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개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아(자기) 인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자아(자기) 자존감(자아존중감)과 자존의 욕구 자기효능감과 자기충족예언 실현경향과 자아실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개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아(자기) 인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자아(자기) 자존감(자아존중감)과 자존의 욕구 자기효능감과 자기충족예언 실현경향과 자아실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아(자기)
1. 프로이드(Freud)의 자아(ego)
2. Erikson의 자아(ego)
3. 융(Jung)의 자기(self)

II. 인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자아(자기, self)
1. Rogers의 자아
2. Allpert의 자아
3. Mead의 자아
4. 자아에 대한 대표적 정의

III. 자존감(자아존중감)과 자존의 욕구
1. 자기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존중
2. 타인에 의한 존경

IV. 자기효능감과 자기충족예언
1. 자기효능감
2. 자기충족예언

V. 실현경향과 자아실현
1. 실현경향
2. 자아실현

VI. 상호관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과를 산출하는데 요구되는 행동을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신념과 관련된다. 따라서 개인은 특정 행동이 특정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을 수는 있지만, 자신이 이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Bandura는 경험과 자아개념 형성과의 관계를 자기강화 및 자기규제 이론으로 설명하는 바,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누적된 경험이 자아에 대한 신념(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2. 자기 충족예언
Rosenthal과 Jacobson(1968)이 행한 자기수행예언에 관한 연구에서의 기본 가정은 학생들은 대체로 그들에게 기대된 대로 행동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을 유능하다고 보면 그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또한 그 기대에 맞는 지도를 하게 되고, 이러한 기대는 학생들에게 수용되어 학업성취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로 일컬어지는 이러한 현상은 남이 기대하는 바에 따라, 그리고 자신의 긍정적 신념 체계에 따라 성취의 수준이 달라짐을 보인다. 따라서 특정한 일에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특정 결과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충족예언은 개인의 자아개념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V. 실현경향과 자아실현
1. 실현경향
Rogers(1959)는 개개인은 긍정적이고, 건강한 성장과 변화를 가능케 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잠재력은 강력한 외부의 압박이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소가 작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발휘된다. 실현(actualization)이라고 칭해지는 이러한 성장을 향한 경향은 사람 내부에서 일반적으로 작동되는 힘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기체가 스스로를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발전시키는 선천적 경향으로 요약된다.
2.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
실현화 과정이 자아의 유지와 고양에 '적극성'을 발휘할 때를 일컫는 말이다. 자아실현은 개인이 보다 큰 자율성을 확보하고, 자기충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개인의 경험을 확장시키고 풍부하게 하며, 창조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성장을 도모하게 한다. 이의 전반적인 기능은 개인의 통합과 구조화를 이루는 전체성(wholeness)의 증진에 있다.
VI. 자아개념의 상호관계
자아개념은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행동의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요인으로서, 그리고 개개인의 기대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개개인의 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개념이 갖는 이러한 영향력을 인정한다면 자아개념이 다른 행동 특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가설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실제로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가설을 지지해 왔다. 대체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다른 바람직한 행동 특성과 관련이 되고, 부정적인 자아개념은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특성과 관련이 된다.
그림. 자아개념 형성 과정모형
자아개념의 형성, 특히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는 의미 있는 타인이 개인의 능력을 인정해 주고(자기 효능감 형성에 영향), 존재가치를 인정해 주는 일(자존감, 자아가치의 형성에 영향)이 필요하며, 개인적으로는 자아 일관성을 통한 자기 신뢰감을 형성하는 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의 관계를 도식으로 정리하면 위의 그림과 같다.
만약 의미 있는 타인이 능력, 존재 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면 그의 자기 효능감과 자아가치감은 손상을 받아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자아고양(self-enhancement) 과정을 설명하면서 Markus와 Nuris(Wigfield & Karpathian, 1991 재인용)는 아동의 자아개념은 7세 경부터 사회적 비교를 통해 의미 있는 타인들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아동기 중반에 이르면 이들은 부모와 교사의 표준(standards)에 계속 의지하기보다는 부분적으로나마 그들 자신의 신념체계에 이러한 표준들을 통합시켜 나감으로써 자기 나름대로의 표준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5.31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5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