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어와 인사말의 의의 및 중요성, 사례분석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칭어와 인사말의 의의 및 중요성, 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호칭어와 인사말의 의의
2. 호칭어와 인사말의 중요성

Ⅱ. 본 론
1. 호칭어
1) 관계에 맞는 호칭어
(직장내, 가족간, 타인간, 타인과의 관계)
2)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호칭어
3) 잘못된 호칭사례

2. 인사말
1) 인사의 의의, 시기, 자세, 구분, 방법, 종류
2) 상황에 맞는 인사말
3) 잘못된 인사말

Ⅲ. 결 론

Ⅳ. 참 고

본문내용

울리지 않는 다면 마치 속은 비고 곁만 화려한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인사말은 되도록 짧고 진실성 있게 하여야 한다. 인사말은 미리 준비할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그렇다고 갑자기 서둘러 즉흥적으로 말을 하려면 자못 당황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사말을 해야 할 장소에 나갈 때는 미리 머리 속으로 인사말을 꾸며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요컨데 인사말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다고 상대방이 눈치 챌 정도로 어색하게 해서는 안 된다.
2.관심 있는 화제의 이용
대부분의 인사말은 즉석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본의 아닌 실수를 저지르기 쉽다. 따라서 인사말을 할 경우에는 첫째, 사람과 장소에 어울리는 말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상대방에게 관심 있는 화제를 선택한다. 셋째, 분위기에 어울리는 말이나 표현을 쓴다. 넷째, 상대방의 이야기와 관련된 화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섯째, 최근의 뉴스나 그 밖의 관심 있는 사건들을 이용하거나 해학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긴장되지 않게 한다
3, 성의 있는 인사말
인사말은 되도록 간단명료하게 해야 하며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말이 되어야 한다 . 마치 무슨 장편소설의 줄거리라도 애기하듯이 장황하게 늘어놓는 따위인 사람은 피해야 한다. 말을 하는 사람은 괜찮다 하더라도 듣는 입장에서는 여간 답답해 보이지 않는다. 짧고 간단하게 하되 성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장난 끼 섞인 말은 피하도록 한다. 해학적인 표현은 장난 투의 말과 엄연히 다르다.
<'고마워요'와 '수고하세요'>
'고마워요'
상대와 친밀한 관계면 무방하지만 윗사람에게 함부로 쓰면 어색한 표현이 되므로 주의한다. '고마워요'와 '고맙습니다'는 대화를 할 때의 상황과 친밀도에 따라 구별 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중용한 것은 용어의 선택이 아니라 마음가짐이다.
'수고하세요'
'수고하세요.'는 더욱 애쓰라는 명령형 형태의 말이므로 가능하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애쓴 사람에게 '정말 수고하셨습니다.'와 같이 과거형으로 치하하는 것과 애쓰고 있는 사람에게 '수고하시는군요.'와 같이 현재형으로 격려하는 것은 괜찮다.
'수고하세요.'는 연장자만이 연하자에게 쓸 수 있는 말이다.
4. 잘못된 인사예절
1. 상대방의 눈을 보지 않는다.
2. 인사말을 하지 않는다.
3. 자세가 흐트러진다.
4. 계단 위에서 상급자에게 인사를 한다.
5. 머리만 까닥거리는 인사를 한다.
6. 고개를 옆으로 돌리는 인사를 한다.
7. 과도하게 허리를 굽히는 인사를 한다.
8. 발과 무릎이 벌어져서 인사를 한다.
9. 윗사람에게 "수고했습니다"라고 인사를 한다.
10. 턱을 올리는 인사를 한다.
Ⅲ.결론
인간은 사회 속 에서 타인과 다양한 관계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또한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으며, 여러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동으로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관계 속에서 호칭어와 인사말은 우리가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서 원활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잘못된 호칭어와 인사말의 사용은 사회 구성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서로의 기분을 상하게 한다. 때문에 이를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공동생활의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호칭어와 인사말을 쓰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측면의 자각적인 노력과 인격이 필요하다. 사회에서의 호칭어와 인사말과 같은 기본적인 예절은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에서 출발하게 된다. 그 만큼 올바른 호칭어와 인사말은 사회 구성원들의 신뢰감을 쌓을 수 있고, 호감도 얻을 수 있을 것 이다. 힘든 사회생활을 보다 즐겁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 그 핵심은 바로 올바른 사회 구성원들의 예절의식에서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적절한 호칭어와 인사말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 스스로가 자각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인 스스로 뿐만 아니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제도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대화가 급증하면서 잘못된 호칭어 사용과 인사말 사용도 늘고 있다.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그런 잘못된 말을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심각성이 점점 격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별히 이런 것에 대해 자세히 배울 기회도 없고 가족호칭에 경우는 알아야할 범위가 실제 쓸 것보다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요즘에는 더더욱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올바른 호칭어와 인사법에 대한 홍보와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국어연구원에 물어 보았어요 1999, 2001> ; 국립국어연구원
<예절 바른 우리말 호칭>; 이무영 ; 2000.
<호칭과 지칭 예절> ; 류재봉 ; 1997.
<우리말의 예절, 상.하> ; 조선일보사, 국립국어연구원 ; 1996.
<시가호칭 처가호칭> ; 김태희 ; 1995.
<국어 경어법 연구> ; 김종훈 ; 1984.
[표준화법] - 국립국어원
[장애인보지법]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한국어의 친족호칭에 대하여 ; 박은용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 정달영
남북한 친족 호칭, 지칭어 비교 분석 ; 송민 ; 국립국어연구원
우리말 친족어의 어원적 의미 ; 최창렬 ; 1985
[출처] 올바른 인사말|작성자 산다여
동영상주소
http://www.mgoon.com/view.htm?id=1417379 - 대통령 님
http://netv.sbs.co.kr/skin/skin_naver.jsp?uccid=10000281690 -하늘이시여
http://blog.daum.net/theword1472/3430864 - 시부모에 대한 호칭어
http://search.pandora.tv/frame/outSearch.htm?ref=na&ch_userid=gonews&id=10798726&keyword=%BB%F3%BB%E7%C8%A3%C4%AA - 상사호칭어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82310 -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