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어 [화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칭어 [화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다.
'미스'와 '양'
. 보통 20세 전후의 여성에게 '미스'와 '양'을 붙여 부르나, 요 즈음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씨'라 불러 주기를 바라므로 이름 뒤에 '씨'를 붙여 부르는 추세이다. 직장에서는 기혼 여 성에게도 '미스', '양', '씨'로 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모님'과 '부인'
. '사모님'이라는 호칭은 본래 자기가 직접 배운 선생님의 아내를 이를 때만 쓸 수 있으나, 10세 이상 연상이나 사회적으로 스승의 자리에 앉을 만한 분의 아내에게도 쓴다.
. '부인'은 자기보다 아래 나이의 여성이나 대여섯 위의 여성에 게 쓴다.
5) 아버지의 친구
① 어린이말 - (지역 이름) 아저씨, ○○아버지
② 어른말 - (지역 이름) 아저씨, 어르신, 선생님, (○)과장님
6) 어머니의 친구
① 어린이말 -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엄마)
② 어른말 -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
7) 친구의 아버지
① 어린이말 - ○○아버지, (지역 이름) 아저씨
② 어른말 - (○○)아버님, 어르신, ○○할아버지
8) 친구의 어머니
① 어린이말 - ○○어머니(엄마), (지역 이름) 아주머니
② 어른말 - ○○어머님, 아주머님, ○○할머니
9) 남선생님의 아내
사모님
10) 여선생님의 남편
사부님, (○, ○○○)선생님, (○)과장님
잘못 쓰이는 호칭
1. 결혼한 아버지 동생을 삼촌이라고 계속 부르는 경우 -> 작은아버지
2. 장모나 장인께 어머니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경우 -> 어머니 아버지는 어떠한 경우도 변하지 않는
호칭이다. 장모 장인은 무촌이며 이혼 등의 사유로 남이 될 수 있다.
3. 어머니의 이모를 이모할머니라 부르는 경우 -> 외종 또는 외이종할머니
4. 아버지의 고모를 고모할머니라 부르는 경우 -> 고종 또는 내종할머니
5. 고모의 남편을 엄마가 아이를 빗대어 고모부라 부르는 경우 -> 시누남편이나 아저씨
6. 유아기가 지났음에도 엄마, 아빠라 부르는 경우 -> 어머니 혹은 어머님
7. 손윗사람인 친, 혈족의 호칭 앞에 이름을 넣어 부른 경우 -> 예:ㅇㅇ삼촌,ㅇㅇ이모 등
8. 시동생을 삼촌이라 부르는 경우 -> 도련님 혹은 서방님
9. 시누이를 고모라 부르는 경우 -> 시누 혹은 시누님
10. 작은어머니가 남편의 형을 큰아버지라 부르는 경우 -> 시숙어른
대상자
잘못된 호칭
바른 호칭
남편의 남동생
00씨, 00삼촌, 00작은아버지
도련님(미혼), 서방님(기혼)
남편의 남동생의 아내
00숙모, 00작은어머니
동서
남편의 여동생
00씨
아기씨, 아가씨
이상의 복잡하고 방대한 호칭들에 관해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자신에 대한 호칭 저·제: 웃어른이나 대중에게 말할 때나: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우리:자기 쪽을 남에게 말할 때아비, 어미:부모로서 자녀에게 말할 때할아비, 할미:조부모로서 손자, 손녀에게 말할 때형, 누이:형이나 누이로서 동생에게 말할 때
(2)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버지:직접 부르거나 대화 중 지칭할 때, 남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일컬 때아버님: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상대방의 아버지를 일컬을 때아비:아버지의 어른에게 아버지를 일컬을 때아빠:말을 배우는 아이(초등 학교 취학 전)에게 그의 아버지를 일컬을 때가친(家親):자기의 아버지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춘부장(椿府丈):상대방의 아버지를 일컫는 한문식 호칭선친(先親), 선고(先考):돌아가신 아버지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
(3) 어머니에 대한 호칭 어머니:직접 부르거나 대화 중 지칭할 때, 남에게 자기의 어머니를 일컬 때어머님:남편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상대방의 어머니를 일컬을 때어미:어머니의 어른에게 어머니를 일컬을 때엄마:말을 배우는 아이(초등 학교 취학 전)에게 그의 어머니를 일컬을 때자친(慈親):자기의 어머니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자당(慈堂):상대방의 어머니를 일컫는 한문식 호칭현비(현비):지방이나 축문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쓸 때대부인(大夫人):상대방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컬을 때
(4) 형제간의 호칭 언니: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르는 호칭형님: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르는 호칭형: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일컬을 때백씨(伯氏), 중씨(仲氏), 사형(舍兄):cc
(5) 형제, 자매간의 배우자 호칭 아주머니:형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아주미:형의 아내를 집안 어른에게 말할 때형수씨:형의 아내를 남에게 일컬을 때존형수씨:상대방의 형을 일컬을 때제수씨, 수씨: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제수:집안 어른에게 제수를 일컬을 때
(6) 시댁 가족의 호칭 아버님, 어머님: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를 때아주버님:남편의 형을 부르거나 일컬을 때형님:남편의 형수나 손위 시누이를 부를 때시숙:남편의 형을 친족이 아닌 남에게 말할 때동서:남에게 손위 동서를 말할 때형:손위 동서보다 어른에게 손위 동서를 말할 때도련님:미혼인 시동생을 말할 때서방님:기혼인 시동생을 말할 때작은 아씨:미혼인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
(7) 처가 가족의 호칭 장인 어른, 장모님:아내의 부모를 직접 부를 때처남:처가의 가족에게 아내의 남자 동기를 말할 때처남댁:처남의 아내를 부를 때
(8) 기타 친척의 호칭 큰아버지, 큰어머니:아버지의 큰 형님과 그 아내○째 아버지, ○째 어머니:아버지의 큰형이 아닌 남자 동기와 그 아내고모, 고모부:아버지의 누이와 그 남편외숙, 외숙모:어머니의 남자 동기와 그 아내이모, 이모부:어머니의 자매와 그 남편
(9) 사회 생활에서의 호칭 어르신네:부모의 친구 또는 부모같이 나이가 많은 어른선생님:학교의 선생님이나 존경하는 어른노형(老兄):11년 이상 15년까지의 연상자형:6년 이상 10년까지의 연상자 또는 아직 친구 사이가 되지 못한 10년 이내의 연상자이름, 자네:10년 이내의 연하자로 친구같이 지내는 사이○○○씨:친숙한 관계가 아닌 10년 이내의 연상자와 기혼, 성년의 연하자
(10) 모르는 사람의 호칭 노인 어른, 노인장:할아버지, 할머니처럼 연세가 많은 어른어르신네:부모처럼 연세가 많은 어른부인:자기의 부모보다는 젊은 기혼의 여자댁:같은 또래의 남자와 여자총각:미혼인 젊은 남자아가씨:미혼인 젊은 여자학생:학생 신분의 남녀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11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