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연대파업의 의의
Ⅲ. 연대파업과 연대투쟁
Ⅳ. 연대파업과 방송4사연대총파업
Ⅴ. 연대파업과 가스, 발전, 철도 3사연대파업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연대파업의 의의
Ⅲ. 연대파업과 연대투쟁
Ⅳ. 연대파업과 방송4사연대총파업
Ⅴ. 연대파업과 가스, 발전, 철도 3사연대파업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싸워왔다. 또한 양대 노총은 노사정위원회(이하 노사정위)에서 탈퇴하고, 정리해고 사업장 노동조합 중심으로 파업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파업은 철저하게 파괴되었다. 게다가 공권력은 파업을 유도하여 지도부를 체포함으로써 파업을 파괴하는 악랄한 방법까지 동원하였다.
한국 노동운동은 일제 강점기인 1890년대 말, 각각 2,000명의 광산노동자, 경부선철도부설 노동자 들이 파업을 하였지만 일본제국주의는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였다. 그 후 1929년의 원산총파업, 1946년의 9. 23 총파업, 기타 무수한 파업들이 공권력이라는 이름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또는 회유, 매수로 파괴되었다.
이렇게 한국에 파업권은 그 법리적 기초와 사회적 규범으로서 시인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노동조합 운동의 중, 장기적인 과제는 이 파업권의 확립에 있다. 파업권의 확립 없이는 사회정의로서의 자유권도 없고 노자간의 대등한 입장으로서의 평등권도 없다. 그러나 파업권은 자본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지지도 않고 노자 간에서 중립을 표방하는 정부에 의해 주어지지도 않는다. 오직 노동자의 힘으로서 전취할 수밖에 없는 권리이다.
참고문헌
김영종(2008) / 파업이론과 역사, 조명문화사
도재형(2010) / 파업과 업무방해죄 : 한국에서 단결 금지 법리의 정립 과정, 한국노동법학회
양용진(1992) / 총액임금제에 맞선 3사의 연대파업, 사회평론
이장원(2005) / 한국의 파업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장석준(2000) / 세계를 바꾸는 파업, 이후
최광기(1991) / 파업결정 요인에 관한 이론적 연구, 청주대학교
한국 노동운동은 일제 강점기인 1890년대 말, 각각 2,000명의 광산노동자, 경부선철도부설 노동자 들이 파업을 하였지만 일본제국주의는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였다. 그 후 1929년의 원산총파업, 1946년의 9. 23 총파업, 기타 무수한 파업들이 공권력이라는 이름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또는 회유, 매수로 파괴되었다.
이렇게 한국에 파업권은 그 법리적 기초와 사회적 규범으로서 시인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노동조합 운동의 중, 장기적인 과제는 이 파업권의 확립에 있다. 파업권의 확립 없이는 사회정의로서의 자유권도 없고 노자간의 대등한 입장으로서의 평등권도 없다. 그러나 파업권은 자본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지지도 않고 노자 간에서 중립을 표방하는 정부에 의해 주어지지도 않는다. 오직 노동자의 힘으로서 전취할 수밖에 없는 권리이다.
참고문헌
김영종(2008) / 파업이론과 역사, 조명문화사
도재형(2010) / 파업과 업무방해죄 : 한국에서 단결 금지 법리의 정립 과정, 한국노동법학회
양용진(1992) / 총액임금제에 맞선 3사의 연대파업, 사회평론
이장원(2005) / 한국의 파업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장석준(2000) / 세계를 바꾸는 파업, 이후
최광기(1991) / 파업결정 요인에 관한 이론적 연구, 청주대학교
추천자료
공공부문 3조직 통합을 향한 한걸음
노사관계의 사례
발전노조 노동쟁의
경희의료원 노동쟁위
대동공업 노동쟁의
노동법_ 비정규직 시간강사들의 문제
쟁의행위란 무엇인가
노동운동으로 본 한국의 노사관계
[노동운동][노동자][노동계급][초기단계 노동운동][1970년대 노동운동][1980년대 노동운동][1...
일제시대 한국의 노동운동
한국 노사관계의 역사와 전망
근로자파견법의 개요, 근로자파견법의 개정논의, 근로자파견법의 개악저지, 근로자파견법의 ...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개념, 성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연구, 증언, 제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