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행 질환 개요
2. Hemiparesis
3. Paraparesis
4. Parkinsonism
5. Cerebellar disease
6. Sensory ataxia
7. Cerebral palsy
8. Chorea
9. Dystonia
10. Muscular dystrophy
11. Frontal lobe disease
12. Normal-pressure hydrocephalus
13. Aging
2. Hemiparesis
3. Paraparesis
4. Parkinsonism
5. Cerebellar disease
6. Sensory ataxia
7. Cerebral palsy
8. Chorea
9. Dystonia
10. Muscular dystrophy
11. Frontal lobe disease
12. Normal-pressure hydrocephalus
13. Aging
본문내용
Hysterical gait disorders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하나 이상의 사지의 히스테리성 마비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보통 걸음걸이는 이상야릇하여 히스테리성이며 기질적 질환에 의한 장애가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기질적 질환에 의한 보행장애와 닮아서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남녀에 상관없이 나타나며, 유년, 청년, 중년기에 나타날 수 있다.
히스테리성 편마비(hemiplegia)에서 환자는 관련된 다리를 몸 뒤쪽으로 바닥에 끌지만, 원회전은 없고 몸을 지탱하길 잘한다. 때로 편마비된 다리는 환자 앞쪽으로 밀려서 지탱에 주로 이용되기도 한다. 관련된 팔은 종종 사용 못하듯이 몸에 딱 붙어 있지만, 기질적 원인에 의한 편마비에서 보이는 굴곡된 자세는 없다. 히스테리성 편마비 환자는 보통 “give way” 위약을 보인다. 이것은 관련된 사지의 근육을 최대로 수축하게 함으로 검사할 수 있다. 초기에 강한 수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검사자가 수축된 근육을 방해하려 하면 수축이 갑자기 사라진다(give way). 히스테리성 환자는 또한 요구에 의해 더 천천히 근육을 수축하고 더 큰 노력으로 수축을 유발시킨다. 신경학적인 증후는 없으며 관련된 사지는 수동적 조작에 정상적인 저항을 보인다. 심부건반사는 양쪽이 같고 발바닥 반사 역시 아래로 향한다.
히스테리성 대마비(paraplegia)에서 환자는 보통 하나 내지 두개의 지팡이로 걷거나 양하지가 모두 절름발이거나 완전히 신전된 상태로 누워있는다. 무정위증(astasia)-실보증(abasia)은 서거나 걷지는 못하지만 침대에 누워서는 하지의 정상적인 동작이 되는 것이다. 히스테리성 대마비가 있는 어떤 환자는 힘들어 보이게 걷는다. 그러나 누어서는 정상적인 힘과 협동 작용이 이뤄진다. 걸을 때 히스테리성 사람은 침대나 가구에 달라붙어 걷는다. 보조 없이 걸어보라고 하면 극적으로 앞으로 비탈거리면서 규칙적으로 이쪽저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환자는 기발하게 균형을 잡고 넘어지지 않으며 다리는 화강암 기둥처럼 뻣뻣하게 신전하고 걷거나 다리를 굴곡하고 이쪽저쪽 시소타듯 걷는 다양한 자세를 보인다. 환자는 걷다가 넘어지기도 하지만 근처에 의사나 가족이 있거나 넘어져도 쿠숀이 될 만한 것이 있을 때 넘어진다. 보행장애는 보통 관객이 있을 때 극적으로 나타나며 빠른 자세 적응으로 민첩성을 발휘한다.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하나 이상의 사지의 히스테리성 마비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보통 걸음걸이는 이상야릇하여 히스테리성이며 기질적 질환에 의한 장애가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기질적 질환에 의한 보행장애와 닮아서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히스테리성 보행장애는 남녀에 상관없이 나타나며, 유년, 청년, 중년기에 나타날 수 있다.
히스테리성 편마비(hemiplegia)에서 환자는 관련된 다리를 몸 뒤쪽으로 바닥에 끌지만, 원회전은 없고 몸을 지탱하길 잘한다. 때로 편마비된 다리는 환자 앞쪽으로 밀려서 지탱에 주로 이용되기도 한다. 관련된 팔은 종종 사용 못하듯이 몸에 딱 붙어 있지만, 기질적 원인에 의한 편마비에서 보이는 굴곡된 자세는 없다. 히스테리성 편마비 환자는 보통 “give way” 위약을 보인다. 이것은 관련된 사지의 근육을 최대로 수축하게 함으로 검사할 수 있다. 초기에 강한 수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검사자가 수축된 근육을 방해하려 하면 수축이 갑자기 사라진다(give way). 히스테리성 환자는 또한 요구에 의해 더 천천히 근육을 수축하고 더 큰 노력으로 수축을 유발시킨다. 신경학적인 증후는 없으며 관련된 사지는 수동적 조작에 정상적인 저항을 보인다. 심부건반사는 양쪽이 같고 발바닥 반사 역시 아래로 향한다.
히스테리성 대마비(paraplegia)에서 환자는 보통 하나 내지 두개의 지팡이로 걷거나 양하지가 모두 절름발이거나 완전히 신전된 상태로 누워있는다. 무정위증(astasia)-실보증(abasia)은 서거나 걷지는 못하지만 침대에 누워서는 하지의 정상적인 동작이 되는 것이다. 히스테리성 대마비가 있는 어떤 환자는 힘들어 보이게 걷는다. 그러나 누어서는 정상적인 힘과 협동 작용이 이뤄진다. 걸을 때 히스테리성 사람은 침대나 가구에 달라붙어 걷는다. 보조 없이 걸어보라고 하면 극적으로 앞으로 비탈거리면서 규칙적으로 이쪽저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환자는 기발하게 균형을 잡고 넘어지지 않으며 다리는 화강암 기둥처럼 뻣뻣하게 신전하고 걷거나 다리를 굴곡하고 이쪽저쪽 시소타듯 걷는 다양한 자세를 보인다. 환자는 걷다가 넘어지기도 하지만 근처에 의사나 가족이 있거나 넘어져도 쿠숀이 될 만한 것이 있을 때 넘어진다. 보행장애는 보통 관객이 있을 때 극적으로 나타나며 빠른 자세 적응으로 민첩성을 발휘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A+ REPORT] 뇌손상에 따른 의사소통장애의 종류
품행 장애(conduct Disorder)의 원인, 종류, 증상, 문제점, 치료방안 (영화 사례를 통해)
[장애인재활] 시각장애인의 정의 및 체육지도방법, 시각 장애인 스포츠 종류 및 방법[A+★★★★★]
[직업재활복지] 청각장애의 원인과 종류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의 개선방안
[이상행동]심리와 장애, 이상행동의 종류, 강박장애의 이상행동(강박장애 이상행동의 증상과 ...
[심리학의 개념][심리학의 분야][심리검사의 기능][이상행동의 종류][정신장애 이상행동의 예...
장애인 재활시설의 종류와 내용
표집의 종류를 간단히 설명하고 서울에 있는 장애인 종합복지관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
[정신건강론] 불안장애의 정의와 종류 및 불안장애별 원인과 치료, 경과 및 예후
[심리적 장애] 우울증(depression)에 관해서 (우울증의 정의와 원인, 증상 및 종류, 치료와 ...
면역계 장애 (과민반응) 1. 과민반응 1) 일반적원인 2) 알레르기원의 종류 3)과민반응의 유형
성격장애의 특징과 종류(편집성 성격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히스테리성 성...
★ 조직행동론 - 의사소통, 의사소통 과정, 종류, 대인 간 의사소통, 전자 의사소통, 효과적인...
장애의 개념과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