구, 충북대학교, 2010
임경미 외 5명, 수돗물 생산과정에서 미네랄 성분의 변화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2011
전찬익, 감자생산의 규모경제성 분석, 농업협동조합중앙회, 1992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