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 실험 - 레올로지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험목적

실험기구

실험과정

실험결과

오차의 원인

고찰

본문내용

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이론값과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 애초에 탄산칼슘과 전분이 어떠한 반응을 한다면 조교님께서 탄산칼슘을 주지 않으셨을 것이다. 다만 spindle에 장치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용액이 굳어져 버렸으며 첫 데이터를 얻었을 때와 같은 상태로 실험하기 위해 다시 용액을 휘저어 실험을 해서 앞서 이 실험을 했던 조에 비해 시간도 오래 걸렸다. 또한 rpm을 감소시키며 실험을 하였는데 24rpm 부근에서 유독 viscosity와 %torque가 튀었다. 이미 용액이 단단하게 굳어져서 viscosity가 상당히 높게 나왔으리라고 생각한다.
YD128 + HDDGE 용액의 경우에는 비교적 순탄하였는데 rpm이 증가할수록 viscosity, torque, shear stress, shear rate 모두가 선형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용액의 경우, 이름이 아주 생소하여 찾아보니 YD128은 에폭시이고, HDDGE는 hexandiol diglycidyl ether라 한다. 마치 꿀처럼 점성이 큰 유체였다. 하지만 전분+탄산칼슘 용액에 비해서는 휘저으며 골고루 섞어주기가 용이하였다. 전분용액의 경우, TV나 각종 매체에서 친숙하게 볼 수 있었다. 빨리 뛰면 전분용액에 빠지지 않지만, 천천히 걸어가거나 가만히 서있으면 발이 용액 속에 담기는 것을 보았는데, 용액 제조 과정에서도 빨리 휘저으려 하면 할수록 용액이 조원을 거부하는 듯, 굉장히 뻑뻑하였으나 속도를 느리게 하면 용액을 섞어주기가 편하였다. 이것은 전분용액이 dilatant 유체이기 때문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8.07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