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유래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교육적 효과
1. 유래
2. 교육적 효과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전승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준비물
1. 준비물
2. 놀이 방법
1) 지도 단계
2) 게임
3. 유의점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와 민요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방법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참고문헌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교육적 효과
1. 유래
2. 교육적 효과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전승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준비물
1. 준비물
2. 놀이 방법
1) 지도 단계
2) 게임
3. 유의점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와 민요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방법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도록 사전에 규칙이 정해져야 한다.
. 무게의 균형이 취해져야 한다.
. 높이 오르고 풍선따기에만 정신이 쏠리면 위험이 따르게 되니 숙달된 어린이가 아니면 하기 힘든 놀이다.
. 풍선 따기에만 정신이 쏠리지 않도록 사전지도가 충분히 있어야 하겠다.
. 지도자나 어린이가 모두 숙련되어야 지도가 가능하다.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와 민요
널뛰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는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현재 문헌에 채록된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전라남도 화순지방> - 좀 묵지말게 뛰어라/칙간 밑에 꽂아 노고 꿍꿍 뛰어라/형네 집서 콩 하나를 얻어다가 심었더니/콩 한 되가 되었네/한 되를 심었더니/한 말이 되었네/한 말을 심었더니/한 섬이 되었네
<함경도 함흥지방> - 허누자 척실루/늬머리 흔―들/내다리 삽작을 입고 발(簾)을 거두고 방 밖에서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뛰어노는 아가씨의 모습이 어찌 황홀하지 않겠는가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방법
전통적 유교사상에 따라 부녀자들의 외출이 자유롭지 않던 시절, 담 밖의 세상을 구경할 수 있었던 널뛰기는 정월 초나 단오날 그리고 8월 한가위 때 많이 행해진 놀이다.
널뛰기는 그네뛰기와 함께 대표적인 여성놀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전해진 바가 없으나 아주 먼 옛날 여성들 역시 말타기나 격구 등의 운동을 하였다는 기록을 볼 때, 뛰기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행해진 놀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론 활동의 폭이 제약된 시대에 살던 여성들에게 그나마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서 고안됐다고 보기도 한다.
1. 준비물
널판, 널판을 괼 수 있는 베개모양의 짚뭉치나 가마니
2. 진행방법
우선 널을 뛸사람의 몸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널판을 준비하고 널판을 괼 수 있는 짚뭉치나 가마니를 베개모양으로 만든 후 널판한가운데에 괴어 널을 준비한다.
준비된 널판 양끝위에 한사람씩 올라가서 번갈아 뛰었다가 내리면 반동으로 서로의 몸이 하늘위로 오렸다가 내렸다 한다. 이 때 널 중간에 사람이 앉아 흔들리는 널을 고정시키기도 한다. 몸의 중심을 잡고 널에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 양쪽에 사람을 두어 손을 잡고 널을 뛰기도 한다. 널을 뛸 때는 양쪽사람의 무게가 비슷해야 높이 뛸 수 있다.
3. 진행 후 효과
양쪽에서 균형을 잡아야 원활히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놀이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뭉쳐있던 근육을 쫙 펼 수 있어 운동의 효과와 몸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 김평(2008), 쿵덕쿵덕 널뛰기, 한국몬테소리
◈ 박환규(2002), 조선시대의 여성체육에 대한 일 고찰 : 널뛰기와 그네뛰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 서찬석(2011),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 우배식(1999), 널뛰기 운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 조성숙(2002),초등학교 전통놀이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 허휘훈(2008), 중국조선족의 단오명절풍속과 그 전승양상 연구, 강원도민속학회
. 무게의 균형이 취해져야 한다.
. 높이 오르고 풍선따기에만 정신이 쏠리면 위험이 따르게 되니 숙달된 어린이가 아니면 하기 힘든 놀이다.
. 풍선 따기에만 정신이 쏠리지 않도록 사전지도가 충분히 있어야 하겠다.
. 지도자나 어린이가 모두 숙련되어야 지도가 가능하다.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와 민요
널뛰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는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현재 문헌에 채록된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전라남도 화순지방> - 좀 묵지말게 뛰어라/칙간 밑에 꽂아 노고 꿍꿍 뛰어라/형네 집서 콩 하나를 얻어다가 심었더니/콩 한 되가 되었네/한 되를 심었더니/한 말이 되었네/한 말을 심었더니/한 섬이 되었네
<함경도 함흥지방> - 허누자 척실루/늬머리 흔―들/내다리 삽작을 입고 발(簾)을 거두고 방 밖에서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뛰어노는 아가씨의 모습이 어찌 황홀하지 않겠는가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의 방법
전통적 유교사상에 따라 부녀자들의 외출이 자유롭지 않던 시절, 담 밖의 세상을 구경할 수 있었던 널뛰기는 정월 초나 단오날 그리고 8월 한가위 때 많이 행해진 놀이다.
널뛰기는 그네뛰기와 함께 대표적인 여성놀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전해진 바가 없으나 아주 먼 옛날 여성들 역시 말타기나 격구 등의 운동을 하였다는 기록을 볼 때, 뛰기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행해진 놀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론 활동의 폭이 제약된 시대에 살던 여성들에게 그나마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서 고안됐다고 보기도 한다.
1. 준비물
널판, 널판을 괼 수 있는 베개모양의 짚뭉치나 가마니
2. 진행방법
우선 널을 뛸사람의 몸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널판을 준비하고 널판을 괼 수 있는 짚뭉치나 가마니를 베개모양으로 만든 후 널판한가운데에 괴어 널을 준비한다.
준비된 널판 양끝위에 한사람씩 올라가서 번갈아 뛰었다가 내리면 반동으로 서로의 몸이 하늘위로 오렸다가 내렸다 한다. 이 때 널 중간에 사람이 앉아 흔들리는 널을 고정시키기도 한다. 몸의 중심을 잡고 널에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 양쪽에 사람을 두어 손을 잡고 널을 뛰기도 한다. 널을 뛸 때는 양쪽사람의 무게가 비슷해야 높이 뛸 수 있다.
3. 진행 후 효과
양쪽에서 균형을 잡아야 원활히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놀이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뭉쳐있던 근육을 쫙 펼 수 있어 운동의 효과와 몸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 김평(2008), 쿵덕쿵덕 널뛰기, 한국몬테소리
◈ 박환규(2002), 조선시대의 여성체육에 대한 일 고찰 : 널뛰기와 그네뛰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 서찬석(2011),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 우배식(1999), 널뛰기 운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 조성숙(2002),초등학교 전통놀이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 허휘훈(2008), 중국조선족의 단오명절풍속과 그 전승양상 연구, 강원도민속학회
추천자료
전통놀이
전통놀이와 이론
한국의 전통놀이
일본전통놀이 - 하네츠키, 스고로쿠, 카미후센, 가루타, 가라오케 등
한국의 전통놀이
전통놀이 활동계획안
전통놀이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93전통놀이교육의필요성-보고서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정의와 특성,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문제원인, 정신지체아 적응행동과 치...
4)체육-5. 여가활동 - 조상의 전통놀이 속으로(투호 놀이)
프로젝트 접근법과 전통놀이 지도
한국의 전통놀이를 조사하고 그 진행을 위한 지도방법을 정리하기
관광학과-우리문화의 이해(한국_전통_놀이)
[일본문화 연구]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의복,주거문화,집단주의문화,전통놀이문화,게이샤,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