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유통비용의 매매기간
Ⅲ. 유통비용의 보관유통비용
1. 재고형성 일반
2. 생산자본, 상품자본 형태의 재고
3. 진정한 상품재고
1) 보관 비용들이 어느 정도 상품의 가치에 들어가는가
2) 자발적 재고 형성과 비자발적 재고 형성
Ⅳ. 유통비용의 단순유통비용
1. 부기
2. 화폐
Ⅴ. 유통비용의 운수유통비용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유통비용의 매매기간
Ⅲ. 유통비용의 보관유통비용
1. 재고형성 일반
2. 생산자본, 상품자본 형태의 재고
3. 진정한 상품재고
1) 보관 비용들이 어느 정도 상품의 가치에 들어가는가
2) 자발적 재고 형성과 비자발적 재고 형성
Ⅳ. 유통비용의 단순유통비용
1. 부기
2. 화폐
Ⅴ. 유통비용의 운수유통비용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된 생산자본은 수송되는 생산물에 가치를 첨가하는데 그것은 일부는 운수수단으로부터의 가치이전에 의해 그리고 또 일부는 운수노동에 의한 가치첨가에 의해서다. 후자의 가치첨가는 모든 자본주의적 생산과 마찬가지로 임금의 보전과 잉여가치로 분할될 수 있다.
―운수가 상품에 첨가하는 절대적 가치량은 여타 사정이 동일한 한, 운수업의 생산력에 반비례하고 운송거리에 정비례한다. 또한 여타의 사정이 동일한 한, 운수비용에 의해 상품가격에 첨가되는 상대적 가치부분은 상품의 용적과 중량에 정비례한다.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은 운수, 교통수단의 발전과 운수의 집중(규모의 증대)에 의해 개별상품의 운수비용을 감축시키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든 생산물의 대다수를 상품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그리고 지방적 시장을 원거리 시장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회적 노동 중에서 상품 운수에 지출되는 부분을 증가시키고 있다.
―운수업은 한편에서는 하나의 독립적 생산 분야를 이루며 그리하여 생산자본의 특수한 투자분야를 이룬다. 다른 한편으로, 운수업은 유통과정의 내부에서의 그리고 유통과정을 위한, 생산과정의 계속이라는 외관에 의하여 다른 생산 분야와 구별된다.
Ⅵ. 결론
상품가치 중에서 소비된 생산수단의 가격과 사용된 노동력의 가격을 보전하는 부분(c+v)은, 자본가 자신이 상품에 들인 비용을 보상할 뿐이며 따라서 자본가에 대해서는 상품의 비용가격(cost price)을 이룬다.
상품가치 중 상품의 생산에 지출된 자본 가치를 단순히 보전할 뿐인 부분들을 비용가격이라는 범주로 총괄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독특한 성격을 표현한다. 즉 상품의 현실적 비용은 노동의 지출에 의하여 측정되지만 상품의 자본가적 비용은 자본의 지출에 의해 측정된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상품의 자본가적 비용가격은 상품의 가치[또는 상품의 현실적 비용가격]와 양적으로 상이하다.
비용가격은 그 상품의 생산에 소비된 생산요소들을 계속적으로 다시 구매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가치부분이긴 하지만, 상품가치의 형성이나 자본의 가치증식과정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비용가격이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가치생산을 표현하는 실질적 범주의 하나라는 그릇된 외관을 띠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비용가격의 두 부분[우리의 경우에는 400c와 100v]에 공통적인 점은, 그것들이 상품가치 중 투하자본을 보전하는 부분들이라는 것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실의 사태가 자본주의적 생산의 관점에서는 필연적으로 거꾸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권민택, 유통경로 거래비용의 개념적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김웅진, 박귀환 외 1명, 유통학개론, 두남, 2009
백종희, 농산물 유통비용과 효율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2003
안병일, 불완전 경쟁 유통구조 하에서의 수급 및 유통비용 변화의 효과, 한국농업경제학회, 2007
이수동, 유통경로설계를 위한 유통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3
최갑생, 우리나라 농산물 시장의 유통비용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2000
―운수가 상품에 첨가하는 절대적 가치량은 여타 사정이 동일한 한, 운수업의 생산력에 반비례하고 운송거리에 정비례한다. 또한 여타의 사정이 동일한 한, 운수비용에 의해 상품가격에 첨가되는 상대적 가치부분은 상품의 용적과 중량에 정비례한다.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은 운수, 교통수단의 발전과 운수의 집중(규모의 증대)에 의해 개별상품의 운수비용을 감축시키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든 생산물의 대다수를 상품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그리고 지방적 시장을 원거리 시장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회적 노동 중에서 상품 운수에 지출되는 부분을 증가시키고 있다.
―운수업은 한편에서는 하나의 독립적 생산 분야를 이루며 그리하여 생산자본의 특수한 투자분야를 이룬다. 다른 한편으로, 운수업은 유통과정의 내부에서의 그리고 유통과정을 위한, 생산과정의 계속이라는 외관에 의하여 다른 생산 분야와 구별된다.
Ⅵ. 결론
상품가치 중에서 소비된 생산수단의 가격과 사용된 노동력의 가격을 보전하는 부분(c+v)은, 자본가 자신이 상품에 들인 비용을 보상할 뿐이며 따라서 자본가에 대해서는 상품의 비용가격(cost price)을 이룬다.
상품가치 중 상품의 생산에 지출된 자본 가치를 단순히 보전할 뿐인 부분들을 비용가격이라는 범주로 총괄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독특한 성격을 표현한다. 즉 상품의 현실적 비용은 노동의 지출에 의하여 측정되지만 상품의 자본가적 비용은 자본의 지출에 의해 측정된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상품의 자본가적 비용가격은 상품의 가치[또는 상품의 현실적 비용가격]와 양적으로 상이하다.
비용가격은 그 상품의 생산에 소비된 생산요소들을 계속적으로 다시 구매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가치부분이긴 하지만, 상품가치의 형성이나 자본의 가치증식과정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비용가격이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가치생산을 표현하는 실질적 범주의 하나라는 그릇된 외관을 띠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비용가격의 두 부분[우리의 경우에는 400c와 100v]에 공통적인 점은, 그것들이 상품가치 중 투하자본을 보전하는 부분들이라는 것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실의 사태가 자본주의적 생산의 관점에서는 필연적으로 거꾸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권민택, 유통경로 거래비용의 개념적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김웅진, 박귀환 외 1명, 유통학개론, 두남, 2009
백종희, 농산물 유통비용과 효율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2003
안병일, 불완전 경쟁 유통구조 하에서의 수급 및 유통비용 변화의 효과, 한국농업경제학회, 2007
이수동, 유통경로설계를 위한 유통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3
최갑생, 우리나라 농산물 시장의 유통비용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