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금리의 정의
Ⅲ. 금리의 변동
Ⅳ. 금리스프레드
Ⅴ. 금리선물
Ⅵ. 금리기간구조
Ⅶ. 금리스왑
1. 표준형 금리스왑
2. 비표준형 금리스왑
1) 베이시스스왑
2) 딥스왑
참고문헌
Ⅱ. 금리의 정의
Ⅲ. 금리의 변동
Ⅳ. 금리스프레드
Ⅴ. 금리선물
Ⅵ. 금리기간구조
Ⅶ. 금리스왑
1. 표준형 금리스왑
2. 비표준형 금리스왑
1) 베이시스스왑
2) 딥스왑
참고문헌
본문내용
③ 변동금리는 각 스왑기간의 기초에 확정되지만 변동금리이자는 각 스왑 기간의 기말에 지급됨
④ 고정이자와 변동이자의 지급회수는 동일함
⑤ 스왑의 만기는 통상 1~7년 또는 10년임
⑥ 명목원금은 스왑의 전 기간 동안 불변함
⑦ 명목원금의 표시통화는 이자지급통화와 동일함
- 표준형 금리스왑의 명세서
- 금리스왑은 자금조달비용 절감, 위험 헤지, 규제회피 등 여러 가지 기능(주로 자금조달비용을 절감)
- 예) 당사자 A는 10년물 FRN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 다음 변동금리채무를 고정금리채무로 교환하기를 원하는 반면에, 당사자 B는 10년물 고정금리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 다음 고정금리채무를 변동금리채무로 교환하기를 원한다고 하자.
- 당사자 B: 고정금리시장에서 당사자 A보다 100bp 싸게 자금을 조달
변동금리시장에서는 당사자 A보다 50bp 싸게 자금을 조달
두 시장에서 모두 절대 우위(absolute advantage)가 있지만 고정금리시장에서는 50bp(=100bp-50bp)의 비교우위
- 당사자 A: 두 시장에서 모두 절대열위(absolute disadvantage)가 있지만 변동금리시장에서 비교우위
- 이러한 상황에서 스왑딜러가 당사자 A와 B간의 금리스왑에 개입하여 당사자 A와 6개월 LIBOR의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대가로 10.50%의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을 체결하고, 당사자 B와 금리스왑을 10.40%의 고정금리를 지급하는 대가로 6개월 LIBOR의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을 체결
2. 비표준형 금리스왑
- 개념: 스왑당사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요구조건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표준형 스왑을 다양하게 변형시킨 금리스왑
- 개발방법
① 스왑과 스왑 또는 스왑과 다른 증권을 결합하는 방법
② 스왑의 조건을 변경시키는 방법
- 표준형 스왑을 이해하면 다른 모든 비표준형 스왑도 이해할 수 있음
1) 베이시스스왑
- 표준형 금리스왑-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고정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변동이자를 지급
- 베이시스스왑(basis swap): 스왑당사자의 쌍방이 모두 변동이자를 지급하며, 단지 서로 다른 변동금리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
- 베이시스스왑에서는 통상 한 쪽 당사자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고, 다른 쪽 당사자는 기타의 단기금리, 예컨대 CD 수익률, CP 수익률, 콜금리 등을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
- 예) 어느 기업이 CP를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LIBOR가 지급되는 CD에 투자한 경우, 이 기업은 베이시스스왑을 이용하여 수입과 지출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베이시스 위험을 제거할 수 있음
- 예) 기업이 CP를 연속적으로 발행하여 변동금리자금을 조달할 경우에 베이시스스왑과 표준형 금리스왑을 결합하면 변동금리 자금조달을 고정금리 자금조달로 변경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베이시스스왑을 이용하여 CP 금리를 LIBOR로 전환한 후 표준형금리스왑을 이용하여 LIBOR를 고정금리로 전환할 수 있다.
- 두 스왑당사자가 만기가 서로 다른 동일한 단기금리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는 특수한 형태의 베이시스스왑도 개발
- 예)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3개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고 상대방은 6개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는 베이시스스왑. 이 경우 3개월 LIBOR와 6개월 LIBOR의 베이시스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두 당사자간에 이자지급회수도 서로 다르다.
2) 딥스왑
- 딥스왑(diff swap): 베이시스스왑의 일종으로,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특정 통화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다른 통화표시 변동금리에 일정률의 마진을 가감한 금리로 변동이자를 지급하되, 지급통화는 서로 동일한 통화로 하는 베이시스스왑
- 예) 스왑당사자의 일방이 $1,000,000의 명목원금에 6개월 달러 LIBOR를 곱하여 계산한 달러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1,000,000의 명목원금에 6개월 마르크 LIBOR-1.90%를 곱하여 계산한 달러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는 딥스왑을 체결할 수 있음
참고문헌
- 김종혁(1989), 금리의 이해, 한국경제신문사
- 김종선 외 1명(2008), 금리자유화와 금리변동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 윤채현(2011), 지금 당장 금리공부 시작하라, 한빛비즈
- 염상훈(2012), 금리의 역습, 원앤원북스
- 정대용 저(2009), 금리 파생상품, 탐진
- 히로사와 도모코 저, 김정환 역(2007), 금리 재테크 무작정 따라하기, 길벗
④ 고정이자와 변동이자의 지급회수는 동일함
⑤ 스왑의 만기는 통상 1~7년 또는 10년임
⑥ 명목원금은 스왑의 전 기간 동안 불변함
⑦ 명목원금의 표시통화는 이자지급통화와 동일함
- 표준형 금리스왑의 명세서
- 금리스왑은 자금조달비용 절감, 위험 헤지, 규제회피 등 여러 가지 기능(주로 자금조달비용을 절감)
- 예) 당사자 A는 10년물 FRN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 다음 변동금리채무를 고정금리채무로 교환하기를 원하는 반면에, 당사자 B는 10년물 고정금리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 다음 고정금리채무를 변동금리채무로 교환하기를 원한다고 하자.
- 당사자 B: 고정금리시장에서 당사자 A보다 100bp 싸게 자금을 조달
변동금리시장에서는 당사자 A보다 50bp 싸게 자금을 조달
두 시장에서 모두 절대 우위(absolute advantage)가 있지만 고정금리시장에서는 50bp(=100bp-50bp)의 비교우위
- 당사자 A: 두 시장에서 모두 절대열위(absolute disadvantage)가 있지만 변동금리시장에서 비교우위
- 이러한 상황에서 스왑딜러가 당사자 A와 B간의 금리스왑에 개입하여 당사자 A와 6개월 LIBOR의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대가로 10.50%의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을 체결하고, 당사자 B와 금리스왑을 10.40%의 고정금리를 지급하는 대가로 6개월 LIBOR의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을 체결
2. 비표준형 금리스왑
- 개념: 스왑당사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요구조건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표준형 스왑을 다양하게 변형시킨 금리스왑
- 개발방법
① 스왑과 스왑 또는 스왑과 다른 증권을 결합하는 방법
② 스왑의 조건을 변경시키는 방법
- 표준형 스왑을 이해하면 다른 모든 비표준형 스왑도 이해할 수 있음
1) 베이시스스왑
- 표준형 금리스왑-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고정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변동이자를 지급
- 베이시스스왑(basis swap): 스왑당사자의 쌍방이 모두 변동이자를 지급하며, 단지 서로 다른 변동금리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
- 베이시스스왑에서는 통상 한 쪽 당사자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고, 다른 쪽 당사자는 기타의 단기금리, 예컨대 CD 수익률, CP 수익률, 콜금리 등을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
- 예) 어느 기업이 CP를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LIBOR가 지급되는 CD에 투자한 경우, 이 기업은 베이시스스왑을 이용하여 수입과 지출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베이시스 위험을 제거할 수 있음
- 예) 기업이 CP를 연속적으로 발행하여 변동금리자금을 조달할 경우에 베이시스스왑과 표준형 금리스왑을 결합하면 변동금리 자금조달을 고정금리 자금조달로 변경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베이시스스왑을 이용하여 CP 금리를 LIBOR로 전환한 후 표준형금리스왑을 이용하여 LIBOR를 고정금리로 전환할 수 있다.
- 두 스왑당사자가 만기가 서로 다른 동일한 단기금리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는 특수한 형태의 베이시스스왑도 개발
- 예)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3개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고 상대방은 6개월 LIBOR를 기준으로 변동이자를 계산하는 베이시스스왑. 이 경우 3개월 LIBOR와 6개월 LIBOR의 베이시스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두 당사자간에 이자지급회수도 서로 다르다.
2) 딥스왑
- 딥스왑(diff swap): 베이시스스왑의 일종으로, 스왑당사자의 일방은 특정 통화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다른 통화표시 변동금리에 일정률의 마진을 가감한 금리로 변동이자를 지급하되, 지급통화는 서로 동일한 통화로 하는 베이시스스왑
- 예) 스왑당사자의 일방이 $1,000,000의 명목원금에 6개월 달러 LIBOR를 곱하여 계산한 달러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고, 상대방은 $1,000,000의 명목원금에 6개월 마르크 LIBOR-1.90%를 곱하여 계산한 달러표시 변동이자를 지급하는 딥스왑을 체결할 수 있음
참고문헌
- 김종혁(1989), 금리의 이해, 한국경제신문사
- 김종선 외 1명(2008), 금리자유화와 금리변동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 윤채현(2011), 지금 당장 금리공부 시작하라, 한빛비즈
- 염상훈(2012), 금리의 역습, 원앤원북스
- 정대용 저(2009), 금리 파생상품, 탐진
- 히로사와 도모코 저, 김정환 역(2007), 금리 재테크 무작정 따라하기, 길벗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