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친환경 건축물 의 도입배경
2. 친환경 건축물인증제도 개요 및 현황
2-1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개요
2-2.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
2-3. 주택성능등급 표시제
2-4. 지능형 건축물 인증
2-5. 건물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
2-6.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인증
2. 친환경 건축물인증제도 개요 및 현황
2-1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개요
2-2.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
2-3. 주택성능등급 표시제
2-4. 지능형 건축물 인증
2-5. 건물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
2-6.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인증
본문내용
1. 친환경 건축물의 도입 배경
기후변화 협약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국제다자간 회의 참여국 협의를 통하여 실질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하며 2005년 2월 국제법으로 발효된 협약
한국의 기후변화 협약 방향
대한민국의 2004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억4800만t으로 세계 배출량의 1.8% (세계 9위)를 차지함.
교토의정서 기준연도(1990년)부터 2004년까지 우리나라의 배출량은 105%증가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OECD 국가로서 2013년 부터 시작하는 2차 감축의무대상국에 포함될 것이 예상되며, 이경우 국가경제발전에 커다란 타격을 받을것이 예상됨
국내 에너지소비 총량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 건물을 지을 때 연간 에너지소비총량 범위에서 설계해야 하는 내용의 종합대책 수립
2008년 10월 공공발주 대형 건축물에 시범 도입되며, 2010년부터 모든 대형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음
기후변화 협약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국제다자간 회의 참여국 협의를 통하여 실질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하며 2005년 2월 국제법으로 발효된 협약
한국의 기후변화 협약 방향
대한민국의 2004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억4800만t으로 세계 배출량의 1.8% (세계 9위)를 차지함.
교토의정서 기준연도(1990년)부터 2004년까지 우리나라의 배출량은 105%증가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OECD 국가로서 2013년 부터 시작하는 2차 감축의무대상국에 포함될 것이 예상되며, 이경우 국가경제발전에 커다란 타격을 받을것이 예상됨
국내 에너지소비 총량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 건물을 지을 때 연간 에너지소비총량 범위에서 설계해야 하는 내용의 종합대책 수립
2008년 10월 공공발주 대형 건축물에 시범 도입되며, 2010년부터 모든 대형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음
추천자료
친환경 제품의 개발동향과 우리나라 친환경 정책방향(A+리포트)
[친환경발전][친환경에너지][에너지][대체에너지][발전][원자력발전][풍력발전][해양에너지발...
[농약][친환경농약]농약의 개념, 농약의 중요성, 농약의 유형, 농약의 안전성, 농약의 장점, ...
[건축물][허정당좌][에펠탑][콜로세움][도쿄돔][피사의 사탑]건축물 엘지쌍둥이빌딩, 건축물 ...
[도시환경][친환경도시][개발제한구역][친환경도시의 방향]도시환경의 개념, 도시환경의 결정...
친환경 농산물과 친환경 요리.ppt
친환경건축_오피스의 친환경 설계(성남시청)
친환경 식품점 창업 - 친환경 식품점 창업에 따른 입지선정 및 상권분석.ppt
<친환경농업 본시수업안> (고등2학년) 단원 : Ⅲ. 식생활 / 소단원 : 1. 식품의 특성과 선택 /...
친환경농산물급식지원(친환경농산물이란, 친환경의효과, 친환경농산물학교급식, 일반농산물과...
<친환경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개요, 친환경자동차의 역사, 친환경자동차 개발 배경, 친환경 ...
친환경 건물에 대해 (친환경 건축, 친환경 건물이란, 친환경 건물 필요성, 친환경적 설계).pptx
친환경도시개발 {친환경 개발의 정의와 배경, 미국 친환경 개발 방향과 사례, 국내 친환경 개...
친환경 도시(N City) 만들기 프로젝트(N-city의 개념, 친환경 도시 만들기, N City의 방향,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