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TV][고화질 텔레비전]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의 동향,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프레즌스(프레젠스), 지상파텔레비전(지상파TV),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장르, HD카메라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D TV][고화질 텔레비전]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의 동향,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프레즌스(프레젠스), 지상파텔레비전(지상파TV),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장르, HD카메라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의 동향
1. 배경
2. 최신동향
3. 주목할 사항
1) 영화에의 응용
2) 미술에의 응용
3) 의료에의 응용
4) 인쇄에의 응용

Ⅲ.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프레즌스(프레젠스)
1. 연구방법
1) 연구문제와 가설
2) 연구방법
2. 연구결과
1) 설문 응답자 분석
2) 프레즌스 요인분석

Ⅳ.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지상파텔레비전(지상파TV)

Ⅴ.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모바일디지털텔레비전(모바일디지털TV)

Ⅵ.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장르
1. 장르와 사실주의
2. 장르와 몰입
3. 장르와 공간적 실재감
4. 장르와 사회적 풍부성
5. 장르와 미디어와의 사회적관계
6. 사후분석

Ⅶ.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HD카메라 사례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응답자의 카메라 이용형태
3. HDTV 카메라 초기수용자와 구형 카메라 사용자 집단간의 차이
1) 고학력의 카메라맨들이 HDTV 카메라 사용 경향
2) HDTV 카메라의 기술특성에 대한 두 집단간의 인지도 차이
3) HDTV 카메라 사용기간이 길수록 지식정도 차이가 커짐
4) 구형 카메라 사용집단의 경우 HDTV 화면의 종횡비에 대한 인식 부족

Ⅷ.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사회적 문화적 영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섬세함, 다양한 영상표현, 화이트 밸런스 디테일을 맞추는 정도, 색감의 깊이표현 등에서는 HDTV 카메라의 효율성이 아날로그 카메라나 SD카메라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영상효과 제작의 용이성, 촬영을 위한 무대 장치의 편리성, 카메라 작동의 편리성, 촬영 대상에 대한 포커스 용이성, 화면 사이즈에 따른 구도잡기 측면에서는 SD카메라가 가장 효율성이 높았고, 다음으로 아날로그 카메라가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Ⅷ.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사회적 문화적 영향
HDTV의 도입은 방송영상 산업의 지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상파에 도입할 예정인 HDTV는 텔레비전 제작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기존의 제작 시스템이 획기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제작 시스템에서는 단순하게 처리되었던 배경 화면, 세트 디자인, 분장 및 화면의 구성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며 따라서 기존의 영상 미학과는 상이한 차원에서 접근하고 제작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HDTV는 광폭/대형화면에 선명도가 크게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정보밀도의 이미지 구성요소를 한 화면에 집어넣어도 시청자들은 그것을 독해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반면 SDTV는 적은화면으로 인해 높은 밀도의 화면 정보를 전체적으로 제공할 수 없어 클로즈업으로 영상 이미지를 구성해 내용을 전개한다. 이것을 디지털 정보교환 이론(digital information transfer theory)의 관점에서 보면 SDTV의 클로즈업 샷은 ‘명사(noun)\' 표제어를 사용한 정보 검색과 같다고 볼 수 있고, HDTV 화면의 디테일한 구성요소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방식은 ’명사(noun)와 동사(verb)‘를 통한 정보구성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Toumien, Talja & Saviolinen, 2003). 저명한 정보학자 Dervin(1998)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검색은 구성주의적(constructionism) 관점에서 이용자의 정보내용 구성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명사형태의 검색어 중심에서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동사를 포함한 정보검색 시스템 개발을 의미한다. 명사를 사용하는 검색어 시스템은 정보제공자의 관점에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여기에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동사형태의 검색어가 포함되면 이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어 검색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HDTV 제작기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컨텐츠도 이렇게 수용자가 중심이 되어 내용구성의 자유를 확대해 나가는 방식으로 제작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디지털 영상이 갖는 0,1 비트(bit)의 모듈(module)적 특성과 HDTV 영상이 지니는 고밀도의 영상정보 제공능력은 화면 구성요소를 명사적 부분과 동사적 부분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영상요소를 수용자들이 재결합, 조합하는 자유를 제공한다. 이는 단일 의미만 부여하는 명사 중심의, 즉 SDTV 화면에서 클로즈업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기존 TV 영상문법에서 수용자들에게 내용의 자유로운 재구성을 가능케 하는 명사+동사(디테일, 은유, 미장센 등)의 새로운 영상문법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맥루한은 한 시대의 지배적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그 시대의 사고체계를 규정한다고 했다. 따라서 구텐베르그에 의해 시작된 인쇄시대(printing age)는 우리에게 선형적 사고(linear thinking)를 하게 만들었고, 현재의 인터넷 HTML 커뮤니케이션 세대는 이러한 선형적 사고에서 중증척사고(multi-layered thinking)로 패턴이 변화하였다. 디지털 컨텐츠 시대에도 TV는 여전히 중심적 매체의 위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HDTV의 서사구조 방식이 미래의 지배적 사고체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HDTV의 기술적 특성을 최대한 이용한 미래지향적 영상문법이 필요하고, 그 중심에 HDTV의 고밀도 정보제공 능력을 이용한 수용자와의 상호작용성 증대가 있다. 이것은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도 맞는 사고체계로 HDTV 도입이 가져오는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Ⅸ. 결론
크게 보면 TV은 두 가지의 측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레포트 주제에 맞게 긍정적인 측면은 다루지 않기로 하고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조금 더 신경써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 TV와 비디오 등 영상매체의 폭력, 선정성이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크게 확산되어 가고 있다. 특히 시민단체를 비롯한 학부모들은 판단력이 결여된 아이들에게 폭력, 선정적인 장면이 과다하게 노출되고 있는 TV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우리들이 TV의 포로가 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사실 TV가 일상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할 때만 해도, 우리는 TV에 대해 큰 기대를 갖고 있었다. 즉 아이들의 상상력이 영상매체를 통해 꿈과 현실 속에서 무제한의 탐험을 계속하기를 바랬고, 또 한편으로는 아이들의 지적능력의 발달을 촉진시켜 주리라 믿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어린이마저도 시청자라는 범주 안에 포함시켜 교육을 염두에 둔 방향으로의 발전이 아니라 시청률을 의식한, 즉 아이들을 상업적 수단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모습이다. 이러한 실태에 대해서 우리 모두는 TV의 위험성을 조금이라도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병실(1988), HD-TV 기술, 대한전자공학회
김미라(2006), HDTV 조기 수용자의 능동적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김지훈 외 1명(2012), Full HD TV를 위한 효율적인 VDPSoC 구조,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양승혜(1995), HDTV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윤석진(2009), 다매체 시대 HDTV드라마의 특징 고찰, 어문연구학회
홍관섭(2003), HDTV 개발과 도입과정을 통해본 기술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