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지역비교
1. 제조업생산지수의 순환변동치
2. 제조업 재고율지수
Ⅲ.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동향
1. 중소제조업 경기국면지수
2. 중소제조업 경영환경지수
Ⅳ.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분석방법
Ⅴ.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전망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지역비교
1. 제조업생산지수의 순환변동치
2. 제조업 재고율지수
Ⅲ.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동향
1. 중소제조업 경기국면지수
2. 중소제조업 경영환경지수
Ⅳ.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분석방법
Ⅴ.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의 전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하였다. 이러한 경기수축국면은 계량모형의 연장 추정결과 8월경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새로운 방법의 단점으로는 현행 통계청 편제 동행지수의 구성지표수가 여덟 개인데 비해 본 연구의 방법론이 수용할 수 있는 변수의 수는 네 개 정도에 불과하여 계량모형을 구성하는 변수의 선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종류의 구성변수들을 이용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경기변동을 보다 잘 나타내는 계량모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이용된 변수 시차수와 상태이전확률함수 등 계량모형의 형태도 다양화시킴으로써 추정결과의 개선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태공간모형의 추정에 있어서는 본 연구와 같은 근사적 최우추정법 대신 최근 Kim & Nelson(1995)에 의해 시도된 깁스샘플링에 의한 추정방법을 시도하는 것도 의미있는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강중구(2002), 경기국면 식별향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 김영식 외 1명(2003), 한국경제의 산업연관성과 실물경기변동모형 : 제조업부문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 서혜성(2010), 제조업, 서비스업 및 금융 부문이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 안정화(2009),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변동 비교 분석 : 기술진보와 경기변동의 시기별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 정용균(1995), 한국제조업의 경기지향적 생산성과 노동퇴장, 한국국제경제학회
- 홍성표(2008), 경기불확실성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새로운 방법의 단점으로는 현행 통계청 편제 동행지수의 구성지표수가 여덟 개인데 비해 본 연구의 방법론이 수용할 수 있는 변수의 수는 네 개 정도에 불과하여 계량모형을 구성하는 변수의 선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종류의 구성변수들을 이용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경기변동을 보다 잘 나타내는 계량모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이용된 변수 시차수와 상태이전확률함수 등 계량모형의 형태도 다양화시킴으로써 추정결과의 개선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태공간모형의 추정에 있어서는 본 연구와 같은 근사적 최우추정법 대신 최근 Kim & Nelson(1995)에 의해 시도된 깁스샘플링에 의한 추정방법을 시도하는 것도 의미있는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강중구(2002), 경기국면 식별향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 김영식 외 1명(2003), 한국경제의 산업연관성과 실물경기변동모형 : 제조업부문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 서혜성(2010), 제조업, 서비스업 및 금융 부문이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 안정화(2009),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변동 비교 분석 : 기술진보와 경기변동의 시기별 영향, 한국산업노동학회
- 정용균(1995), 한국제조업의 경기지향적 생산성과 노동퇴장, 한국국제경제학회
- 홍성표(2008), 경기불확실성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