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이 교육사상의 철학적 배경
Ⅲ. 이이 교육사상의 구조
Ⅳ. 이이 교육사상의 교육적 의의
Ⅴ. 결론
Ⅱ. 이이 교육사상의 철학적 배경
Ⅲ. 이이 교육사상의 구조
Ⅳ. 이이 교육사상의 교육적 의의
Ⅴ. 결론
본문내용
십오, 잡저2, 동호문답.
이러한 이이의 견해는 실천을 위한 학문과 실행을 위한 신지식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학문과 교육은 실제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문을 해야만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으며 힘써 행하는 것이 학문을 완성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이는 당시의 많은 유학자들이 과거를 출세의 수단으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을 심각한 문제로 보고 과거제도의 폐단을 지적했다. 그래서 이러한 과거 제도의 폐단을 없애고, 학교 교육의 황폐화를 막으려면 과거제도와 연결 지어 학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평소의 생활 태도를 관찰하고 그것과 사람 됨됨이를 평가해서 유능한 인재를 등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이는 진시사소에서 당위 혹은 납체에 의한 서얼의 등용 및 공사천의 방악을 주장하였다. 그는 적서의 차별을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그는 봉건적 신분 질서 체계가 엄격했던 시대에 혁신적이고 근대 지향적인 평등 사상을 주장했다.
이이가 주장한 무실 중심 교육의 강조, 학교 교육의 중시와 개선, 과거제도의 비판과 폐지, 그리고 교육 기회의 균등과 교육 방법의 개선 등은 한국 근대교육 사상의 근원이 되었던 실학자들의 교육사상을 형성하는 데 근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Ⅴ. 결론
조선의 성리학을 집대성하는 대표적 인물인 이이의 교육사상의 철학적 배경과, 그의 교육사상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이가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성인을 만드는데 있다. 성인은 완전한 인격자이며 하늘의 이치에 부합되게 생활하는 인간이며, 욕망을 제어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것이 없는 인간이다. 이런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본연의 성품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 즉 학문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이에 따르면 학문은 우주의 지극한 이치를 아는 것은 물론이고 일상 생활에 적용 할 수 있는 원리는 탐구하는 것이다. 이이의 교육사상은 성선적 인간 중심주의, 인간 평등사상, 실천중심의 교육 등으로, 현대 교육 사조와 상호 부합되는 요인을 원리적으로 많이 내포하고 있다. 16세기에 이이가 주장한 교육사상은 뿌리 채 흔들리고 있는 현대교육의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영식,「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 청구논 문, 2004)
2) 류영호, 「율곡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이러한 이이의 견해는 실천을 위한 학문과 실행을 위한 신지식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학문과 교육은 실제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문을 해야만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으며 힘써 행하는 것이 학문을 완성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이는 당시의 많은 유학자들이 과거를 출세의 수단으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을 심각한 문제로 보고 과거제도의 폐단을 지적했다. 그래서 이러한 과거 제도의 폐단을 없애고, 학교 교육의 황폐화를 막으려면 과거제도와 연결 지어 학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평소의 생활 태도를 관찰하고 그것과 사람 됨됨이를 평가해서 유능한 인재를 등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이는 진시사소에서 당위 혹은 납체에 의한 서얼의 등용 및 공사천의 방악을 주장하였다. 그는 적서의 차별을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그는 봉건적 신분 질서 체계가 엄격했던 시대에 혁신적이고 근대 지향적인 평등 사상을 주장했다.
이이가 주장한 무실 중심 교육의 강조, 학교 교육의 중시와 개선, 과거제도의 비판과 폐지, 그리고 교육 기회의 균등과 교육 방법의 개선 등은 한국 근대교육 사상의 근원이 되었던 실학자들의 교육사상을 형성하는 데 근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Ⅴ. 결론
조선의 성리학을 집대성하는 대표적 인물인 이이의 교육사상의 철학적 배경과, 그의 교육사상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이가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성인을 만드는데 있다. 성인은 완전한 인격자이며 하늘의 이치에 부합되게 생활하는 인간이며, 욕망을 제어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것이 없는 인간이다. 이런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본연의 성품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 즉 학문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이에 따르면 학문은 우주의 지극한 이치를 아는 것은 물론이고 일상 생활에 적용 할 수 있는 원리는 탐구하는 것이다. 이이의 교육사상은 성선적 인간 중심주의, 인간 평등사상, 실천중심의 교육 등으로, 현대 교육 사조와 상호 부합되는 요인을 원리적으로 많이 내포하고 있다. 16세기에 이이가 주장한 교육사상은 뿌리 채 흔들리고 있는 현대교육의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영식,「율곡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 청구논 문, 2004)
2) 류영호, 「율곡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교육
[교육의 역사와 철학 Term Paper] 우리나라와 미국 교육방법의 문제점 및 그 해결방안
성[誠] . 경[敬] 사상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실학][실학사상][실학자][실학(실학사상) 대표적 실학자]실학(실학사상) 특성, 실학(실학사...
[교육사]유교교육이념과 과거제도
조선 전기 후기의 교육상황, 교육정책, 교육문화
양웅(揚雄)의 생애와 사상
[인문과학]조선 시대 유학 사상가
[동양철학, 인간해방, 윤리사상, 도덕성, 진보, 공자, 공구, 동양, 철학, 동양사회사상, 맹자...
이황과 이이
[교육고전의이해][격몽요결]격몽요결독후감,격몽요결감상문,격몽요결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