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자본증가(증자)의 개념
Ⅲ. 자본증가(증자)의 기본형태
1. 유상증자
2. 무상증자
Ⅳ. 자본증가(증자)의 선행연구
1. Scholes의 연구
2. Kraus와 Stoll의 연구
3. Paul Marsh의 연구
4. Hess & Frost의 연구
5. Masulis와 Korwar의 연구
6. Asquith and Mullins의 연구
Ⅴ. 자본증가(증자)의 전제
참고문헌
Ⅱ. 자본증가(증자)의 개념
Ⅲ. 자본증가(증자)의 기본형태
1. 유상증자
2. 무상증자
Ⅳ. 자본증가(증자)의 선행연구
1. Scholes의 연구
2. Kraus와 Stoll의 연구
3. Paul Marsh의 연구
4. Hess & Frost의 연구
5. Masulis와 Korwar의 연구
6. Asquith and Mullins의 연구
Ⅴ. 자본증가(증자)의 전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格變化를 分析하는데 초과수익율을 사용하여 1963년부터 1981년 사이에 있었던 제조업과 공공산업의 531개 企業의 보통주 新株發行 공고에 따른 株價의 변동을 分析하였다.
新株發行 공고에 따라 標本株式들의 초과수익율은 평균적으로 株價의 -2.7% 정도로 株價의 하락을 보였다. 이 株價하락의 폭이 비록 크지는 않으나 상당히 유의성이 있었으며 新株賣出로 인한 조달액에 비하여 31% 정도의 企業資本價値의 감소를 보였음이 나타났으며 流通市場分配(secondary distribution)의 경우 78%나 되었다.
新株發行이 있었던 株式은 대부분 발행 약 2년 전부터 시장전체의 수익율보다 33%정도 높았으며 발행 후에는 오히려 시장전체수익율보다 6% 가량 낮았다. 그리고 累積平均 非正常收益率과 新株發行 규모의 株價變動에 대한 관계를 回歸分析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新株發行 공고전 株價收益率이 높았던 株式이 낮았던 株式보다 공고에 따른 株價下落의 폭이 작은 편이었으며 신주매출액의 자본금에 대한 비율이 큰 株式의 경우 價格이 더 많이 떨어졌다. 또한 舊株賣出(secondary distribution)에 있어 新株發行 때보다 더 큰 주가하락을 발견하였다.
신주매출과 企業의 Leverage비율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 舊株賣出에서 모두 株式價格의 하락이 있었다는 것은 株價의 변동이 企業의 資本構造의 변화와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결국 이것은 企業의 주식매출은 市場에서 企業의 성과와 미래의 전망에 대하여 부정적 신호로 해석되며 Leverage효과나 세금효과와 별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企業이 新株發行이전에 株式의 수익율이 낮은 경우 新株發行으로 인한 주가하락이 크기 때문에 新株發行의 시기를 株價收益率이 상승할 때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企業의 자금조달원의 하나인 新株發行은 株式價格에 부정적 영향이 있으므로 企業이 기존의 株價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는 종래의 생각에서 벗어나 企業의 투자정책, 資本構造政策과 配當政策을 결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틀간의 평균수익율과 상대적 發行規模(新株發行 總額/기발행 株式의 市價總額)간의 관계를 回歸分析한 결과 역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신주의 매출액과 價格下落의 크기에 상당히 유의성이 있음을 實證分析을 통하여 보임으로써 株式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價格壓迫假說(price pressure hypotyesis)를 지지하고 있다.
Ⅴ. 자본증가(증자)의 전제
- 현행 상법에서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관에 기재해야 함. → 수권자본제도
- 수권자본금의 범위내에서만 발행 가능
참고문헌
◈ 브렌트펜폴드 저, 정진근 역(2011), 주식투자 절대지식, 에디터
◈ 송동근(2013), 주식투자 어떻게 해야 하는가, 행간
◈ 이광호(2013), 주식투자의 정석 수급분석, 21세기북스
◈ 이준혁(2012), 좋은 주식에 집중투자하라, 원앤원북스
◈ 정재호(2012), 주식투자 시크릿, 모든국민은주주다
◈ 조엘 그린블라트 저, 이상건 외 1명 역(2012), 주식시장을 이기는 큰 비밀, 알키
新株發行 공고에 따라 標本株式들의 초과수익율은 평균적으로 株價의 -2.7% 정도로 株價의 하락을 보였다. 이 株價하락의 폭이 비록 크지는 않으나 상당히 유의성이 있었으며 新株賣出로 인한 조달액에 비하여 31% 정도의 企業資本價値의 감소를 보였음이 나타났으며 流通市場分配(secondary distribution)의 경우 78%나 되었다.
新株發行이 있었던 株式은 대부분 발행 약 2년 전부터 시장전체의 수익율보다 33%정도 높았으며 발행 후에는 오히려 시장전체수익율보다 6% 가량 낮았다. 그리고 累積平均 非正常收益率과 新株發行 규모의 株價變動에 대한 관계를 回歸分析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新株發行 공고전 株價收益率이 높았던 株式이 낮았던 株式보다 공고에 따른 株價下落의 폭이 작은 편이었으며 신주매출액의 자본금에 대한 비율이 큰 株式의 경우 價格이 더 많이 떨어졌다. 또한 舊株賣出(secondary distribution)에 있어 新株發行 때보다 더 큰 주가하락을 발견하였다.
신주매출과 企業의 Leverage비율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 舊株賣出에서 모두 株式價格의 하락이 있었다는 것은 株價의 변동이 企業의 資本構造의 변화와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결국 이것은 企業의 주식매출은 市場에서 企業의 성과와 미래의 전망에 대하여 부정적 신호로 해석되며 Leverage효과나 세금효과와 별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企業이 新株發行이전에 株式의 수익율이 낮은 경우 新株發行으로 인한 주가하락이 크기 때문에 新株發行의 시기를 株價收益率이 상승할 때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企業의 자금조달원의 하나인 新株發行은 株式價格에 부정적 영향이 있으므로 企業이 기존의 株價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는 종래의 생각에서 벗어나 企業의 투자정책, 資本構造政策과 配當政策을 결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틀간의 평균수익율과 상대적 發行規模(新株發行 總額/기발행 株式의 市價總額)간의 관계를 回歸分析한 결과 역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신주의 매출액과 價格下落의 크기에 상당히 유의성이 있음을 實證分析을 통하여 보임으로써 株式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價格壓迫假說(price pressure hypotyesis)를 지지하고 있다.
Ⅴ. 자본증가(증자)의 전제
- 현행 상법에서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관에 기재해야 함. → 수권자본제도
- 수권자본금의 범위내에서만 발행 가능
참고문헌
◈ 브렌트펜폴드 저, 정진근 역(2011), 주식투자 절대지식, 에디터
◈ 송동근(2013), 주식투자 어떻게 해야 하는가, 행간
◈ 이광호(2013), 주식투자의 정석 수급분석, 21세기북스
◈ 이준혁(2012), 좋은 주식에 집중투자하라, 원앤원북스
◈ 정재호(2012), 주식투자 시크릿, 모든국민은주주다
◈ 조엘 그린블라트 저, 이상건 외 1명 역(2012), 주식시장을 이기는 큰 비밀, 알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