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역사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효과
1. 정의
2. 준비물
3. 심화놀이 기법
4. 효과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속설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안내
1. 유래
2. 인원
3. 준비물
4. 놀이안내
5. 놀이방법
1) 개인 뛰기
2) 모둠 뛰기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널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민요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놀이
3. 유의점
참고문헌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역사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효과
1. 정의
2. 준비물
3. 심화놀이 기법
4. 효과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속설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안내
1. 유래
2. 인원
3. 준비물
4. 놀이안내
5. 놀이방법
1) 개인 뛰기
2) 모둠 뛰기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널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민요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놀이
3.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인원
2명 또는 4명
3. 준비물
널, 괴임대(받침대), 손잡이 줄
4. 놀이안내
1. 널 양끝에 한사람씩 올라와서 널이 수평이 되도록 거리를 조절한다.
2. 발을 떼지 않고 무릎의 반동을 이용하여 얼르기를 한다.
3. 널을 구를 때는 무릎을 약간 구부렸다 펴면서 구른다.
4.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줄을 쳐 놓고 줄을 잡고 뛰거나 보조하는 사람의 손을 잡고 뛴다.
5. 뛰는 요령이 익숙해지면 줄을 잡지 않고 뛴다.
6. 두 사람이 리듬을 맞추어 번갈아 뛰게 되면 뛰었다 내리는 반동으로 몸이 공중으로 점점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7. 몸이 솟을 때 양쪽 팔을 벌리면서 몸을 약간 숙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몸을 반듯하게 세워 자세를 바르게 취한다.
5. 놀이방법
1) 개인 뛰기
(1) 떨어뜨리기
솟아 올랐다 내려올 때 널을 힘껏 굴러서 상대편 발이 널에서 떨어지면 이기게 된다.
(2) 높이뛰기
누가 더 높이 뛰어 오르는가로 승부를 가린다. 이때 높은 장대에 줄을 치고 풍선같은 것을 달아놓고 뛰어 따내도록 하면 더욱 재미있다.
(3) 모양 꾸며 뛰기
솟아 오른 후 발을 앞뒤나 옆, 팔을 우나 옆 등으로 벌려 여러 모양으로 아름답게 꾸며 뛰기를 한다.
2) 모둠 뛰기
한 쪽에 두 사람씩 네 사람이 위 개인 뛰기와 같은 방법으로 널뛰기를 한다.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널
뛰어 노는 사람의 몸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널판을 준비한다. 널판 한가운데 밑을 짚묶음 또는 가마니 뭉치로 베개 모양을 만들어 괴고(지방에 따라서는 흙구덩이를 파서 괴는 곳도 있다) 널판 양 끝 위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교대로 뛰면 자연히 뛰었다 내리는 반동으로 두 사람의 몸은 점점 공중으로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한동안 뛰다 보면 숨이 가빠지게 되어 오랜 시간을 계속해서 뛰기는 어렵다. 여러 사람이 어울려서 서로 교대로 쉬었다 뛰고, 뛰었다 쉬면서 노는 것이 널뛰기의 재미다.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민요
널뛰기에 관한 민요는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그중에서 한편을 소개한다.
묵은해는 지나가고
새해신원을 맞이했네
(후렴)
널뛰자 널뛰자.
새해맞이 널뛰자.
앞집의 수캐야 너왔느냐
뒷집의 순이야 너도왔니
(후렴)
만복무량 소원성취
금년신수가 좋을시구.
(후렴)
서제도령 공치기가
널뛰기만 못하리라.
(후렴)
규중생강 우리몸은
설노롬이 널뛰기라.
(후렴)
널뛰기를 마친후에
떡국노래를 가자세라.
(후렴)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① 양쪽이 다 발을 널판에서 떼지 않고 구르는 연습을 한다.
② 양쪽 혹은 한쪽에 줄을 쳐 놓고 줄을 잡고 뛰기를 한다.
③ 줄을 잡지 않고 그대로 뛰게 한다.
④ 솟을 때는 다리의 모양을 벌렸다 오므렸다 자유롭게 하면서 뛰기를 해본다.
2. 놀이
① 오래 버티기(개임별, 단체별)
② 높이뛰기(매달아 놓은 풍선 등을 따서 내리거나 터뜨리기)
※ 릴레이 경기
③ 재주 부리기
3. 유의점
(다같이 부르기)_
허누자 척실루 허누자 척실루 허누자 척실루
니머리 흔들 니당기 콜랑 니눈이 휘휘
매다리 삽작 내치마 랑넉 내발이 알알.
참고문헌
김평(2008), 쿵덕쿵덕 널뛰기, 한국몬테소리
김선풍(1994), 재중 한족의 민속놀이 연구, 한국민속학회
박환규(2002), 조선시대의 여성체육에 대한 일 고찰 : 널뛰기와 그네뛰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우배식(1999), 널뛰기 운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이태희(2011), 우리나라 세시풍속, HomeBook
최상수(1975), 한국 민속놀이의 연구, 대한민국예술원
2. 인원
2명 또는 4명
3. 준비물
널, 괴임대(받침대), 손잡이 줄
4. 놀이안내
1. 널 양끝에 한사람씩 올라와서 널이 수평이 되도록 거리를 조절한다.
2. 발을 떼지 않고 무릎의 반동을 이용하여 얼르기를 한다.
3. 널을 구를 때는 무릎을 약간 구부렸다 펴면서 구른다.
4.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줄을 쳐 놓고 줄을 잡고 뛰거나 보조하는 사람의 손을 잡고 뛴다.
5. 뛰는 요령이 익숙해지면 줄을 잡지 않고 뛴다.
6. 두 사람이 리듬을 맞추어 번갈아 뛰게 되면 뛰었다 내리는 반동으로 몸이 공중으로 점점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7. 몸이 솟을 때 양쪽 팔을 벌리면서 몸을 약간 숙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몸을 반듯하게 세워 자세를 바르게 취한다.
5. 놀이방법
1) 개인 뛰기
(1) 떨어뜨리기
솟아 올랐다 내려올 때 널을 힘껏 굴러서 상대편 발이 널에서 떨어지면 이기게 된다.
(2) 높이뛰기
누가 더 높이 뛰어 오르는가로 승부를 가린다. 이때 높은 장대에 줄을 치고 풍선같은 것을 달아놓고 뛰어 따내도록 하면 더욱 재미있다.
(3) 모양 꾸며 뛰기
솟아 오른 후 발을 앞뒤나 옆, 팔을 우나 옆 등으로 벌려 여러 모양으로 아름답게 꾸며 뛰기를 한다.
2) 모둠 뛰기
한 쪽에 두 사람씩 네 사람이 위 개인 뛰기와 같은 방법으로 널뛰기를 한다.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널
뛰어 노는 사람의 몸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널판을 준비한다. 널판 한가운데 밑을 짚묶음 또는 가마니 뭉치로 베개 모양을 만들어 괴고(지방에 따라서는 흙구덩이를 파서 괴는 곳도 있다) 널판 양 끝 위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교대로 뛰면 자연히 뛰었다 내리는 반동으로 두 사람의 몸은 점점 공중으로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한동안 뛰다 보면 숨이 가빠지게 되어 오랜 시간을 계속해서 뛰기는 어렵다. 여러 사람이 어울려서 서로 교대로 쉬었다 뛰고, 뛰었다 쉬면서 노는 것이 널뛰기의 재미다.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와 민요
널뛰기에 관한 민요는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그중에서 한편을 소개한다.
묵은해는 지나가고
새해신원을 맞이했네
(후렴)
널뛰자 널뛰자.
새해맞이 널뛰자.
앞집의 수캐야 너왔느냐
뒷집의 순이야 너도왔니
(후렴)
만복무량 소원성취
금년신수가 좋을시구.
(후렴)
서제도령 공치기가
널뛰기만 못하리라.
(후렴)
규중생강 우리몸은
설노롬이 널뛰기라.
(후렴)
널뛰기를 마친후에
떡국노래를 가자세라.
(후렴)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널뛰기의 놀이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① 양쪽이 다 발을 널판에서 떼지 않고 구르는 연습을 한다.
② 양쪽 혹은 한쪽에 줄을 쳐 놓고 줄을 잡고 뛰기를 한다.
③ 줄을 잡지 않고 그대로 뛰게 한다.
④ 솟을 때는 다리의 모양을 벌렸다 오므렸다 자유롭게 하면서 뛰기를 해본다.
2. 놀이
① 오래 버티기(개임별, 단체별)
② 높이뛰기(매달아 놓은 풍선 등을 따서 내리거나 터뜨리기)
※ 릴레이 경기
③ 재주 부리기
3. 유의점
(다같이 부르기)_
허누자 척실루 허누자 척실루 허누자 척실루
니머리 흔들 니당기 콜랑 니눈이 휘휘
매다리 삽작 내치마 랑넉 내발이 알알.
참고문헌
김평(2008), 쿵덕쿵덕 널뛰기, 한국몬테소리
김선풍(1994), 재중 한족의 민속놀이 연구, 한국민속학회
박환규(2002), 조선시대의 여성체육에 대한 일 고찰 : 널뛰기와 그네뛰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우배식(1999), 널뛰기 운동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이태희(2011), 우리나라 세시풍속, HomeBook
최상수(1975), 한국 민속놀이의 연구, 대한민국예술원
추천자료
강강술래에 관한 고찰... (민속학, 놀이)
구비문학-민속극론(탈춤,인형극,발탈놀이)
[민속예술]영남지역 탈놀이의 언어매체 분석 및 지역적 특성
[민속인형극][꼭두각시놀음][인형극놀이][인형극][풍물]한국의 민속인형극 고찰과 꼭두각시놀...
계발활동(클럽활동, CA활동)의 목표와 연간지도계획, 계발활동(클럽활동, CA활동)의 편성과 ...
3)체육-여러 가지 민속 놀이하기(제기차기, 투호놀이)(중안)
[놀이][놀이문화]놀이(놀이문화) 역할, 놀이(놀이문화)와 차속놀이, 놀이(놀이문화)와 청소년...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의 축제적 재구성,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1 투호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2 연날리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3 쥐불...
[고누놀이][고누놀이 정의][고누놀이 기원][고누놀이 종류][고누놀이 방법][고누놀이와 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널뛰기, 지신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윷놀이, 널뛰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고싸움놀이, 연날리기), 정월대...
[연희][거리굿 연희][마을굿 연희][민속극 연희][박첨지놀이 연희]거리굿의 연희, 마을굿의 ...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