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테로이드의 종류
2. 스테로이드의 대사 및 약물 상호작용
3. 스테로이드의 작용기전
4. 스테로이드의 부작용
2. 스테로이드의 대사 및 약물 상호작용
3. 스테로이드의 작용기전
4. 스테로이드의 부작용
본문내용
처치유의 지연 등이 나타날 수가 있고 피부가 얇아지고 멍이 잘들게 된다.
차. 스테로이드 근병증
스테로이드를 오래 사용하면 근육이 약화될 수 있으며 근염, 피부 근염의 치료시 원래 질병의 악화와 스테로이드에 의한 근육약화가 구분이 어려울 때도 있다.
카. 동맥 경화증
만일 스테로이드를 수 년, 또는 수십 년 사용한 경우 동맥 경화증이 촉진된다. 특히 혈관염이나 전신성 홍반성 낭창같이 이미 질병에 의하여 혈관내막에 손상이 있는 부위에 더 잘 발생한다.
타. 성장지연
소아 환자에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가 성장호르몬 생산을 억제하고 작용을 방해하여 키가 안 크는 등, 성장이 지연되게 된다.
파.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의 부작용
스테로이드를 고용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위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더 잘 발생하게 되며 특히 이미 있던 감염이 전신적으로 심하게 퍼질 수 있고 골괴사, 정신이상, 장천공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이상이 있는 것을 모르고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농양, 장천공 등이 있는 경우에 이에 따른 증상이 스테로이드에 의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종종 있다.
차. 스테로이드 근병증
스테로이드를 오래 사용하면 근육이 약화될 수 있으며 근염, 피부 근염의 치료시 원래 질병의 악화와 스테로이드에 의한 근육약화가 구분이 어려울 때도 있다.
카. 동맥 경화증
만일 스테로이드를 수 년, 또는 수십 년 사용한 경우 동맥 경화증이 촉진된다. 특히 혈관염이나 전신성 홍반성 낭창같이 이미 질병에 의하여 혈관내막에 손상이 있는 부위에 더 잘 발생한다.
타. 성장지연
소아 환자에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가 성장호르몬 생산을 억제하고 작용을 방해하여 키가 안 크는 등, 성장이 지연되게 된다.
파.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의 부작용
스테로이드를 고용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위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더 잘 발생하게 되며 특히 이미 있던 감염이 전신적으로 심하게 퍼질 수 있고 골괴사, 정신이상, 장천공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이상이 있는 것을 모르고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농양, 장천공 등이 있는 경우에 이에 따른 증상이 스테로이드에 의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종종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