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통역사의 성격
Ⅲ. 통역사의 자격
Ⅳ. 통역사의 조건
1. 직업과 관련된 학과
2. 학과가 설치된 대학
3. 그 학과에서 공부하는 교과목 및 내용
Ⅴ. 통역사와 번역사의 비교
Ⅵ. 결론
참고문헌
Ⅱ. 통역사의 성격
Ⅲ. 통역사의 자격
Ⅳ. 통역사의 조건
1. 직업과 관련된 학과
2. 학과가 설치된 대학
3. 그 학과에서 공부하는 교과목 및 내용
Ⅴ. 통역사와 번역사의 비교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식은, 일단 자연스럽게 ‘습득’된 지식이 산출되었을 때 그 산출물이 제대로 잘 되었는지를 검토하거나 통제하는 단순한 기능밖에는 할 수 없다는 것이다.
Krashen(1981)의 관점에서 보면, 어휘는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배우는 것보다 배우고자 하는 어휘들을 포함한 전체적인 문장이나 메시지의 이해를 통해 간접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언어학자들이나 교육학자들 사이에 많은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특히 의식적으로 배워서 많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그 지식을 숙달시킬 수 있다고 보는 Long(1983)의 견해와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러나 Krashen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와는 별개로 이와 같은 논의에서 최소한 한 가지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즉, 언어 학습은 자발적이고 자동적인 언어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딱딱한 지식이 아닌,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연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어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은가에 관해 이론적으로 다양한 견해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는 방법에서는 어린아이들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 흡사한 경험을 학습자가 갖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언어 습득 과정에서 다양하면서도 의미 있는 자극과 피드백을 끊임없이 받아야 하며 ‘언어에 관해서’가 아니라 ‘언어 자체’를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Rivers(1981)가 지적하고 있듯이 외국어 학습의 실제는 모국어 습득의 경우에서처럼 의미 있는 자극이 풍요롭지도 자연스럽지도 못하다. 왜냐하면, 모국어의 경우는 다양한 피드백과 격려를 받으며 끊임없이 언어를 접하지만, 외국어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국어를 배우는 것은 생존 수단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나, 외국어의 경우에는 이미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동기부여적이라 볼 수 없다.
참고문헌
ⅰ. 강지혜(2004), 통역의 이해, 한국문화사
ⅱ. 류현주(2006), 통역전문 기술의 습득과 훈련 , 부산외국어대학출판부
ⅲ. 이유아(2007), 통역사의 언어 이해와 정보처리에 대해서, 한국일본어문학회
ⅳ. 임향옥(2003), 통역사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ⅴ. 정혜연(2010), 통역사의 지식관리 능력, 한국독어독문학회
ⅵ. 최소희(1999), 통역사·번역사 양성과 인증제도, 한국통역번역학회
Krashen(1981)의 관점에서 보면, 어휘는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배우는 것보다 배우고자 하는 어휘들을 포함한 전체적인 문장이나 메시지의 이해를 통해 간접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언어학자들이나 교육학자들 사이에 많은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특히 의식적으로 배워서 많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그 지식을 숙달시킬 수 있다고 보는 Long(1983)의 견해와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러나 Krashen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와는 별개로 이와 같은 논의에서 최소한 한 가지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즉, 언어 학습은 자발적이고 자동적인 언어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딱딱한 지식이 아닌,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연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어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은가에 관해 이론적으로 다양한 견해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는 방법에서는 어린아이들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 흡사한 경험을 학습자가 갖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언어 습득 과정에서 다양하면서도 의미 있는 자극과 피드백을 끊임없이 받아야 하며 ‘언어에 관해서’가 아니라 ‘언어 자체’를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Rivers(1981)가 지적하고 있듯이 외국어 학습의 실제는 모국어 습득의 경우에서처럼 의미 있는 자극이 풍요롭지도 자연스럽지도 못하다. 왜냐하면, 모국어의 경우는 다양한 피드백과 격려를 받으며 끊임없이 언어를 접하지만, 외국어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국어를 배우는 것은 생존 수단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나, 외국어의 경우에는 이미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동기부여적이라 볼 수 없다.
참고문헌
ⅰ. 강지혜(2004), 통역의 이해, 한국문화사
ⅱ. 류현주(2006), 통역전문 기술의 습득과 훈련 , 부산외국어대학출판부
ⅲ. 이유아(2007), 통역사의 언어 이해와 정보처리에 대해서, 한국일본어문학회
ⅳ. 임향옥(2003), 통역사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ⅴ. 정혜연(2010), 통역사의 지식관리 능력, 한국독어독문학회
ⅵ. 최소희(1999), 통역사·번역사 양성과 인증제도, 한국통역번역학회
추천자료
- OECD 오타와 각료회의의 주요쟁점 및 대응방안
- 맘모스 회의 평화
- 공동모금회의 조직구조와 기능적 현황 및 정착발전을 위한 과제
- ACC(아랍협력회의)
- 리우 환경 회의
- 제회의산업(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 : P.C.Q)
- G20 정상회의 완벽정리 그리고 한국 2010년 G20 개최의 모든것과 이를 보는 나의 견해
- [G20]G20 정상회의 완벽정리 그리고 한국 2010년 G20 개최의 모든것과 이를 보는 나의 견해
-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 [ 2010 서울 G20 정상회의 ]
- 서울 G20 정상회의에 대한 분석
- [동아시아]동아시아평화의 정의, 아시아안보회의, 동아시아평화의 아태안보협력이사회(CSCAP)...
- GCC (Gulf Cooperation Council/걸프협력회의) (GCC의 역사적 배경, 통합성과와 앞으로의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