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실습방법
3. 실습장비
4. 이론
5. 결과
6. 고찰
7. 오차 및 해결방안
2. 실습방법
3. 실습장비
4. 이론
5. 결과
6. 고찰
7. 오차 및 해결방안
본문내용
또한 야장 기입법을 통하여 측량을 함과 동시에 결과가 수치로 나와서 측량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오차는 6.7㎝가 나왔는데 전에 실시하였던 줄자측량보다 확실히 정밀도가 높았다.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측정도 한 번에 길게 가져갔으며 (물론 마지막에 20번의 횟수를 맞추기 위해 D1~D6구간은 짧아질 수밖에 없었다.) 수준척도 수직이 되도록 노력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작게 나온 이유이기도 하다.
줄자를 같이 이용하여, 레벨을 어느 지점에 놓고 측정하였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었다면 정밀한 결과 분석이 됐을 텐데 그렇게 하지 못해 아쉬웠다. 또한 CAD로 도면을 그렸을 시에 경사의 차이가 지반고에 비해 상당히 미미하여 뚜렷한 측정결과가 보이지 않아서 안타까웠다.
7. 오차 및 해결방안
① 레벨과 수준척 사이의 거리를 멀게 측정한 우리 조의 특성상 수준척이 레벨과 멀어지면 눈금을 읽을 때 오차가 더 많이 생기게 된다. 같은 오차의 각으로 레벨에서 눈금을 읽는다고 하더라도 거리가 멀어지면 점점 더 각도에 대한 오차가 증가하여 수준척의 눈금 오차는 더 증가하게 된다.
☞ 수준척 사이의 거리를 줄여서 실험 횟수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또는 같은 지점에서의 측정횟수를 늘려 확률변수를 많이 만들어 최확값을 구하는 방법도 있다.
② 들고 있는 수준척이 수직 상태 정확하지 않았을 수 있다. 아무래도 들고 있는 사람의 직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수준척에 수준기를 이용하거나 표적을 앞뒤로 미세하게 움직여서 최저의 값을 읽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수준척을 들 때 차려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준척을 들고 수준척이 자신의 시야에서 미간사이로 들어오게 바른 자세로 들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한명이 옆에서 수준척이 수직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경사가 커서 표척을 길게 뽑아야할시 한 명이 더 표척수의 보조로서 표척의 밑 부분을 잡아줌으로서 바람에 흔들리는 상태를 바로 잡을 수 있다.
③ 레벨을 설치하고 나서 눈금을 읽는 동안에 레벨의 수평이 움직일 수 있다. 레벨이 수평을 잃는 원인에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한 곳(진흙, 모래 등)에 설치하여 레벨이 침하하거나 흔들리는 경우, 눈금을 읽기 위해 눈을 접안렌즈에 접촉하면서 레벨에 충격을 주어 흔들리는 경우 등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대부분 아스팔트 위에서 진행이 되었으나 정석학술정보관 앞에서 우리조는 경사가 심한 잔디언덕에 레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 레벨을 설치하고 눈금을 읽을 시에 레벨에 눈금을 읽는 사람과 읽는 동안에도 수평여부를 확인해주는 사람 이렇게 두 명이 같이 하게 되면 수평을 유지하는데 더 용이 할 것이다.
④ 측량기구의 눈금을 읽을 때 개인 간의 차이로 인해 잘못된 수치를 읽거나 혹은 측정자가 여러 명이어서 개개인간 측량기준이 다를 경우 생길 수 있다.
☞ 측정수는 반드시 한사람만 두어서 측량 값을 읽도록 하고 또한 기계수는 표척의 눈금을 읽을 때 어느 정도 일정한 기준으로 일관되게 측량 값을 읽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레벨의 삼각대를 가슴높이로 하여 눈금을 읽을시 편안한 자세가 나오도록 하는 것이 오차를 조금이나마 더 줄이는 방법이 된다.
⑤ 지구곡률과 대기굴절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실시한 수준측량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본다. 우리가 측량한 범위는 좁은 범위이고 높이 차이도 큰 지형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측량해야 되는 범위가 크고 높이 차가 큰 지형에서의 측량이라면 곡률은 물로 대기에 의한 빛의 굴절도 고려하여 정오차를 보정해 줘야 한다.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측정도 한 번에 길게 가져갔으며 (물론 마지막에 20번의 횟수를 맞추기 위해 D1~D6구간은 짧아질 수밖에 없었다.) 수준척도 수직이 되도록 노력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작게 나온 이유이기도 하다.
줄자를 같이 이용하여, 레벨을 어느 지점에 놓고 측정하였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었다면 정밀한 결과 분석이 됐을 텐데 그렇게 하지 못해 아쉬웠다. 또한 CAD로 도면을 그렸을 시에 경사의 차이가 지반고에 비해 상당히 미미하여 뚜렷한 측정결과가 보이지 않아서 안타까웠다.
7. 오차 및 해결방안
① 레벨과 수준척 사이의 거리를 멀게 측정한 우리 조의 특성상 수준척이 레벨과 멀어지면 눈금을 읽을 때 오차가 더 많이 생기게 된다. 같은 오차의 각으로 레벨에서 눈금을 읽는다고 하더라도 거리가 멀어지면 점점 더 각도에 대한 오차가 증가하여 수준척의 눈금 오차는 더 증가하게 된다.
☞ 수준척 사이의 거리를 줄여서 실험 횟수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또는 같은 지점에서의 측정횟수를 늘려 확률변수를 많이 만들어 최확값을 구하는 방법도 있다.
② 들고 있는 수준척이 수직 상태 정확하지 않았을 수 있다. 아무래도 들고 있는 사람의 직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수준척에 수준기를 이용하거나 표적을 앞뒤로 미세하게 움직여서 최저의 값을 읽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수준척을 들 때 차려 자세에서 양손으로 수준척을 들고 수준척이 자신의 시야에서 미간사이로 들어오게 바른 자세로 들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한명이 옆에서 수준척이 수직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경사가 커서 표척을 길게 뽑아야할시 한 명이 더 표척수의 보조로서 표척의 밑 부분을 잡아줌으로서 바람에 흔들리는 상태를 바로 잡을 수 있다.
③ 레벨을 설치하고 나서 눈금을 읽는 동안에 레벨의 수평이 움직일 수 있다. 레벨이 수평을 잃는 원인에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한 곳(진흙, 모래 등)에 설치하여 레벨이 침하하거나 흔들리는 경우, 눈금을 읽기 위해 눈을 접안렌즈에 접촉하면서 레벨에 충격을 주어 흔들리는 경우 등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대부분 아스팔트 위에서 진행이 되었으나 정석학술정보관 앞에서 우리조는 경사가 심한 잔디언덕에 레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 레벨을 설치하고 눈금을 읽을 시에 레벨에 눈금을 읽는 사람과 읽는 동안에도 수평여부를 확인해주는 사람 이렇게 두 명이 같이 하게 되면 수평을 유지하는데 더 용이 할 것이다.
④ 측량기구의 눈금을 읽을 때 개인 간의 차이로 인해 잘못된 수치를 읽거나 혹은 측정자가 여러 명이어서 개개인간 측량기준이 다를 경우 생길 수 있다.
☞ 측정수는 반드시 한사람만 두어서 측량 값을 읽도록 하고 또한 기계수는 표척의 눈금을 읽을 때 어느 정도 일정한 기준으로 일관되게 측량 값을 읽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레벨의 삼각대를 가슴높이로 하여 눈금을 읽을시 편안한 자세가 나오도록 하는 것이 오차를 조금이나마 더 줄이는 방법이 된다.
⑤ 지구곡률과 대기굴절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실시한 수준측량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본다. 우리가 측량한 범위는 좁은 범위이고 높이 차이도 큰 지형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측량해야 되는 범위가 크고 높이 차가 큰 지형에서의 측량이라면 곡률은 물로 대기에 의한 빛의 굴절도 고려하여 정오차를 보정해 줘야 한다.
추천자료
볼링에관하여
비만남성의 유산소 운동이 bmi, whi, 체지방률에 미치는 영향
보수(보상)관리 전반
스마트홈에 관한 기술동향 및 향후 전망
[장애인고용]장애인고용의 이론적 배경, 장애인고용촉진법, 장애인고용의무제도, 장애인고용...
서비스 기업 이마트의 성공사례
원예작물의 공정육묘시스템 이용실태 및 도입방안
자기주도적학습 정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 자기주도적학습 원리, 자기주도적학습 ICT(정보...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의미와 성격,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선택중심교육과정, 공업계 고등...
RFID 산업의 동향과 전망
저출산과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
삼성 하우젠의 버블과 LG 트롬세탁기 광고전략 비교
[스웨덴 복지정책] 스웨덴 복지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보고서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은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1) 자신이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