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 bos와cog, 균형조절[Balance control] - 균형조절을 위한 운동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서 몸쪽순서로 진행된다.동요가 시작된 후 약 90~100ms에 장딴지근 활동이 시작되고, 동요 시작후 20~30ms후에 뒤넙다리근이 뒤따르고, 마지막으로 척추근 활동이 뒤따른다,후방불안정에 대한 반응으로 근활동은 앞 정강근이 시작되고 넙다리 네갈래근과 배근육이 뒤따른다.
-체중이동 전략(가쪽면)
안쪽과 가쪽 동요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운동전략은 한쪽다리에서 다른쪽 다리로 측방으로 체중 이동을 포함한다.엉덩관절은 체중이동 전략의 주요조절점이다. 엉덩관절을 발목관절 안쪽번짐근과 가쪽번짐근으로부터 기여와 함께 엉덩관절 벌림근과 모음근의 활동을 통하여 측면에서 일차적으로 신체중심을 움직인다.
-현수 전략(Suspension Strategy)
발목과 엉덩관절의 연합굽힘을 야기하는 무릎관절 굽힘에 의해 대상자의 신체중심을 빨리 낮출 때 균형과제를 하는 동안 현수전략이 관찰된다. 현수 전략은 균형 운도으이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발목 전략또는 체중이동전략과 함께 연합될수 있다
2.엉덩관절 전략(Hip Strategy)
안정성 한계에 가이에 질량중심이 있는 상태에서 운동이 수행될 때 또는 빠르고 큰 외적 동요가 있을 때 엉덩관절 전략이 사용된다. 엉덩관절 전략은 기저면 안에 질량중심을 이동하기 위하여 빠른 엉덩관절굽힘이나 폄을 사용한다.몸통이 빠르게 한방향으로 회전할 때 수평적 힘(전단력)은 몸통처럼 다른 방향으로 질량중심을 이동하는 다른방향에서 지지면에 대하여 생성된다. 엉덩관절 전략과 엽합된 근활동은 지지면이 갑자기후방(즉,사람은 전방으로 흔들림)또는 전방(즉, 사람은 후방으로 흔들림)으로 이동될 때,좁은 균형빔위에서 사람이 서게 함으로써 연구가 이루어졌다.전방 신체흔들림에 대한 반응으로 근육은 전형적으로 몸쪽에서 먼쪽순서로 활성화 된다.배근유그이 활동은 동요후에 약 90~100ms에 시작하고,넙다리 네갈래근의 활동이 뒤따른다.후방 신체 흔들림은 척추주위근의 첫 번째 활동후에 뒤넙다리근의 뒤따른결과이다.사람은 큰 수평적 힘이 발생하여 발이 미끄러질 때 균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엉덩관절 전략을 사용할수 없다.
3.스테핑전략(Stepping Strategies)
안정성 한계 밖으로 큰 힘이 질량중심을 전위할 경우에 기저면을 크게 만들기 위해 앞쪽이나 뒤쪽으로 한 발을 내딛음으로써 균형조절을 다시 얻게 된다. 고르지 않은 지면위에서 비틀거림이 뒤따른비협응된 스텝은 스테핑 전략의 한가지 예가 된다
-연합전략(Combined Strategies)
연구에 의하면 자세동요에 대한 운동반응패턴이Nashner에 의해 원래 기술된 것보다 더복잡하고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낫다.대부분의 건강한 사람들은 조절요구에 의존하여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략을 결합한다.균형조절은 과제와 환경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움직이는 버스에서 서는 것은 고정된 지면에서 서는 것보다 더 큰 조절이 요구된다.그래서 균형장애를 치료할 때 다른상황에서 사람이 운동전략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과제와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키스터 콜비 운동치료 총론 개정5판,영문출판사

키워드

stability,   mobility,   BOS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