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IBM(아이비엠)의 역사
Ⅲ. IBM(아이비엠)의 지식경영
Ⅳ. IBM(아이비엠)의 I/O채널
Ⅴ. IBM(아이비엠)의 SNA
Ⅵ. IBM(아이비엠)의 디자인혁신
1. 인터넷 실험
2. 기술팀
3. 문화팀
Ⅶ. IBM(아이비엠)의 딥블루
Ⅷ. IBM(아이비엠)의 인재관리제도
1. 직급체계
2. 전문가 제도
3. 교육 및 훈련
1) 관리자 교육
2) 전직원 대상 계층 교육
3) 직무와 관련된 기술교육
Ⅸ. IBM(아이비엠)의 PC메모리
1. 기본 메모리(Conventional Memory)
2. 상위 메모리 영역(Upper Memory Block)
3. 고위 메모리 영역(High Memory Area)
4. 연장 메모리(XMS, eXtended Memory)
5. 확장 메모리(EMS, Expanded Memory)
Ⅹ. 결론
참고문헌
Ⅱ. IBM(아이비엠)의 역사
Ⅲ. IBM(아이비엠)의 지식경영
Ⅳ. IBM(아이비엠)의 I/O채널
Ⅴ. IBM(아이비엠)의 SNA
Ⅵ. IBM(아이비엠)의 디자인혁신
1. 인터넷 실험
2. 기술팀
3. 문화팀
Ⅶ. IBM(아이비엠)의 딥블루
Ⅷ. IBM(아이비엠)의 인재관리제도
1. 직급체계
2. 전문가 제도
3. 교육 및 훈련
1) 관리자 교육
2) 전직원 대상 계층 교육
3) 직무와 관련된 기술교육
Ⅸ. IBM(아이비엠)의 PC메모리
1. 기본 메모리(Conventional Memory)
2. 상위 메모리 영역(Upper Memory Block)
3. 고위 메모리 영역(High Memory Area)
4. 연장 메모리(XMS, eXtended Memory)
5. 확장 메모리(EMS, Expanded Memory)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S를 위해서만 의미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자. 그 이유는 이 고위 메모리 영역에는 단지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적재되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개 고위 메모리 부분에는 DOS의 중요 실행 부분(Kernel)이 적재된다. CONFIG.SYS에서 \"DOS=HIGH\"명령이 바로 DOS의 커넬을 고위 메모리 부분으로 옮기라는 명령이다.
4. 연장 메모리(XMS, eXtended Memory)
지금까지의 상위 메모리 부분과 고위 메모리 부분은 사실 사용자가 그 크기를 조정할 수도 없고 사용 용도를 임의로 지정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지금부터 나타나는 XMS와 EMS는 크기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 용도도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해 지정해 줄 수 있으므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연장 메모리는 앞서 설명한 기본 메모리, 상위 메모리, 고위 메모리에 바로 이어 나머지 전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rporation), 인텔사(Intel Cooperaton), 로터스사(Lotus Development Corporation) 그리고 AST사(AST Research, Inc.)의 4사가 모여 1Mb이상의 추가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일종의 규정을 내린 연장 메모리 규격(Extended Memory Specification) 문서에 의해 정의된 부분이다. 그 크기는 대개 1Mb(Base Memory)를 뺀 나머지 전체이다. 만약 4Mb의 메모리가 장착된 시스템이라면 3Mb가 XMS로 정의된다는 말이다. 위에 설명한 고위 메모리 영역은 그 자체가 고위 메모리 영역이면서 XMS의 처음 일부분이기도 한 것이다. MS-DOS에서 제공하는 XMS를 사용하도록 해주는 XMS 드라이버는 HIMEM.SYS이다. 좀 더 명확하게 얘기하자면 연장 메모리 규격(eXtended Memory Specification)을 소프트웨어로 구체화시켜 놓은 것이 바로 HIMEM.SYS인 것이다.
HIMEM.SYS는 286이상의 기종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단지 CONFIG.SYS에 다음과 같은 설치 명령으로 실행시키고 XMS를 사용할 수 있다.
DEVICE=C:\\DOS\\HIMEM.SYS
5. 확장 메모리(EMS, Expanded Memory)
위에서 설명한 XMS나 여기의 EMS는 다른 메모리처럼 정확하게 어디에 위치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XMS나 EMS는 각각을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설정하는 바에 따라서 존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유념하자. 이 EMS 역시 1Mb 이상의 메모리 사용법에 대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 인텔사, 로터스사가 정의한 확장 메모리 규격서(Expanded Memory Specification)로 정의된 것이다. 단지 방법론(!)이다. MS-DOS에서 제공하는 XMS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HIMEM.SYS이라는 것은 위에서 설명했다. MS-DOS는 386이상의 기종을 위한 EMS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 EMM386.EXE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86 기종에서는 EMM386.EXE를 사용할 수 없고 공개용 프로그램으로 발표된 EMS.SYS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만 한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아 XMS와 EMS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XMS는 그 양이 “1Mb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인 것에 반해 EMS는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실행시키면서 설정한 양만큼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8Mb인 시스템에서 XMS 드라이버를 실행시킨다면 XMS는 항상 7Mb이지만 EMS는 7Mb일수도,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EMM386.EXE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CONFIG.SYS에서 다름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VICE=C:\\DOS\\EMM386.EXE NOEMS <- EMS를 사용하지 않음
DEVICE=C:\\DOS\\EMM386.EXE 2048 <- 2Mb만큼을 EMS로 할당
DEVICE=C:\\DOS\\EMM386.EXE RAM 3072 <- EMS 4.0에 준규 하여 3Mb를 EMS로 할당
DEVICE=C:\\DOS\\EMM386.EXE RAM <- EMS 4.0에 준규 하여 필요시 요구 량만큼만 할당
Ⅹ. 결론
현대의 고도화된 전자공학의 발전을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digital) 방식의 전기적 특성을 적절하게 응용함으로써 수치 연산과 논리 연산, 자료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즉, 전자가 초당 30 만[km]의 속도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대단히 빠른 처리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전기의 흐름과 차단을 수학의 2진수와 대응시킬 수 있다. 2진수는 “0”과 “1”만의 숫자로 표시된다. 여기서 “0”과 “1”의 한자리수는 비트(bit : binary digit)라고 하며 컴퓨터 연산의 치소 구성단위가 되 는 것이다. 여러 개의 비트를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사용하게 되는데, 바이트(byte)는 8개의 비트가 모여 1개의 문자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최소구성 단위로서 1바이트는 영문자, 숫자, 기호 중에서 1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단, 한글의 경우는 2바이트가 한 문자를 이룬다. 1바이트는 8개의 비트로 이루어 져 있으므로 PC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시킬 수 있는 문자의 총 수효는 2의 8제곱 가지 수, 즉 서 로 다른 256개의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바이트로 아스키(ASCⅡ : american standard code information interchange)문자, 즉 정보 교환을 위한 미국의 표준 문자 코드라고 하는 표준 텍스트 문 자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상임(2003), IBM의 기업 변신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김억(1996), 다국적 기업 IBM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이재범(1994), 기업 변신 전략한국 IBM 사례, 서강대학교경영연구소
이호현 외 1명(2010), IBM의 클라우드 컴퓨팅 동향 및 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양현석(2011), 장수기업의 성장단계별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 : IB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항공대학교
정대성(2002), IBM의 웹 서비스 솔루션, 한국정보처리학회
4. 연장 메모리(XMS, eXtended Memory)
지금까지의 상위 메모리 부분과 고위 메모리 부분은 사실 사용자가 그 크기를 조정할 수도 없고 사용 용도를 임의로 지정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지금부터 나타나는 XMS와 EMS는 크기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 용도도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해 지정해 줄 수 있으므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연장 메모리는 앞서 설명한 기본 메모리, 상위 메모리, 고위 메모리에 바로 이어 나머지 전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rporation), 인텔사(Intel Cooperaton), 로터스사(Lotus Development Corporation) 그리고 AST사(AST Research, Inc.)의 4사가 모여 1Mb이상의 추가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일종의 규정을 내린 연장 메모리 규격(Extended Memory Specification) 문서에 의해 정의된 부분이다. 그 크기는 대개 1Mb(Base Memory)를 뺀 나머지 전체이다. 만약 4Mb의 메모리가 장착된 시스템이라면 3Mb가 XMS로 정의된다는 말이다. 위에 설명한 고위 메모리 영역은 그 자체가 고위 메모리 영역이면서 XMS의 처음 일부분이기도 한 것이다. MS-DOS에서 제공하는 XMS를 사용하도록 해주는 XMS 드라이버는 HIMEM.SYS이다. 좀 더 명확하게 얘기하자면 연장 메모리 규격(eXtended Memory Specification)을 소프트웨어로 구체화시켜 놓은 것이 바로 HIMEM.SYS인 것이다.
HIMEM.SYS는 286이상의 기종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단지 CONFIG.SYS에 다음과 같은 설치 명령으로 실행시키고 XMS를 사용할 수 있다.
DEVICE=C:\\DOS\\HIMEM.SYS
5. 확장 메모리(EMS, Expanded Memory)
위에서 설명한 XMS나 여기의 EMS는 다른 메모리처럼 정확하게 어디에 위치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XMS나 EMS는 각각을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설정하는 바에 따라서 존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유념하자. 이 EMS 역시 1Mb 이상의 메모리 사용법에 대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 인텔사, 로터스사가 정의한 확장 메모리 규격서(Expanded Memory Specification)로 정의된 것이다. 단지 방법론(!)이다. MS-DOS에서 제공하는 XMS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HIMEM.SYS이라는 것은 위에서 설명했다. MS-DOS는 386이상의 기종을 위한 EMS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 EMM386.EXE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86 기종에서는 EMM386.EXE를 사용할 수 없고 공개용 프로그램으로 발표된 EMS.SYS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만 한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아 XMS와 EMS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XMS는 그 양이 “1Mb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인 것에 반해 EMS는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실행시키면서 설정한 양만큼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8Mb인 시스템에서 XMS 드라이버를 실행시킨다면 XMS는 항상 7Mb이지만 EMS는 7Mb일수도,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EMM386.EXE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CONFIG.SYS에서 다름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VICE=C:\\DOS\\EMM386.EXE NOEMS <- EMS를 사용하지 않음
DEVICE=C:\\DOS\\EMM386.EXE 2048 <- 2Mb만큼을 EMS로 할당
DEVICE=C:\\DOS\\EMM386.EXE RAM 3072 <- EMS 4.0에 준규 하여 3Mb를 EMS로 할당
DEVICE=C:\\DOS\\EMM386.EXE RAM <- EMS 4.0에 준규 하여 필요시 요구 량만큼만 할당
Ⅹ. 결론
현대의 고도화된 전자공학의 발전을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digital) 방식의 전기적 특성을 적절하게 응용함으로써 수치 연산과 논리 연산, 자료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즉, 전자가 초당 30 만[km]의 속도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대단히 빠른 처리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전기의 흐름과 차단을 수학의 2진수와 대응시킬 수 있다. 2진수는 “0”과 “1”만의 숫자로 표시된다. 여기서 “0”과 “1”의 한자리수는 비트(bit : binary digit)라고 하며 컴퓨터 연산의 치소 구성단위가 되 는 것이다. 여러 개의 비트를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사용하게 되는데, 바이트(byte)는 8개의 비트가 모여 1개의 문자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최소구성 단위로서 1바이트는 영문자, 숫자, 기호 중에서 1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단, 한글의 경우는 2바이트가 한 문자를 이룬다. 1바이트는 8개의 비트로 이루어 져 있으므로 PC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시킬 수 있는 문자의 총 수효는 2의 8제곱 가지 수, 즉 서 로 다른 256개의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바이트로 아스키(ASCⅡ : american standard code information interchange)문자, 즉 정보 교환을 위한 미국의 표준 문자 코드라고 하는 표준 텍스트 문 자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상임(2003), IBM의 기업 변신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김억(1996), 다국적 기업 IBM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이재범(1994), 기업 변신 전략한국 IBM 사례, 서강대학교경영연구소
이호현 외 1명(2010), IBM의 클라우드 컴퓨팅 동향 및 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양현석(2011), 장수기업의 성장단계별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 : IB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항공대학교
정대성(2002), IBM의 웹 서비스 솔루션, 한국정보처리학회
추천자료
한국 IBM 기업에 대한 사례분석연구 사례(왜 한국아이비엠을 선택했는가?)
컴퓨터의_역사_및_분류
정보화사회와컴퓨터
IBM,IBM해외진출현황,IBM다국적경영전략,아이비엠,다국적경영전략사례.PPT자료
[영국, 영국 과학기술, 영국 정보화기술, 영국 산업기술, 영국 노동기술, 과학기술, 정보화기...
[기업][한국][일본][미국][핀란드][삼성][소니]한국 기업 TG삼보컴퓨터, 한국 기업 삼성(Sams...
IBM(아이비엠) 인재상, 다운사이징, IBM(아이비엠) EMS, IBM(아이비엠) I/O채널, IBM(아이비...
[기업][일본][미국][한국][캐논][소니][IBM][HP][LG]일본 기업 캐논(Canon), 일본 기업 소니(...
[미국 기업][HP][MS]미국 기업 HP(휴렛팩커드), 미국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 Micro Sof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