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소설
2. 1970년대 - 『별들의 고향』
3. 1980년대 - 『안개꽃』
4. 1990년대 - 『아버지』
5. 2000년대
6. 맺음말
2. 1970년대 - 『별들의 고향』
3. 1980년대 - 『안개꽃』
4. 1990년대 - 『아버지』
5. 2000년대
6. 맺음말
본문내용
. 다만 부조리한 세계 속에서 서로 부조리하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모습을 아무런 판단 없이 관찰하여 그 속에서 은밀히 요동하는 어떤 외부적 힘들 보여줄 뿐이다. 이윤정 외, 「사랑을 둘러싼 서사의 모험」, 『2000년대 한국문학의 징후들』,산지니, 2007, p93
정이현의 소설은 환상과 낭만을 벗겨버리고 2000년대 현대인들의 세세한 일상생활과 심연의 욕망을 너무나도 건조한 문체와 시선으로 적나라하게 관찰하고 있는 것이다.
5. 맺음말
이상으로 대중소설을 통한 시대 읽기를 해보았다. 대중 소설에 대해서 대중사회 속에서 문화의 대량화에 힘입어 정제된 고급문화의 생명력을 고갈시키는 것과 함께 독자에게 부당한 사행심과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자기만족과 감상성에 젖게 한다는 등의 장영우, 앞의 책, p.110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본격소설과 대중소설은 동일한 역사적 배경에 대한 상반된 대응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본격소설과 대중소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되는 미적 산물의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쌍둥이 같은 존재이고 본격소설의 존재 이유와 가치는 대중소설이 있기 때문이라는 논리가 가능하다.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낸 대중소설을 통해 당 시대를 조명해 보는 것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그 당시의 상황을 알아보는 것 보다 훨씬 흥미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스탕달의 말이 있듯이 작가에 따라 조금씩 다른 거울을 통해 비추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볼 줄 아는 독자들의 자세도 필요할 것 같다.
*참고문헌은 각주로 대신함.
정이현의 소설은 환상과 낭만을 벗겨버리고 2000년대 현대인들의 세세한 일상생활과 심연의 욕망을 너무나도 건조한 문체와 시선으로 적나라하게 관찰하고 있는 것이다.
5. 맺음말
이상으로 대중소설을 통한 시대 읽기를 해보았다. 대중 소설에 대해서 대중사회 속에서 문화의 대량화에 힘입어 정제된 고급문화의 생명력을 고갈시키는 것과 함께 독자에게 부당한 사행심과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자기만족과 감상성에 젖게 한다는 등의 장영우, 앞의 책, p.110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본격소설과 대중소설은 동일한 역사적 배경에 대한 상반된 대응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본격소설과 대중소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되는 미적 산물의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쌍둥이 같은 존재이고 본격소설의 존재 이유와 가치는 대중소설이 있기 때문이라는 논리가 가능하다.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낸 대중소설을 통해 당 시대를 조명해 보는 것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그 당시의 상황을 알아보는 것 보다 훨씬 흥미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스탕달의 말이 있듯이 작가에 따라 조금씩 다른 거울을 통해 비추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볼 줄 아는 독자들의 자세도 필요할 것 같다.
*참고문헌은 각주로 대신함.
키워드
추천자료
- 대중 예술의 정의와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및 의의
- 대중문학에 대한 소고
- 문학교육과 대중매체
- 인터넷 소설에 대해 ....
- '명백히 부도덕한 사랑'을 통해 살펴본 은희경식 '현대 연애'
- 사이버소설과 판타지소설
- 무협소설은 문학인가
- 도가니 열풍을 통해 본 대중문화, 대중문화의 부정적 시각, 긍정적 시각, 대중문화의 긍정적 ...
- 대중문화 정의, 배경, 특징, 성격, 영향, 정보사회 도래, 문화적 변화, 미래 정보 사회, 변화...
- 한국 고전소설의 독자
- [이문열][미로의 날들]이문열의 소설 미로의 날들 작품분석,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
- 고전소설의 특징, 의의, 조선후기 고전소설 현씨양웅쌍린기(현씨양웅전)의 현실성, 가부장 사...
- 김영하 소설의 형식미학적 특징
- 대중문학의 요인 및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