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역통신 - ATM & MPLS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기존 IP 라우팅의 문제점

3. MPLS 레이블링

4. MPLS 구성 및 동작

5. MPLS 특징

6. 기술비교

7. 라우터 기반의 MPLS

8. ATM 기반의 MPLS

9. LDP(Label Distribution Protocol)

10. MPLS VPN

11. MPLS TE

12. 동향

본문내용

서 라우터 기반의 MPLS 보다 유리
기존의 ATM 네트워크와 통합 가능
IP 데이터그램을 고정길이의 ATM 셀로 매핑 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버헤
드가 존재하여 불리
shim 헤더에 존재하는 TTL 및 stack 필드를 ATM 셀 헤더로 매핑하는
방법이 없음.
9. LDP(Label Distribution Protocol)
LDP는 OSPF, IS-IS, BGP 등과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과 연계하여 LSP
설정을 위해 LSR 들이 교환하는 메시지와 절차들을 정의해 놓은 프로토
콜임.
LDP에서는 L3 계층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L2 계층의 경로를 설정해
주고, 각 FEC를 LSP로 대응해주는 역할을 함.
LDP 메시지
- Discovery : 주기적으로 “ Hello"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LSR간의 존
재를 서로 알림
- Session : LDP peer관계의 LSR 사이의 세션 설정, 유지, 삭제
- Advertisement : FEC에 Label을 생성, 교환, 삭제
- Notification : 오류나 경고 등의 정보를 알려줌
10. MPLS VPN
가. 개요
MPLS는 IP만을 지원하는 IPSec에 비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멀
티캐스트도 지원 용이
또한, ATM, F/R, IP를 포함하는 다양한 하부구조상에서 구현 기능하며,
백본망에서의 패킷 포워딩이 단순하고 신속함.
나. 구성
구성도
다. 동작
Top Label은 MPLS-VPN 망에서의 LSP를 결정
2-nd Label은 PE내에서 목적지 VPN을 지정
고객로부터 데이터가 Ingress PE에 도착하면, 그 고객사이트에 해당하는
VRF(VPN Routing and Forwarding instance)를 참조
VRF에는 그 데이터 패킷에 대한 2개의 Label과 다음홉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음
망을 통과하면서 최상위 라벨은 T→U→V로 바뀌지만, 2nd 라벨은 그대
로 유지
망의 출구에 도착하면 VPN 데이터를 IP 패킷 형태로 복원하여 2nd 라벨
에 의해 결정된 고객 사이트로 전달
11. MPLS TE
가. 개요
트래픽 엔지니어링이란 트래픽을 분산시켜 특정경로에 집중되는 것을 막
고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위해 경로를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
MPLS는 비연결형으로 동작하는 인터넷망 내에서 논리 채널인 LSP를 연
결형으로 구성하고, 이들 LSP에 의한 인터넷 트래픽의 흐름제어를 가능
하게 함.
LDP에 기반한 CR-LDP와 RSVP에 기반한 RSVP-TE의 2가지 프로토콜
이 IETF에서 표준화 진행중
나. 동작절차
가입자는 망사업자와 서비스 사용에 대한 SLA 계약
CR-LDP와 RSVP-TE 신호프로토콜을 이용하여 explicit routed(명백한)
LSP를 설정
MPLS 망으로 유입되는 트래픽에 대해 트래픽 특성과 SLA를 고려하여
IP 패킷을 분류한 다음, 적합한 LSP 혹은 ER-LSP로 분배
다. 주요기능
QoS 요구사항이나 망사업자의 QoS 정책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로선택
기능
선택된 경로의 설정을 위한 신호기능
입력노드에서의 패킷의 분류 및 적정 경로로의 패킷 분배
각 노드에서의 트래픽 전달시의 큐잉 제어
라. 신호 프로토콜
12. 동향
MPLS는 광 인터넷망에서 라우팅 및 시그널링 기능을 기반으로 트래픽
제어와 QoS, VPN 등 제공
MPLS는 단기적으로는 ATM기반으로, 장기적으로는 ATM이 아닌 SONET
과 같은 물리계층 위에 바로 탑재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기술임.
MPLS는 고속 포워딩보다는 IP의 취약점인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QoS 측
면을 보강해 줄 수 있는 기술로 부상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