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식중독의 의미
Ⅲ. 식중독의 종류
1. 세균성 식중독
2.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1) 식물성
2) 동물성
3) 미생물의 독성대사물질
3.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Ⅳ. 식중독의 원인
Ⅴ. 식중독의 증상
1. 설사
2. 구토
3. 복통
Ⅵ. 식중독의 잠복기
1. 잠복기가 1-6시간이고 구토가 주소인 경우
2. 잠복기가 16-48시간 발열 복통 설사가 주소인 경우
3. 잠복기가 16-72시간 복통과 수양변이 주소인 경우
4. 잠복기가 18-36시간 구토, 설사, 마비가 주소인 경우
Ⅶ. 식중독과 화학성식중독
1. 발생요인
2. 화학성 식중독의 원인물질
Ⅷ. 식중독과 세균성식중독
Ⅸ. 식중독과 유해물질
1. 유해방부제
1) 붕산(H2BO3)
2) Formaldehyde(HCHO)
3) Urotropin
4) 승홍(염화 제 2수은, HgCl2)
5) β-Naphthol
6) Thymol
7) 로단 초산 ethylester
2. 유해인공 착색료
1) Auramine
2) Rhodamine B
3) 기타 착색료
3. 유해 표백료
4. 유해 인공감미료
1) Dulcin
2) Cyclamate
3) ρ-Nitro-ο-toluidine
4) Ethylene glycol
5) Peryllatine
Ⅹ. 식중독의 예방방법
Ⅺ. 결론
참고문헌
Ⅱ. 식중독의 의미
Ⅲ. 식중독의 종류
1. 세균성 식중독
2.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1) 식물성
2) 동물성
3) 미생물의 독성대사물질
3.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Ⅳ. 식중독의 원인
Ⅴ. 식중독의 증상
1. 설사
2. 구토
3. 복통
Ⅵ. 식중독의 잠복기
1. 잠복기가 1-6시간이고 구토가 주소인 경우
2. 잠복기가 16-48시간 발열 복통 설사가 주소인 경우
3. 잠복기가 16-72시간 복통과 수양변이 주소인 경우
4. 잠복기가 18-36시간 구토, 설사, 마비가 주소인 경우
Ⅶ. 식중독과 화학성식중독
1. 발생요인
2. 화학성 식중독의 원인물질
Ⅷ. 식중독과 세균성식중독
Ⅸ. 식중독과 유해물질
1. 유해방부제
1) 붕산(H2BO3)
2) Formaldehyde(HCHO)
3) Urotropin
4) 승홍(염화 제 2수은, HgCl2)
5) β-Naphthol
6) Thymol
7) 로단 초산 ethylester
2. 유해인공 착색료
1) Auramine
2) Rhodamine B
3) 기타 착색료
3. 유해 표백료
4. 유해 인공감미료
1) Dulcin
2) Cyclamate
3) ρ-Nitro-ο-toluidine
4) Ethylene glycol
5) Peryllatine
Ⅹ. 식중독의 예방방법
Ⅺ.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oil red XO, naphtal yellow S, yellow OB, yellow AB, guinea green B, light green, SF yellowish, acid violet GB 등이 있다.
이들 tar 색소는 그 독성이 다르나 일반적으로 장기, 혈액, 신경계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급성은 물로 만성중독에서도 발암성과 장기에 대한 만성적 장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3. 유해 표백료
유해 착색료와 마찬가지로 유해 표백료도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야채류에서 감자, 연근, 우엉 등도 가끔 표백하기 위해 rongalit가 사용되는 일이 있다.
Rongalit는 산성아황산나트륨과 formalin을 작용시킨 후 환원해서 만들어진 표백료이다. 원래는 발염제로 사용되는 공업용 약품인 것을 물엿이나 연근 등 식품 표백에 이용하여 문제가 되었다. Rongalit와 표백작용은 아황산보다 강하나 이것을 사용한 식품 중에는 아황산과 다량의 formaldehyde가 잔류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그 밖의 밀가루의 표백과 숙성에 사용되어 온 nitrogen trichloride(NCl2), 어묵이나 국수류에 표백 및 살균제로 사용된 과산화수소(H2O2) 등이 있다.
4. 유해 인공감미료
경제사정이 좋아지게 됨에 따라 기호품의 생산 중 단맛이 든 식품의 증가는 어느 식품보다도 많아지게 되었다. 단맛이 나는 천연품으로는 설탕, 포도당, 과당, 감미료에는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글리실리친산 나트륨, 글리실리친산 3 나트륨 등이 있다. 단맛을 주는 여러 가지 기호품의 선호도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나 설탕의 과잉섭취는 오히려 문제점이 많아 인공감미료의 필요성이나 의의도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이어트차원에서 또 다른 변화를 주고 있으며 설탕의 대용품으로 각종 감미료가 출현되어 이로 인한 중독사고도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1) Dulcin
설탕의 250배의 감미를 가지며 가열에 강하고 여러 나라에서 많이 사용해 왔으나 독성관계로 사용이 취소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66년 11월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다.
섭취 후 혀에 불쾌한 느낌이 남으며 소화효소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고 분해되어 생성되는 ρ-aminophenol이 혈액 속에 생겨 중추신경계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시험결과 간 종양을 일으키거나 적혈구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 Cyclamate
Sodium cyclamate와 calcium cyclamate가 있으며 설탕의 약 40배의 감미를 가지고 있다. 설탕에 가까운 맛을 나타내어서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발암성 문제로 각국에서 사용이 금지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1970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Cyclamate는 가수분해되어 발암성인 cyclohexylamine을 생성한다.
3) ρ-Nitro-ο-toluidine
본래 색소의 원료로서 설탕의 200배의 가미가 있어 설탕이 부족했던 시기인 제 2차 세계대전 후 일본에서 사용되어 많은 중독 사고를 일으켜 살인당이라고까지 불려졌다. 독성이 강하여 섭취 2일 후에 위통이 일어나고 4일 후에 사망한 예도 있다. 증상은 섭취 후 2~3일 후 나타나며 위통, 식욕부진, 구역질, 권태, 미열 및 황달증상을 일으키고 혼수상태에 빠진 후 사망한다.
4) Ethylene glycol
본래는 자동차의 엔진 냉각용수의 부동액으로 사용되는 액체인데 단맛이 있어 설탕이 부족할 때 감미료로 사용된 적이 있다. 이것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oxalic acid가 되고 이 염류가 뇌사 신장에 축적되어 신경장해 등의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5) Peryllatine
자수오 중의 성분인 peryllaldehyde에서 추출되며 설탕의 약 2,000배의 감미를 가진 것으로서 이 화합물은 oxime기를 가지고 있어 불안정하므로 쉽게 aldehyde로 분해 되며 동물실험결과 신장을 자극하며 염증을 일으킨다.
Ⅹ. 식중독의 예방방법
고온에서 장시간 보관된 도시락, 김밥 등 음식물을 섭취하면 안 된다. 음식물은 70℃이상으로 가열조리 하고, 조리한 식품은 신속히 섭취해야 한다. 조리식품을 보관할 때에는 반드시 냉장보관 해야 하고, 보관하였던 조리식품을 섭취할 경우 재가열하여 먹어야한다. 조리한 식품과 날 식품이 접촉되면 조리된 식품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산나물 등을 섭취하면 안 되고, 손은 항상 깨끗이 씻어야한다.
.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현황을 발생시기, 지역, 병인물질, 원인식품, 원인시설 및 섭취장소별 등을 나누어 자세히 알아보았으며, 그 발생 특징도 알아보았다.
의학 및 식품위생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억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오염된 식품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으로 고생하고 있어 식중독은 아직도 인간에게 중요한 질환임에 틀림없을 정도로 식중독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인 것이다. 병원체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많은 노력은 병원체의 유전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나 미래의 병원체에 대한 병원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병원체를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식중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식중독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을 세우기에는 그 만큼 통계적인 자료가 중요한 것으로 식중독에 대한 발생현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하여, 식중독으로 환자 발생 및 인명 피해가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류경, 국내·외 식중독 발생동향, 대한산업보건협회, 2004
◎ 박종현, 식중독 원인조사를 위한 식중독균 신속 검사지침 개발 연구, 경원대학교, 2009
◎ 서삼석, 식중독 발생에 따른 동향분석 및 집단급식소의 올바른 위생관리 방향, 우송대학교, 2005
◎ 장현기 외 3명, 최신식품위생학, 신광출판사, 2002
◎ 정기혜, 대형 식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급식의 위생수준 제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 지영미,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이들 tar 색소는 그 독성이 다르나 일반적으로 장기, 혈액, 신경계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급성은 물로 만성중독에서도 발암성과 장기에 대한 만성적 장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3. 유해 표백료
유해 착색료와 마찬가지로 유해 표백료도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야채류에서 감자, 연근, 우엉 등도 가끔 표백하기 위해 rongalit가 사용되는 일이 있다.
Rongalit는 산성아황산나트륨과 formalin을 작용시킨 후 환원해서 만들어진 표백료이다. 원래는 발염제로 사용되는 공업용 약품인 것을 물엿이나 연근 등 식품 표백에 이용하여 문제가 되었다. Rongalit와 표백작용은 아황산보다 강하나 이것을 사용한 식품 중에는 아황산과 다량의 formaldehyde가 잔류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그 밖의 밀가루의 표백과 숙성에 사용되어 온 nitrogen trichloride(NCl2), 어묵이나 국수류에 표백 및 살균제로 사용된 과산화수소(H2O2) 등이 있다.
4. 유해 인공감미료
경제사정이 좋아지게 됨에 따라 기호품의 생산 중 단맛이 든 식품의 증가는 어느 식품보다도 많아지게 되었다. 단맛이 나는 천연품으로는 설탕, 포도당, 과당, 감미료에는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글리실리친산 나트륨, 글리실리친산 3 나트륨 등이 있다. 단맛을 주는 여러 가지 기호품의 선호도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나 설탕의 과잉섭취는 오히려 문제점이 많아 인공감미료의 필요성이나 의의도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이어트차원에서 또 다른 변화를 주고 있으며 설탕의 대용품으로 각종 감미료가 출현되어 이로 인한 중독사고도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1) Dulcin
설탕의 250배의 감미를 가지며 가열에 강하고 여러 나라에서 많이 사용해 왔으나 독성관계로 사용이 취소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66년 11월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다.
섭취 후 혀에 불쾌한 느낌이 남으며 소화효소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고 분해되어 생성되는 ρ-aminophenol이 혈액 속에 생겨 중추신경계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시험결과 간 종양을 일으키거나 적혈구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 Cyclamate
Sodium cyclamate와 calcium cyclamate가 있으며 설탕의 약 40배의 감미를 가지고 있다. 설탕에 가까운 맛을 나타내어서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발암성 문제로 각국에서 사용이 금지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1970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Cyclamate는 가수분해되어 발암성인 cyclohexylamine을 생성한다.
3) ρ-Nitro-ο-toluidine
본래 색소의 원료로서 설탕의 200배의 가미가 있어 설탕이 부족했던 시기인 제 2차 세계대전 후 일본에서 사용되어 많은 중독 사고를 일으켜 살인당이라고까지 불려졌다. 독성이 강하여 섭취 2일 후에 위통이 일어나고 4일 후에 사망한 예도 있다. 증상은 섭취 후 2~3일 후 나타나며 위통, 식욕부진, 구역질, 권태, 미열 및 황달증상을 일으키고 혼수상태에 빠진 후 사망한다.
4) Ethylene glycol
본래는 자동차의 엔진 냉각용수의 부동액으로 사용되는 액체인데 단맛이 있어 설탕이 부족할 때 감미료로 사용된 적이 있다. 이것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oxalic acid가 되고 이 염류가 뇌사 신장에 축적되어 신경장해 등의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5) Peryllatine
자수오 중의 성분인 peryllaldehyde에서 추출되며 설탕의 약 2,000배의 감미를 가진 것으로서 이 화합물은 oxime기를 가지고 있어 불안정하므로 쉽게 aldehyde로 분해 되며 동물실험결과 신장을 자극하며 염증을 일으킨다.
Ⅹ. 식중독의 예방방법
고온에서 장시간 보관된 도시락, 김밥 등 음식물을 섭취하면 안 된다. 음식물은 70℃이상으로 가열조리 하고, 조리한 식품은 신속히 섭취해야 한다. 조리식품을 보관할 때에는 반드시 냉장보관 해야 하고, 보관하였던 조리식품을 섭취할 경우 재가열하여 먹어야한다. 조리한 식품과 날 식품이 접촉되면 조리된 식품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산나물 등을 섭취하면 안 되고, 손은 항상 깨끗이 씻어야한다.
.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현황을 발생시기, 지역, 병인물질, 원인식품, 원인시설 및 섭취장소별 등을 나누어 자세히 알아보았으며, 그 발생 특징도 알아보았다.
의학 및 식품위생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억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오염된 식품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으로 고생하고 있어 식중독은 아직도 인간에게 중요한 질환임에 틀림없을 정도로 식중독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인 것이다. 병원체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많은 노력은 병원체의 유전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나 미래의 병원체에 대한 병원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병원체를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식중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식중독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을 세우기에는 그 만큼 통계적인 자료가 중요한 것으로 식중독에 대한 발생현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하여, 식중독으로 환자 발생 및 인명 피해가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류경, 국내·외 식중독 발생동향, 대한산업보건협회, 2004
◎ 박종현, 식중독 원인조사를 위한 식중독균 신속 검사지침 개발 연구, 경원대학교, 2009
◎ 서삼석, 식중독 발생에 따른 동향분석 및 집단급식소의 올바른 위생관리 방향, 우송대학교, 2005
◎ 장현기 외 3명, 최신식품위생학, 신광출판사, 2002
◎ 정기혜, 대형 식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급식의 위생수준 제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 지영미,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추천자료
[생활대]-식중독의 종류와 예방
유해 폐기물
[식품첨가물][식품첨가물가공식품]식품첨가물의 개념과 종류, 식품첨가물의 유해성, 대표적 ...
[흡연][유해성][건강][질병][폐암][위질환][흡연의 문제점][흡연 관련 시사점]흡연의 현황, ...
[건축환경실험] 유해가스 측정 실험
토양 유해폐기물 오염 처리사례 조사 (외국사례)
[중금속][농경지][맥반석][Zeolite][제올라이트][카드뮴][납][아연]중금속의 종류, 중금속의 ...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의 의미,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의 유형,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의 역할, ...
[폐기물][방사성폐기물][핵폐기물][사업장폐기물][특수폐기물][유해폐기물]방사성폐기물(핵폐...
식품위생학 요약정리 - 식품위생학의 개념, 식품위생과 미생물, 식품의 부패, 식품영업소 위...
[식품위생학]자연독식중독에 관한 이해
유해폐기물처리공학 (토양정화사업) 결과레포트 - 부산괘법지구 토양정화용역정화사업 제안서
유해 폐기물 사고 사례 1 - 군산 동양화학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오염사례.pptx
유해遺骸폐기물 처리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