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도산기업 재무
Ⅲ. 벤처기업 재무
1.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
2. 자본조달수단 대체효과에 관한 분석
Ⅳ. M&A(기업인수합병)대상기업 재무
1. 신용등급분포 분석
2. T-Test와 Wilcoxon Rank-Sum Test를 이용한 분석
3. M&A대상기업의 재무상태변화 가능성에 대한 검정
Ⅴ. 한미일(한국과 미국과 일본)기업 재무
1. 재무구조
1) 부채비율
2) 차입금의존도
3) 유동비율
4) 고정비율
2. 수익성
1) 매출액영업이익률
2) 매출액순이익률
3) 이자보상비율
참고문헌
Ⅱ. 도산기업 재무
Ⅲ. 벤처기업 재무
1.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
2. 자본조달수단 대체효과에 관한 분석
Ⅳ. M&A(기업인수합병)대상기업 재무
1. 신용등급분포 분석
2. T-Test와 Wilcoxon Rank-Sum Test를 이용한 분석
3. M&A대상기업의 재무상태변화 가능성에 대한 검정
Ⅴ. 한미일(한국과 미국과 일본)기업 재무
1. 재무구조
1) 부채비율
2) 차입금의존도
3) 유동비율
4) 고정비율
2. 수익성
1) 매출액영업이익률
2) 매출액순이익률
3) 이자보상비율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수준임
ㅇ 일본은 85년 이후 80-85년 평균보다 10%p 이상 높아진 130% 내외를 보이고 있고
ㅇ 미국은 80-85년 평균 160.3%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져 90년대에는 130~140%대, 120%대로 낮아졌으며
ㅇ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낮아지다가 80년대 수준(99.7%)을 거의 회복하였음
4) 고정비율
― 고정비율(고정자산/자기자본)은 일본이 136.7%로 가장 낮은 수준인 가운데 미국(177.9%), 한국(181.6%)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고정비율은 146.7% 까지 하락하였으나 일본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을 보임
ㅇ 일본은 80년대 후반 이후 130% 내외의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ㅇ 미국은 80년대에는 120%~140% 내외를 보이다가 90년 이후 설비투자 확대로 고정비율이 크게 높아져 170% 내외를 유지하고 있고
ㅇ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투자부진으로 고정비율이 급속히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2. 수익성
― 한미일 3국의 收益性을 비교하여 보면,
ㅇ 賣出額營業利益率(영업이익/매출액)은 한국이 5.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4.4%), 일본(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8%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을 시현하였음
ㅇ 賣出額純利益率(당기순이익/매출액)은 미국이 0.9%로 가장 높은 가운데 일본(0.1%), 한국(0.01%) 순으로 나타났음
ㅇ 利子補償比率(영업이익/금융비용)은 금리수준이 크게 낮은 일본이 384.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190.9%), 한국(13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이자보상비율은 257.0%로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음
1) 매출액영업이익률
― 매출액영업이익률은 한국이 5.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4.4%), 일본(2.7%) 순으로 나타났음
ㅇ 한국은 80년대 이후 미국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등락을 보이다가 상반기중(7.8%)에는 외환위기이전 수준을 회복하였고
ㅇ 미국은 1980년대 초반에는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다가 1985년 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이후 미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회복되어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정보통신산업의 호황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다시 급격히 하락하였음
* 미 달러화의 고평가로 인한 국제무역 불균형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G5회담에서 결정된 미 달러화에 대한 주요국 통화의 평가절상을 주요내용으로 한 합의(85. 9월)
ㅇ 일본은 1980년대에는 4%대 수준이었으나 1990년대에는 2~3%대로 낮아졌으며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음
2) 매출액순이익률
― 매출액순이익률은 미국이 0.9%로 가장 높은 가운데 일본(0.1%), 한국(0.01%) 순으로 나타났음
ㅇ 미국은 80-95년 중 3~4%대의 수준을 유지하다가 6%대로 높아졌으나 급격히 하락하여 198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ㅇ 일본은 80-97년 중 1%대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급격히 하락하여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ㅇ 한국은 90년대 전반까지 미국보다는 낮고 일본과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외환위기이후 급격히 하락하여 일본보다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3) 이자보상비율
―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금융비용)은 금리수준이 크게 낮은 일본이 384.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190.9%), 한국(13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이자보상비율은 257.0%로 크게 상승
ㅇ 일본은 1980년대에는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90년대 들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95년 9월 재할인율 인하 등의 영향으로 96년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어 384.5%를 기록하였으며
ㅇ 미국은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 190.9%를 나타내었고
ㅇ 한국은 외환위기이후 상승추세로 전환되어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200%대 수준을 기록하였음
참고문헌
김민철 외 2명(2011) : 도산기업의 구조조정 유형과 성과차이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김상욱(2002) : 국내기업간 M&A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남상구 외 1명(1996) : 한국 기업재무구조의 특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송치승(2012) : 벤처등록횟수별 벤처기업의 재무적 성과 차이가 존재하는가?, 한국기업경영학회
유성희(1996) : 일본기업의 재무전략과 국제경쟁력, 경기대학교
홍영복(1998) :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재무구조의 차이와 그 원인, 인하대학교경영연구소
ㅇ 일본은 85년 이후 80-85년 평균보다 10%p 이상 높아진 130% 내외를 보이고 있고
ㅇ 미국은 80-85년 평균 160.3%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져 90년대에는 130~140%대, 120%대로 낮아졌으며
ㅇ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낮아지다가 80년대 수준(99.7%)을 거의 회복하였음
4) 고정비율
― 고정비율(고정자산/자기자본)은 일본이 136.7%로 가장 낮은 수준인 가운데 미국(177.9%), 한국(181.6%)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고정비율은 146.7% 까지 하락하였으나 일본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을 보임
ㅇ 일본은 80년대 후반 이후 130% 내외의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ㅇ 미국은 80년대에는 120%~140% 내외를 보이다가 90년 이후 설비투자 확대로 고정비율이 크게 높아져 170% 내외를 유지하고 있고
ㅇ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투자부진으로 고정비율이 급속히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2. 수익성
― 한미일 3국의 收益性을 비교하여 보면,
ㅇ 賣出額營業利益率(영업이익/매출액)은 한국이 5.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4.4%), 일본(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8%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을 시현하였음
ㅇ 賣出額純利益率(당기순이익/매출액)은 미국이 0.9%로 가장 높은 가운데 일본(0.1%), 한국(0.01%) 순으로 나타났음
ㅇ 利子補償比率(영업이익/금융비용)은 금리수준이 크게 낮은 일본이 384.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190.9%), 한국(13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이자보상비율은 257.0%로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음
1) 매출액영업이익률
― 매출액영업이익률은 한국이 5.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4.4%), 일본(2.7%) 순으로 나타났음
ㅇ 한국은 80년대 이후 미국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등락을 보이다가 상반기중(7.8%)에는 외환위기이전 수준을 회복하였고
ㅇ 미국은 1980년대 초반에는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다가 1985년 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이후 미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회복되어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정보통신산업의 호황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다시 급격히 하락하였음
* 미 달러화의 고평가로 인한 국제무역 불균형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G5회담에서 결정된 미 달러화에 대한 주요국 통화의 평가절상을 주요내용으로 한 합의(85. 9월)
ㅇ 일본은 1980년대에는 4%대 수준이었으나 1990년대에는 2~3%대로 낮아졌으며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음
2) 매출액순이익률
― 매출액순이익률은 미국이 0.9%로 가장 높은 가운데 일본(0.1%), 한국(0.01%) 순으로 나타났음
ㅇ 미국은 80-95년 중 3~4%대의 수준을 유지하다가 6%대로 높아졌으나 급격히 하락하여 198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ㅇ 일본은 80-97년 중 1%대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급격히 하락하여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ㅇ 한국은 90년대 전반까지 미국보다는 낮고 일본과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외환위기이후 급격히 하락하여 일본보다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3) 이자보상비율
―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금융비용)은 금리수준이 크게 낮은 일본이 384.5%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국(190.9%), 한국(13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이자보상비율은 257.0%로 크게 상승
ㅇ 일본은 1980년대에는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90년대 들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95년 9월 재할인율 인하 등의 영향으로 96년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어 384.5%를 기록하였으며
ㅇ 미국은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 190.9%를 나타내었고
ㅇ 한국은 외환위기이후 상승추세로 전환되어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200%대 수준을 기록하였음
참고문헌
김민철 외 2명(2011) : 도산기업의 구조조정 유형과 성과차이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김상욱(2002) : 국내기업간 M&A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남상구 외 1명(1996) : 한국 기업재무구조의 특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송치승(2012) : 벤처등록횟수별 벤처기업의 재무적 성과 차이가 존재하는가?, 한국기업경영학회
유성희(1996) : 일본기업의 재무전략과 국제경쟁력, 경기대학교
홍영복(1998) :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재무구조의 차이와 그 원인, 인하대학교경영연구소
추천자료
- [벤처기업][벤처기업 전망]벤처기업의 개념, 벤처기업의 유형,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기업의 ...
- [벤처기업][벤처창업][벤처기업창업][벤처산업]벤처기업의 발전,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기업...
- [벤처기업][벤처창업][벤처기업창업][벤처]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유형, 벤처기업의 발...
- [벤처기업][벤처기업창업][벤처산업][벤처창업][창업][벤처기업 육성]벤처기업의 발전, 벤처...
- [벤처기업특허][특허신청]벤처기업특허의 준비, 벤처기업특허의 목적, 벤처기업특허의 유의점...
- [벤처기업회계][세금][법인][법인세]벤처기업회계의 개념, 벤처기업회계의 목적, 벤처기업회...
- [벤처기업평가][벤처기업평가 지침][벤처기업평가 항목][벤처기업평가 접근방법]벤처기업평가...
- [벤처기업 사업계획서]벤처기업 사업계획서의 정의, 벤처기업 사업계획서의 필요성, 벤처기업...
- [벤처기업][벤처기업 실무][벤처기업 성공][벤처기업 실패][벤처기업 특별조치법 시행]벤처기...
- [벤처기업투자][벤처투자]벤처기업투자(벤처투자)의 단계, 투자자, 벤처기업투자(벤처투자)의...
- [벤처기업][사업계획서][창업][벤처기업 육성][벤처기업 자금지원][벤처기업 성장효과]벤처기...
- [벤처기업][벤처기업 자금지원][벤처기업 사업계획서][벤처기업 창업][벤처기업 성장단계]벤...
- [벤처기업][벤처기업 모델][벤처기업 법률]벤처기업 평가방법, 벤처기업 성공전략, 벤처기업 ...
-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법적 위험][벤처기업 특별조치법][벤처기업 조세법][세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