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遺骸폐기물 처리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해遺骸폐기물 처리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물리・화학적 처리
2. 생물학적 처리
<출저>

본문내용

물 농도 1,000mg/l 이상, TOC 5,000mg/l 적합
(3) 기질과 부유 미생물 계속적인 혼합
③ 부착성장 시스템(Attached-Growth System)
(1) 불활성매개체 표면의 부착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제거
(2) 고농도 미생물량 유지, 긴 체류시간, F/M 낮음
(3) 저농도 유기성 폐기물 분해능력 향상
(4) 살수여상법, 원판법, 회전원판법, 충전탑
④ 호기성 회분 반응기 시스템
(1) 균일화조, 생물반응조, 침전조로 구성-SBR
(2) 유출수만 배출, 미생물유지,소요시간-유입량으로조절
(3) 유연성이 크고 장치 간단, 소규모 공정 적합
(4) 연속적 처리시 2개 SBR 필요
⑤ 혐기성 시스템
(1)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소화
(2) 분해용이한 고농도폐수(음식물, 약품, 화학물질) 적용
(3) 페놀, 크레졸, 기타 석탄가스화 화합물 처리
7) 생물학적 현장 지중처리
① 배경 : 오염토양 처리 현장처리, 현장외 처리
* 오염물질이 토양에 누출, 지표면 아래 이동
(1) 공극내 존재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상형태
(2) 지층의 틈새에 갇히거나 토양미립자 흡착, 결합
(3) 지하수에 녹아있는 용해상
② 다른 정화방법 : 양수 후 처리(pump and treat)
③ 기술발전 현황 : 1980년 30곳 기술 적용
(생물학적 분해속도 10mg/kgday 석유계탄화수소 국한)
④ 공정개요 : 호기성 공정, 산소와 영양염류 유입 가능성
⑤ 대표적인 시스템 : 현장 생물학적 지중처리, 불포화대 처리
*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수 주입/회수
(1) 회수된 지하수는 재주입전 기존 액상 시스템에 처리
(2) 회수된 지하수 일부는 관리기관 허용시 다른 곳 방류
(3) 양수된 지하수를 처리한 물 이외의 물 주입 충전소 사용
(4) 얕은 지하수 일 경우 우물 대신 트렌치 사용
(5) 산소는 공기, 순수산소 지하수 주입, 과산화수소 첨가
(6) 회수된 지하수를 오염된 불포화대 방류, 계면활성제첨가
⑥ 이론(Theory) : 산소의 공급 제한, 과산화수소 분해
⑦ 수리학적 제어 : 수리지질학(hydrogeology), 트렌치
⑧ 적용 : 단순한 탄화수소 화합물 오염된 지역 처리, 염소계 화합물 처리, 다섯 단계에 따라 진행, 농축한물 불포화대 침투
8) 슬러리상 처리
① 효과 : 뭉쳐진 고형입자를 부숨, 고형입자로부터 오염물질 탈착, 유기성 오염물질과 미생물과의 접촉증진, 포기에 의한 오염물질 산화, 오염물질 휘발화
② 전처리 : 계면활성제 첨가, 오염물질 탈착, 입도분리
③ 탈착 : 토양입자로부터 슬러리상으로 탈착(Desorption), 탈착속도는 토양과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짐
④ 고형물 농도 : 5%~50%(건조질량)적용, 한계 30~40%
⑤ 혼합기 : 터빈 혼합기, 표면 포기기
⑥ 체류시간 : 긴 수리학적 체류시간 필요
(1) 석유정제 슬러지 : 토양처리 6~15개월, 슬러리상처리(라군 2~4주, 저장슬러지 6~14주)
(2) 오염토양 : 슬러지로 처리(건조고형물 40~50%), 연속적인 공급, 연속적인 혼합, 실내온도
9) 고상처리
① 분류
(1) 토지처리(Land treatment) : 오염폐기물, 상부토양 혼합
(2) 퇴비화(Composting) : 퇴비단식, 더미식, 기계식, 공기공급, 영양물질을 보충하여 분해촉진
(3) 더미단(Heaping) : 대규모 폐기물 쌓음, 공기공급
② 토지처리 : 토양경작법. 유해폐기물 또는 오염토양을 일정 높이로 토양위에 깔아주고 주기적으로 뒤집어주면서 혼합하여 오염물질 처리
(1) 인자: 공기공급, pH조정, 영양물질 첨가, 수분조절, 혼합
(2) 슬러리상 처리에 비해 비용이 적게듬
(3) Disk harrow, rototiller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
(4) 이동경로 : 휘발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
(5) 동화능력 : 축적량, 분해율, 적용한계
③ 토양처리의 수학적 모델 : VIP, RITZ(압출흐름모델)
④ 토지처리-적용 가능한 폐기물
: 오일슬러지, 폐오일, 유기성 슬러지, 폐액
⑤ 퇴비화 : 적정 첨가제를 투여하여 유기성 고형물을 분해
(1) 중온성 범위, 소량의 고형물 혼합 처리
(2) 고형물-수분조절제, 에너지원 사용
⑥ 퇴비화 공법
: 적당한 미생물, 충분한 공기, 최적온도, 필요한 영양분, pH, 습도 조절
(1) 교반식 퇴비단법 : 일주일에 1~2번 뒤집기
(2) 공기주입식 퇴비단법 : 격자형태 유공관, 뒤집기 x
(3) 밀폐형 기계식 반응기 : 3~7일 완료
⑦ 퇴비화의 적용 : 폭발성(TNT) 오염물질, 콜타르 적용
⑧ 토양더미단 : 토지처리와 퇴비단식 퇴비화의 혼합형태
(1) 토지한정, 저농도 유기물 포함 대량처리
(2) 침출수는 차집하여 처리, 느리게 분해
(3) 휘발에 의한 오염물질 제어
⑨ 토양더미단법-PAH 처리에의 적용 : 영국 Blackburn 근처의 가스화 공장에서 발생한 폐기물로 오염된 30,500m3 처리
콜타르, 페놀, 방향족탄화수소(PAH)로 오염
PAH 총량 5주간 454ppm에서 234ppm 감소
10) 새로운 기술
① 적용
(1) 난분해성 화합물을 분해하는 미생물군, 특정 미생물의 분리 배양
(2) 현장에서 재현될 수 있는 실제 규모의 시스템 개발
(3) 생물학적 분해의 수학적 접근과 처리능력 자료에 근거한 대규모 시스템의 설계에 조직적이고 표준화된 접근방식의 개발
(4) 전체적인 처리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의 연계
② 특정 미생물의 분리배양 : TCE-MMO 공동대사
③ 처리성 실험
(1) 분해가능성 평가를 위한 실험실 규모연구(laboratory scale)
(2) 인자최적화를 위한 실험실 규모 연구(bench scale)
(3) 현장성 적용을 평가하기 위한 파일롯 규모 실험(pilot scale)
④ 물리-화학적 처리시스템과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의 연계 : 처리효율 증가
<출저>
1. 유해폐기물처리(2009) 동화기술, 신광문화사, p.164-276
2. “폴리염화비닐류(PCBs)의 고도처리를 위한 적용기술 타당석 분석”(2006), 대한환경공학회지
3. 제주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처리계통도
  • 가격6,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6.0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