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유통][수익률]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이용,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회사채유통수익률,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수익률곡선추정, 향후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발전과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유통][수익률]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이용,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회사채유통수익률,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수익률곡선추정, 향후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발전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이용
1. 1단계 추정
2. 2단계 추정

Ⅲ.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회사채유통수익률
1. 회사채유통수익률의 주기별 변동성
2. 회사채유통수익률의 예측모형
1) ARIMA모형
2) 스펙트럼(spectrum)예측모형
3) 단변량 소파동예측모형
4) 콜금리를 이용한 회귀모형
5) 콜금리를 이용한 소파동예측모형
6) 모형별 표본외 예측오차

Ⅳ.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수익률곡선추정

Ⅴ. 향후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발전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기기간을 가진 이표채라 하더라도 만기수익률이 시장에서의 이자율 수준뿐만 아니라 특정 채권의 이표(coupon)에 따라 달라져 채권간의 비교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익률 곡선은 무이표채의 만기수익률을 이용함으로써 이표채가 안고 있는 이표효과(coupon effect)를 제거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물이자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선도이자율 f(t,t\',T)는 어느 시점 t(현재일)에 미래 시점 t\'(결제일)에서 시작하여 T(만기일>t\')까지 계속되는 투자계약의 연속복리 이자율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식(4) 혹은 식(5)와 같이 정의된다.
혹은
이 때 순간현물이자율과 마찬가지로 만기 T가 결제일 t\'에 수렴하는 경우의 순간선도이자율(instantaneous forward rate)은 식(6)과 같이 정의된다.
순간선도이자율과 선도이자율의 관계는 식(7)과 같이 쓸 수 있는데 이는 선도이자율이 시점 t\'과 만기 T 사이의 순간선도이자율의 평균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시점 t에서 만기 T까지의 현물이자율은 식(8)과 같이 정의되는데 이는 현물이자율이 동기간 동안의 순간선도이자율의 평균 개념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현물이자율이 평균 개념임에 반해 순간선도이자율은 한계(marginal) 이자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이표채의 가격과 순간선도이자율의 관계는 식(9)로 정의된다.
선도이자율은 현물이자율과 마찬가지로 채권 시장참가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선도금리계약(Forward Rate Agreement: FRA) 혹은 스왑(swap) 등의 이자율 관련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Heath-Jarrow-Morton 모형은 이자율 관련 파생상품의 가격결정모형으로 선도이자율을 이용하여 가격을 계산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이자율 기간구조 이론의 하나인 기대가설(expectation hypothesis)에 의하면 선도이자율은 미래의 이자율에 대한 불편추정치(unbiased estimator)로서 미래의 현물이자율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한편 식(1), 식(8) 그리고 식(9)가 수익률 곡선 추정에서 의미하는 것은 할인함수, 현물이자율 곡선 또는 선도이자율 곡선의 세 가지 중 하나를 모형화 함으로써 나머지 두 개를 모형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Ⅴ. 향후 유통수익률(만기수익률)의 발전과제
최근의 金融不安定 및 金利變動性 증대로 금리예측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을 고려, 새로운 시계열분석방법인 소파동이론을 이용하여 금리예측모형을 추정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파동 금리예측모형은 ARIMA모형 등 기존의 단순시계열모형보다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는 소파동모형에서는 기존의 단순시계열모형과는 달리 시계열의 주기별 변동성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콜금리를 이용한 소파동예측모형은 예측시계가 늘어나도 일정한 수준의 예측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콜금리를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1~2개월간 회사채유통수익률의 움직임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소파동모형이 시계열의 예측에 있어서 우수한 예측력을 보임에 따라 소파동모형은 일일변동이 큰데다가 구조적 접근이 어려워 예측하기 힘든 환율, 주가 등의 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번에 개발된 소파동모형을 다음과 같이 보완발전시킬 경우 단기예측이 중요한 경제시계열 예측의 정도 및 활용도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주별 회사채유통수익률과 집계주기가 다른 생산, 투자 및 통화 등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함께 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월별, 분기별, 연간 금리예측모형을 별도 작성하여 주별 예측모형과 연계이용함으로써 예측의 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소파동모형의 예측력이 이용되는 소파동과 兩端延長方法에 따라 차이가 큰 점을 고려하여 소파동선정방법과 양단연장방법을 개선하는 것도 긴요하다.
참고문헌
김경수(2006), 코스피, 회사채 유통수익률 및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김경수(2000), 회사채 유통수익률과 경제변수의 관련성, 한국국제회계학회
김일곤(1994), 회사채유통수익률의 예측모형 연구 : 즉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김종만(1997), 우리나라 회사채 유통수익률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류세종(2010), 유통의 맥, 새로운제안
서용구(2012), 100일 만에 배우는 유통관리, 서울경제경영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