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감자생산(감자재배)의 종서생산
1. 연구의 목적
2. 연구한 내용
1) 열매 채취
2) 종서 생산
3) 종서를 통한 감자 재배 방법
4) 줄기모(복지)의 촉성 재배
5) 연구에 사용된 감자 품종
3. 연구 단계
1) 관찰 단계
2) 연구 단계
3) 실험 재배 단계
4. 연구 결과
1) 종서 생산
2) 줄기모(복지)에서 종서 생산
3) 연구 종합 고찰
Ⅲ. 감자생산(감자재배)의 접붙이기
1. 씨감자 준비 및 심기
2. 관리
3. 모종 준비
4. 접붙이기
1) 감자에 토마토와 방울토마토 접붙이기
2) 토․감에 방울토마토 접붙이기
3) 토마토와 가지 접붙이기
4) 감․토․방토․가 접붙이기
5. 세 줄기 기르기
6. 효과적인 접붙이는 요령
1) 첨접식 기접법(호접)
2) 삽접
3) 깍기접(할접)
4) 호삽접과 개량 호접
7. 접붙이는 방법의 장․단점 조사
8. 생육 조사 및 수확량 측정
Ⅳ.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고려사항
1. 종서 복지와 온도와의 관계
2. 복지와 수분과의 관계
3. 복지와 햇빛과의 관계
4. 복지와 토양
5. 복지와 경토
6. 생산전략
Ⅴ.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Ⅱ. 감자생산(감자재배)의 종서생산
1. 연구의 목적
2. 연구한 내용
1) 열매 채취
2) 종서 생산
3) 종서를 통한 감자 재배 방법
4) 줄기모(복지)의 촉성 재배
5) 연구에 사용된 감자 품종
3. 연구 단계
1) 관찰 단계
2) 연구 단계
3) 실험 재배 단계
4. 연구 결과
1) 종서 생산
2) 줄기모(복지)에서 종서 생산
3) 연구 종합 고찰
Ⅲ. 감자생산(감자재배)의 접붙이기
1. 씨감자 준비 및 심기
2. 관리
3. 모종 준비
4. 접붙이기
1) 감자에 토마토와 방울토마토 접붙이기
2) 토․감에 방울토마토 접붙이기
3) 토마토와 가지 접붙이기
4) 감․토․방토․가 접붙이기
5. 세 줄기 기르기
6. 효과적인 접붙이는 요령
1) 첨접식 기접법(호접)
2) 삽접
3) 깍기접(할접)
4) 호삽접과 개량 호접
7. 접붙이는 방법의 장․단점 조사
8. 생육 조사 및 수확량 측정
Ⅳ.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고려사항
1. 종서 복지와 온도와의 관계
2. 복지와 수분과의 관계
3. 복지와 햇빛과의 관계
4. 복지와 토양
5. 복지와 경토
6. 생산전략
Ⅴ.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을 모두 사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첨접식 기접법(호접)
충남농촌진흥원에서와 대전엑스포에 소개된 토감에 이용된 호접의 경우 두 작물의 성장 속도가 달라(특히 토마토와 가지의 경우 성장 속도 4배 이상 차이남)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편 하여 농가에 보급하여 일반화시키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삽접
삽접 방법은 접붙인 곳의 모양도 보기 좋고 감자에 토마토, 토마토에 방울토마토의 접붙이기는 100%에 가까운 성공률이 나타나 잘 되었으나 접수가 대목에서 잘 빠져나와 불편하고 토마토에 가지 접붙이기는 성공률이 60%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활착과 생육 속도가 매우 느렸다.
3) 깍기접(할접)
대목을 지상 3 ~ 4cm 정도 남기고 대목가운데를 2cm 정도 갈라 접수를 깎아 갈라진 대목에 넣고 집게로 집어주거나 끈으로 묶어준 이 방법은 결과가 삽접보다는 활착률이 높게(감자+토마토 100%) 나타났으나 역시 토마토와 가지접의 경우에는 생육 속도가 달라 적절하지 못하였다.
4) 호삽접과 개량 호접
가) 호삽접 : 호접과 삽접의 장점을 살린 호삽접으로 토마토와 가지를 접붙일 때 남긴 줄기의 부분이 잘 떨어져 나가거나 관리가 어려워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지는 못하였다.
나) 개량호접 : 토마토와 가지 접붙이기는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데 호접과 깎기접의 장점을 합친 개량호접으로 접붙일 때 활착되는 동안 뿌리에서 소량의 영양분 공급이 가능해져 시들지 않아 성공율률이 100%가까이 나타날 정도로 활착이 잘되고 생육 속도도 빨라 토감 및 가지과 식물 접붙이기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었다.
7. 접붙이는 방법의 장단점 조사
접붙이는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각 접붙이는 방법 장단점
방법
내용
할접(깎기접)
호접
호삽접
개량호접
눈접
장 점
접붙이는 방법이 쉽고 간편하다.
활착률 높다
활착률이 높고 성장이 비교적 빠름
접붙이기 쉽다.
활착률이 좋아 성장이 빠름
접붙이기 쉽다.
접순 구하기 쉽다.
단 점
접목부위가 보기 나쁘다.
두 작물 성장 속도 같아야 잘됨
종류가 다른 작물 접붙이기 나쁨
접붙이기가 어렵다.
줄기의 나머지 부분 잘 떨어짐
처음 접목부위 보기 나쁘나 점차 괜찮아짐.
토마토와 방울토마토는 활착력 좋으나 토마토 가지 잘 안되고(활착률10%이하) 생육 속도매우 느림
사용한 곳
토마토 + 방.토
감자 + 토마토
토마토 + 방토
토마토 + 가지
토마토 + 방.토
토마토 + 가지
감자 + 토마토
토마토 +방.토
8. 생육 조사 및 수확량 측정
가) 토마토와 방울토마토, 감자와 토마토를 접붙인 경우 처음에는 잎이 시들다가 1주일 후면 시들었던 잎줄기가 다시 싱싱해져 활착 된다.
나) 토마토에 가지를 접붙일 경우 2주 정도는 성장이 거의 되지 않아 활착이 안 되는 듯하다 3주 정도 지나서 성장이 눈에 조금 뜨일 정도로 나타나다가 6주 정도 지나면 토양에 심은 가지 보다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다) 생육 조사는 처음부터 하지 않고 활착이 된 것을 확인 후 여러 개체 중 생육 상태가 중간 정도 되는 것을 5개씩 선택하여 표본 조사 하였다.
라) 수확량의 측정은 개수를 조사하다가 크기가 다른 것이 있어 아르키메데스의 왕관 실험을 응용하여 부피로 측정하여 수확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Ⅳ.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고려사항
1. 종서 복지와 온도와의 관계
감자 종류
봄 감자
가을 감자
하우스 재배
평균 온도
10℃ ~ 23℃
10℃ ~ 24℃
20℃이상
복지 수(평균)
복지가 5 ~ 6개 성장
복지가 4 ~ 5개 성장
복지가 3 ~ 4개 성장
(복지는 10℃ ~ 23℃가 유지되는 봄가을철이 감자를 재배하기에 좋다)
2. 복지와 수분과의 관계
줄기모를 1개 뽑아서 그늘에 약 한 달 동안 놓아두고 관찰하였는데 큰 변화가 없었다.(수분을 뿌리에서 얻어 감자에 전해 준다)
3. 복지와 햇빛과의 관계
재배하는 한 줄기모를 약 한 달간 종이로 가려서 광합성 작용을 못하도록 하였더니 줄기와 잎이 시들어 말라 있었고, 복지의 감자도 쭈글쭈글해졌다.(감자 재배에는 많은 일조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는 가을에 줄기모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4. 복지와 토양
감자는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며 모래가 많이 섞여 있는 땅이 좋으며 물 빠짐이 좋아야 한다.(사양토와 물 빠짐이 좋은 땅)
5. 복지와 경토
감자를 재배할 때 밭을 깊게 갈아주고 줄기모에 흙을 쌓아 주는 것이 좋다.(줄기모에 부토를 하면 괴경이 굵다)
6. 생산전략
가. 감자의 열매 씨앗을 이용해 좋은 감자의 종서를 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나. 감자의 열매 씨앗을 이용해 질 좋고 병충해에 강한 다양한 종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다. 씨감자가 대량 절약되며, 종서 생산을 농가에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라. 씨감자의 약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 씨감자의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바. 농가의 일손을 절약하고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다.
사. 짧은 기간에 감자를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량을 증산할 수 있다.
아. 적은 면적의 땅에서 최대의 생산을 할 수 있다.
Ⅴ.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기대효과
소개된 감자의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에서 재배한다면 유전공학의 기초를 함께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 유발에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곁가지에서 재수확이 이루어져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수확시기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재배법으로 생각된다. 접붙이기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면 연작에 의한 피해도 줄이고, 병해 발생이 없는 것으로 보아 내병성이 강해져 농약의 감소에 따라 방제시 인건비 절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성보 : 생산형태별 감자의 수급예측모형 개발, 한국농업경제학회, 2003
김정욱 : 감자재배·생산·저장 및 유통실태, 농수산물유통공사, 1996
민족의학연구원 : 약 안 치고 농사짓기, 보리, 2012
장병호 : 감자백과, 선진문화사, 2005
전찬익 : 감자생산의 규모경제성 분석, 농업협동조합중앙회, 1992
함영일 : 최근 씨감자 생산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점 고찰, 한국종자연구회, 2010
1) 첨접식 기접법(호접)
충남농촌진흥원에서와 대전엑스포에 소개된 토감에 이용된 호접의 경우 두 작물의 성장 속도가 달라(특히 토마토와 가지의 경우 성장 속도 4배 이상 차이남)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편 하여 농가에 보급하여 일반화시키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삽접
삽접 방법은 접붙인 곳의 모양도 보기 좋고 감자에 토마토, 토마토에 방울토마토의 접붙이기는 100%에 가까운 성공률이 나타나 잘 되었으나 접수가 대목에서 잘 빠져나와 불편하고 토마토에 가지 접붙이기는 성공률이 60%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활착과 생육 속도가 매우 느렸다.
3) 깍기접(할접)
대목을 지상 3 ~ 4cm 정도 남기고 대목가운데를 2cm 정도 갈라 접수를 깎아 갈라진 대목에 넣고 집게로 집어주거나 끈으로 묶어준 이 방법은 결과가 삽접보다는 활착률이 높게(감자+토마토 100%) 나타났으나 역시 토마토와 가지접의 경우에는 생육 속도가 달라 적절하지 못하였다.
4) 호삽접과 개량 호접
가) 호삽접 : 호접과 삽접의 장점을 살린 호삽접으로 토마토와 가지를 접붙일 때 남긴 줄기의 부분이 잘 떨어져 나가거나 관리가 어려워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지는 못하였다.
나) 개량호접 : 토마토와 가지 접붙이기는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데 호접과 깎기접의 장점을 합친 개량호접으로 접붙일 때 활착되는 동안 뿌리에서 소량의 영양분 공급이 가능해져 시들지 않아 성공율률이 100%가까이 나타날 정도로 활착이 잘되고 생육 속도도 빨라 토감 및 가지과 식물 접붙이기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었다.
7. 접붙이는 방법의 장단점 조사
접붙이는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각 접붙이는 방법 장단점
방법
내용
할접(깎기접)
호접
호삽접
개량호접
눈접
장 점
접붙이는 방법이 쉽고 간편하다.
활착률 높다
활착률이 높고 성장이 비교적 빠름
접붙이기 쉽다.
활착률이 좋아 성장이 빠름
접붙이기 쉽다.
접순 구하기 쉽다.
단 점
접목부위가 보기 나쁘다.
두 작물 성장 속도 같아야 잘됨
종류가 다른 작물 접붙이기 나쁨
접붙이기가 어렵다.
줄기의 나머지 부분 잘 떨어짐
처음 접목부위 보기 나쁘나 점차 괜찮아짐.
토마토와 방울토마토는 활착력 좋으나 토마토 가지 잘 안되고(활착률10%이하) 생육 속도매우 느림
사용한 곳
토마토 + 방.토
감자 + 토마토
토마토 + 방토
토마토 + 가지
토마토 + 방.토
토마토 + 가지
감자 + 토마토
토마토 +방.토
8. 생육 조사 및 수확량 측정
가) 토마토와 방울토마토, 감자와 토마토를 접붙인 경우 처음에는 잎이 시들다가 1주일 후면 시들었던 잎줄기가 다시 싱싱해져 활착 된다.
나) 토마토에 가지를 접붙일 경우 2주 정도는 성장이 거의 되지 않아 활착이 안 되는 듯하다 3주 정도 지나서 성장이 눈에 조금 뜨일 정도로 나타나다가 6주 정도 지나면 토양에 심은 가지 보다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다) 생육 조사는 처음부터 하지 않고 활착이 된 것을 확인 후 여러 개체 중 생육 상태가 중간 정도 되는 것을 5개씩 선택하여 표본 조사 하였다.
라) 수확량의 측정은 개수를 조사하다가 크기가 다른 것이 있어 아르키메데스의 왕관 실험을 응용하여 부피로 측정하여 수확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Ⅳ.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고려사항
1. 종서 복지와 온도와의 관계
감자 종류
봄 감자
가을 감자
하우스 재배
평균 온도
10℃ ~ 23℃
10℃ ~ 24℃
20℃이상
복지 수(평균)
복지가 5 ~ 6개 성장
복지가 4 ~ 5개 성장
복지가 3 ~ 4개 성장
(복지는 10℃ ~ 23℃가 유지되는 봄가을철이 감자를 재배하기에 좋다)
2. 복지와 수분과의 관계
줄기모를 1개 뽑아서 그늘에 약 한 달 동안 놓아두고 관찰하였는데 큰 변화가 없었다.(수분을 뿌리에서 얻어 감자에 전해 준다)
3. 복지와 햇빛과의 관계
재배하는 한 줄기모를 약 한 달간 종이로 가려서 광합성 작용을 못하도록 하였더니 줄기와 잎이 시들어 말라 있었고, 복지의 감자도 쭈글쭈글해졌다.(감자 재배에는 많은 일조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는 가을에 줄기모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4. 복지와 토양
감자는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며 모래가 많이 섞여 있는 땅이 좋으며 물 빠짐이 좋아야 한다.(사양토와 물 빠짐이 좋은 땅)
5. 복지와 경토
감자를 재배할 때 밭을 깊게 갈아주고 줄기모에 흙을 쌓아 주는 것이 좋다.(줄기모에 부토를 하면 괴경이 굵다)
6. 생산전략
가. 감자의 열매 씨앗을 이용해 좋은 감자의 종서를 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나. 감자의 열매 씨앗을 이용해 질 좋고 병충해에 강한 다양한 종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다. 씨감자가 대량 절약되며, 종서 생산을 농가에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라. 씨감자의 약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 씨감자의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바. 농가의 일손을 절약하고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다.
사. 짧은 기간에 감자를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량을 증산할 수 있다.
아. 적은 면적의 땅에서 최대의 생산을 할 수 있다.
Ⅴ. 감자생산(감자재배)의 기대효과
소개된 감자의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에서 재배한다면 유전공학의 기초를 함께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 유발에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곁가지에서 재수확이 이루어져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수확시기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재배법으로 생각된다. 접붙이기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면 연작에 의한 피해도 줄이고, 병해 발생이 없는 것으로 보아 내병성이 강해져 농약의 감소에 따라 방제시 인건비 절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성보 : 생산형태별 감자의 수급예측모형 개발, 한국농업경제학회, 2003
김정욱 : 감자재배·생산·저장 및 유통실태, 농수산물유통공사, 1996
민족의학연구원 : 약 안 치고 농사짓기, 보리, 2012
장병호 : 감자백과, 선진문화사, 2005
전찬익 : 감자생산의 규모경제성 분석, 농업협동조합중앙회, 1992
함영일 : 최근 씨감자 생산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점 고찰, 한국종자연구회,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