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이로제
2. 증상의 의미
3. 외상에의 고착
4. 저항과 억압
2. 증상의 의미
3. 외상에의 고착
4. 저항과 억압
본문내용
는 부인이라고 부른다. 어떠한 심적 과정도 처음엔 무의식적인 단계 혹은 무의식적인 위상(位相)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 위상에서 비로소 의식적인 위상으로 옮겨 간다고 가정하자. 이를테면 사진의 상은 처음에는 음화이지만, 인화에 의하여 양화로 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어느 음화나 모두 양화이어야 할 필요는 없듯이 무의식적인 심적 과정이 모두 의식적인 심적 과정이 될 필요는 없다. 개개의 과정은 처음에는 무의식이라는 심적 체계에 속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의식이라는 체계로 옮겨 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편리하다.억압이란 증상 형성의 조건에 지나지 않는다. 증상이 억압에 의해서 방해된 어떤 것의 대용물인 것이다. 그러나 억압에서 이 대용 형성을 이해하려면 아직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억압이라는 문제와 관련해서 다른 측면에서 의문이 일어난다. 어떤 종류의 심적인 움직임이 억압에 굴복하는가, 또 어떠한 힘에 의해 어떠한 동기에서 억압이 관철되는가 하는 것이다. 이 의문에 대해서는, 저항을 연구했을 때 저항은 자아의 힘, 곧 우리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잠재하고 있는 성격적 특성에서 나온다는 하나의 대답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요컨대 억압을 하는 것도 이 힘이다.
추천자료
광기의 예술인들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에서 본 아동발달의 단계 및 심리학점 관점
상담심리학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적 치료, 인간중심의 치료, 행동수정을 비교
[정신분석학]프로이드와 코핫의 핵심개념 흐름에 관한 비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의 일생과 정신분석학의 주요 개념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중 정신분석학 입장에서 인간의 발달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
[정신분석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단계를 8단계로 나눠서 설명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이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도덕성 발달의 정신분석학적 관점, 사회학습이론적 관점, 인지발달론적 관점, 도덕성 발달이...
여성주의이론(정신분석학 여성주의이론, 실존주의 여성이론,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이론, 에코 ...
[자아개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아(자기) 인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자아(자기) 자존감(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