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 습 목 적 ………………………………………………2
Ⅱ 실 습 장 비 ………………………………………………2
Ⅲ 실 습 방 법………………………………………………2
Ⅳ 실 습 장 소 ………………………………………………3
Ⅴ 실 습 시 주 의 사 항……………………………………4
Ⅵ 실 습 결 과 ………………………………………………4
Ⅶ 오 차 및 보 정……………………………………………6
Ⅷ 고 찰 ………………………………………………………7
Ⅸ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종류 및 특성…8
Ⅱ 실 습 장 비 ………………………………………………2
Ⅲ 실 습 방 법………………………………………………2
Ⅳ 실 습 장 소 ………………………………………………3
Ⅴ 실 습 시 주 의 사 항……………………………………4
Ⅵ 실 습 결 과 ………………………………………………4
Ⅶ 오 차 및 보 정……………………………………………6
Ⅷ 고 찰 ………………………………………………………7
Ⅸ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종류 및 특성…8
본문내용
- 100.000
6.802 = 6.802
※ 기고식 (시작점 : B, 대상점 : A)
측점
후시
전시
기계고
지반고
비고
I. P.
T. P.
B(B.M)
0.601
107.403
106.802
기 준 점
L'
0.561
4.753
103.001
102.650
(107.403-4.753)
A
3.209
100.002
(103.001-3.209)
계
1.162
7.962
검산
1.162 - 7.962 = 106.802-100.002
-6.800 = -6.800
7. 오차 및 보정
총오차(e) = 100.002 - 100.000 = 0.002 (m)
측점
조 정 량
조정
지 반 고
A
0
100.000
L
102.899
B
106.800
※ 삼각점 수준의 정밀도 = 1등 수준점 = 2.5mm (L의 단위는 km)
2등 수준점 = 5.0mm
3등 수준점 = 10.0mm
총 측량 노선의 길이(L, 왕복거리)는 1,000m(1Km)로 측정하였다 가정한다면,
<> 오차 0.002m는 범위 안에 들어가므로 1등 수준점 정밀도를 보이고 있다.
8. 고찰
생각했던 것보다 오차가 적게 나와 실습을 잘했다고 평가된다. 적은 오차지만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해 볼 수 있다.
첫째, 수준척을 정확히 연직으로 세우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수준척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수준척 윗부분이 바람에 흔들려 정확한 수준척 눈금을 읽지 못하였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수준척의 위치변화에 따른 오차가 생겼다고 판단된다. B점에서 A점을 측량할 때 망원경을 통해 시준하는 순간 땅이 보여 수준척의 위치를 A점에 비해 B점에 가깝게 설치했던 것에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실습 당일 태양빛이 매우 강하였고 이 태양빛이 레벨의 조정을 불완전하게 하였다고 생각된다. 심각한 오차는 아니지만 오차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오차의 발생은 이와 같은 이유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번 수준측량 실습을 통해 수준측량의 방법과 원리를 알게 되었고 지평선과 수평선 등 수준측량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되었다. 간단한 실습이지만 오차를 줄이기 위해 세밀한 노력이 필요했고 실습을 하는 팀원들 모두 협력해야 하는 실습이었다. 야장 기입하는 것 역시 이해가 필요했고 연습이 필요했다.
9.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종류 및 특성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계의 구조 및 불안정한 조정으로 생기는 기계오차(정오차)가 있다. 기계오차에는 망원경의 시준선과 기포관 축이 나란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 수준척의 길이 혹은 눈금이 정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 수준척의 0눈금의 기준오차 등이 속한다. 이것은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거나 표준척과의 비교검정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둘째, 개인오차(우연오차)가 있다. 개인오차에는 시준하는 순간 기포가 중앙에 있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와 시차에 의한 오차, 수준척이 연직이 아닐 때 발생하는 오차 등이 있다. 개인오차는 기포가 중앙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명확한 초준, 최저눈금의 읽음으로 제거할 수 있다.
셋째, 자연현상에 의한 자연오차가 있다. 태양빛에 의한 오차, 지구곡률에 의한 오차, 대기굴절에 의한 오차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알아보았다. 수준측량에서 착오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측량에서 말하는 오차는 아니다. 착오는 쉽게 실수로 생각할 수 있다. 수준측량을 할 때, 미리 오차에 대하여 주의한다면 수준측량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6.802 = 6.802
※ 기고식 (시작점 : B, 대상점 : A)
측점
후시
전시
기계고
지반고
비고
I. P.
T. P.
B(B.M)
0.601
107.403
106.802
기 준 점
L'
0.561
4.753
103.001
102.650
(107.403-4.753)
A
3.209
100.002
(103.001-3.209)
계
1.162
7.962
검산
1.162 - 7.962 = 106.802-100.002
-6.800 = -6.800
7. 오차 및 보정
총오차(e) = 100.002 - 100.000 = 0.002 (m)
측점
조 정 량
조정
지 반 고
A
0
100.000
L
102.899
B
106.800
※ 삼각점 수준의 정밀도 = 1등 수준점 = 2.5mm (L의 단위는 km)
2등 수준점 = 5.0mm
3등 수준점 = 10.0mm
총 측량 노선의 길이(L, 왕복거리)는 1,000m(1Km)로 측정하였다 가정한다면,
<> 오차 0.002m는 범위 안에 들어가므로 1등 수준점 정밀도를 보이고 있다.
8. 고찰
생각했던 것보다 오차가 적게 나와 실습을 잘했다고 평가된다. 적은 오차지만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해 볼 수 있다.
첫째, 수준척을 정확히 연직으로 세우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수준척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수준척 윗부분이 바람에 흔들려 정확한 수준척 눈금을 읽지 못하였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수준척의 위치변화에 따른 오차가 생겼다고 판단된다. B점에서 A점을 측량할 때 망원경을 통해 시준하는 순간 땅이 보여 수준척의 위치를 A점에 비해 B점에 가깝게 설치했던 것에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실습 당일 태양빛이 매우 강하였고 이 태양빛이 레벨의 조정을 불완전하게 하였다고 생각된다. 심각한 오차는 아니지만 오차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오차의 발생은 이와 같은 이유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번 수준측량 실습을 통해 수준측량의 방법과 원리를 알게 되었고 지평선과 수평선 등 수준측량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되었다. 간단한 실습이지만 오차를 줄이기 위해 세밀한 노력이 필요했고 실습을 하는 팀원들 모두 협력해야 하는 실습이었다. 야장 기입하는 것 역시 이해가 필요했고 연습이 필요했다.
9.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종류 및 특성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계의 구조 및 불안정한 조정으로 생기는 기계오차(정오차)가 있다. 기계오차에는 망원경의 시준선과 기포관 축이 나란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 수준척의 길이 혹은 눈금이 정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 수준척의 0눈금의 기준오차 등이 속한다. 이것은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거나 표준척과의 비교검정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둘째, 개인오차(우연오차)가 있다. 개인오차에는 시준하는 순간 기포가 중앙에 있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와 시차에 의한 오차, 수준척이 연직이 아닐 때 발생하는 오차 등이 있다. 개인오차는 기포가 중앙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명확한 초준, 최저눈금의 읽음으로 제거할 수 있다.
셋째, 자연현상에 의한 자연오차가 있다. 태양빛에 의한 오차, 지구곡률에 의한 오차, 대기굴절에 의한 오차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수준측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알아보았다. 수준측량에서 착오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측량에서 말하는 오차는 아니다. 착오는 쉽게 실수로 생각할 수 있다. 수준측량을 할 때, 미리 오차에 대하여 주의한다면 수준측량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부동산 가격 급등현상에 대한 분석
별의 생성과 소멸
신도시주의(뉴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분당신도시 사례연구
구심력 측정 - 예비 레포트 (사진, 그림 첨부)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관성모멘트
[여성학]대중매체에 그려지는 성의 이미지 분석 및 성상품화 현상 사례
국제무역환경 새로운 트렌드의 사례분석
삶의 질의 개념
건폐율에 대하여
에어테이블 - 에어테이블을 이용한 속도의 벡터합, 경사면에서의 중력가속도측정,경사면에서...
놀이(놀이문화)의 의미, 놀이(놀이문화)의 특성, 놀이(놀이문화)의 종류, 놀이(놀이문화)와 ...
세계적 예술의 도시 - 프랑스 파리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무인자동차)의 동향과 과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