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중요성
Ⅲ.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기능
1.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2. 고위험․고수익의 시장
Ⅳ.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요건
Ⅴ.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절차
Ⅵ.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혜택
1. 자금조달의 혜택
1) 무의결권 주식 발행한도 특례(증권거래법 제91조의2)
2) 주식에 의한 이익배당(주식배당)의 한도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
3) 신종사채의 발행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의4)
4) 사채발행 한도 특례
5) 일반공모 증자허용
2. 기타
1) 보증금, 공탁금의 주권 대납 가능(증권거래법 제191조의8)
2) 주주총회 소집공고의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의10)
3) 자기주식 취득허용(증권거래법 제189조의2)
Ⅶ. 향후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운영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중요성
Ⅲ.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기능
1.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2. 고위험․고수익의 시장
Ⅳ.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요건
Ⅴ.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절차
Ⅵ.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혜택
1. 자금조달의 혜택
1) 무의결권 주식 발행한도 특례(증권거래법 제91조의2)
2) 주식에 의한 이익배당(주식배당)의 한도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
3) 신종사채의 발행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의4)
4) 사채발행 한도 특례
5) 일반공모 증자허용
2. 기타
1) 보증금, 공탁금의 주권 대납 가능(증권거래법 제191조의8)
2) 주주총회 소집공고의 특례(증권거래법 제191조의10)
3) 자기주식 취득허용(증권거래법 제189조의2)
Ⅶ. 향후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운영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이를 위해 금년도 하반기에 종합감리스시템을 구축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시장감시를 강화해 나갈 것이며 감리업무의 선진화도 병행하여 추진해 나갈 것이다. 성실한 공시관행이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투자자들의 불공정거래 행위를 척결하는 등 코스닥위원회가 시장감시자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Ⅷ. 결론
기업조직을 유기체로 보는 관점이 형성된 이후로 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제품수명주기이론과 함께 기업활동의 동태적인 측면을 반영하여 정태적인 경영연구흐름에 자극과 활력을 주었다. Davis(1951)나 Chandler(1962)의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가치를 가지며, Greiner(1972)는 전형적인 기업의 성장단계를 진화적인 관점으로 설명하여 성장단계이론의 고전이 되었다. 이들 연구 이후로 관료조직, 공공조직, 기업조직 등에 대한 성장단계적 관점의 연구가 폭 넓게 진행되었다.
초기 연구들은 개념적으로 성장단계를 제시한 경우가 많았고(Greiner, 1972; Lippit and Schmidt, 1967), 이후 다양한 방식의 실증연구들이 나타난다(Churchill and Lewis, 1983; Van de Ven et al., 1984; Smith et al., 1985;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89; Hanks et al., 1993). 성장단계 연구들은 안정화된 이후의 조직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주로 기업의 성장 및 성숙단계에 초점을 맞추었다(Greiner, 1972; Lippit and Schmidt, 1967; Quinn and Cameron, 1983). 이후에는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벤처기업의 성장과정에서 예비기와 창업기가 미래의 성장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으로 인식됨에 따라 이 단계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Galbraith, 1982; Van de Ven et al., 1984; Kazanjian, 1988; Block and MacMillan, 1985; Eisenhardt and Schoonhoven, 1990).
실증연구에서 성장단계를 구분하는 방식은 사전적으로 규정된 성장단계 중에서 응답자가 선택하는 방식(Churchill and Lewis, 1983;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89)과 기업연륜, 규모, 성장률 등의 기업규모관련 변수들을 통해 성장단계를 도출하는 방식(Smith et al., 1985; Hanks et al., 1993; Van de Ven et al., 1984)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Greiner(1972)를 읽은 후에 스스로 자기회사의 성장단계를 평가하는 방식도 사용되었고(Churchill and Lewis, 1983), 사례분석 결과에 따라 사후적으로 연구자가 성장단계를 평가한 연구도 있다(Van de Ven et al., 1984). 성장단계를 도출하는 방법과 달리 기존 연구에서 각 성장단계별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분산분석(ANOVA)이 사용되었다.
그 외 독특한 방법론을 사용한 경우를 보면, Smith et al.(1985)이 12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게임을 진행하여 각 성장단계별로 경영자들의 경영우선순위(management priority) 변화를 연구하였다. Kazanjian and Drazin(1989)은 18개월의 시간간격을 두고 벤처기업(Technology Based New Venture)의 성장단계 이동을 측정하여 선형적인 성장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Hanks et al.(1993)은 기업상황(context)과 조직구조(structure) 변수를 이용하여 6개 성장단계 군집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Kazanjian and Drazin(1989)과는 다르게 비선형적인 성장을 주장한다.
참고문헌
◇ 곽성신(2005), 벤처기업의 육성과 코스닥시장의 역할, 한국자본시장연구원
◇ 강경모(2008), 코스닥 벤처기업의 자본조달방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 매경ECONOMY, 에프앤가이드(2009), 상장 코스닥 기업분석, 매일경제신문사
◇ 오성배(2005), 코스닥 벤처기업의 주가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호서대학교
◇ 장동관(2007), 코스닥등록 전후 벤처기업의 재무특성 분석, 한밭대학교
◇ 차영주(2002), 코스닥 벤처 기업의 투자 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Ⅷ. 결론
기업조직을 유기체로 보는 관점이 형성된 이후로 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제품수명주기이론과 함께 기업활동의 동태적인 측면을 반영하여 정태적인 경영연구흐름에 자극과 활력을 주었다. Davis(1951)나 Chandler(1962)의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가치를 가지며, Greiner(1972)는 전형적인 기업의 성장단계를 진화적인 관점으로 설명하여 성장단계이론의 고전이 되었다. 이들 연구 이후로 관료조직, 공공조직, 기업조직 등에 대한 성장단계적 관점의 연구가 폭 넓게 진행되었다.
초기 연구들은 개념적으로 성장단계를 제시한 경우가 많았고(Greiner, 1972; Lippit and Schmidt, 1967), 이후 다양한 방식의 실증연구들이 나타난다(Churchill and Lewis, 1983; Van de Ven et al., 1984; Smith et al., 1985;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89; Hanks et al., 1993). 성장단계 연구들은 안정화된 이후의 조직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주로 기업의 성장 및 성숙단계에 초점을 맞추었다(Greiner, 1972; Lippit and Schmidt, 1967; Quinn and Cameron, 1983). 이후에는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벤처기업의 성장과정에서 예비기와 창업기가 미래의 성장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으로 인식됨에 따라 이 단계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Galbraith, 1982; Van de Ven et al., 1984; Kazanjian, 1988; Block and MacMillan, 1985; Eisenhardt and Schoonhoven, 1990).
실증연구에서 성장단계를 구분하는 방식은 사전적으로 규정된 성장단계 중에서 응답자가 선택하는 방식(Churchill and Lewis, 1983;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89)과 기업연륜, 규모, 성장률 등의 기업규모관련 변수들을 통해 성장단계를 도출하는 방식(Smith et al., 1985; Hanks et al., 1993; Van de Ven et al., 1984)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Greiner(1972)를 읽은 후에 스스로 자기회사의 성장단계를 평가하는 방식도 사용되었고(Churchill and Lewis, 1983), 사례분석 결과에 따라 사후적으로 연구자가 성장단계를 평가한 연구도 있다(Van de Ven et al., 1984). 성장단계를 도출하는 방법과 달리 기존 연구에서 각 성장단계별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분산분석(ANOVA)이 사용되었다.
그 외 독특한 방법론을 사용한 경우를 보면, Smith et al.(1985)이 12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게임을 진행하여 각 성장단계별로 경영자들의 경영우선순위(management priority) 변화를 연구하였다. Kazanjian and Drazin(1989)은 18개월의 시간간격을 두고 벤처기업(Technology Based New Venture)의 성장단계 이동을 측정하여 선형적인 성장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Hanks et al.(1993)은 기업상황(context)과 조직구조(structure) 변수를 이용하여 6개 성장단계 군집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Kazanjian and Drazin(1989)과는 다르게 비선형적인 성장을 주장한다.
참고문헌
◇ 곽성신(2005), 벤처기업의 육성과 코스닥시장의 역할, 한국자본시장연구원
◇ 강경모(2008), 코스닥 벤처기업의 자본조달방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 매경ECONOMY, 에프앤가이드(2009), 상장 코스닥 기업분석, 매일경제신문사
◇ 오성배(2005), 코스닥 벤처기업의 주가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호서대학교
◇ 장동관(2007), 코스닥등록 전후 벤처기업의 재무특성 분석, 한밭대학교
◇ 차영주(2002), 코스닥 벤처 기업의 투자 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키워드
추천자료
[벤처기업][벤처기업 전망]벤처기업의 개념, 벤처기업의 유형,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기업의 ...
[벤처기업][벤처기업창업][벤처창업][벤처산업][벤처회사][창업]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벤처기업][벤처창업][벤처기업창업][벤처산업]벤처기업의 발전,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기업...
[벤처기업][벤처창업][벤처기업창업][벤처]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유형, 벤처기업의 발...
[벤처기업][벤처기업창업][벤처산업][벤처창업][창업][벤처기업 육성]벤처기업의 발전, 벤처...
[벤처기업][벤처기업 특별조치법][벤처기업 마케팅전략]벤처기업 인증제도, 벤처기업 지원정...
[중소벤처기업][중소벤처기업 육성지원][중소벤처기업 정책자금][중소벤처기업 조세][중소벤...
[벤처기업기술평가][벤처기업기술평가 의의][벤처기업기술평가 현황][벤처기업기술평가 기술...
[벤처기업][벤처기업 유럽연합 사례][벤처기업 경영전략]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유형, ...
[벤처기업특허][특허신청]벤처기업특허의 준비, 벤처기업특허의 목적, 벤처기업특허의 유의점...
[벤처기업회계][세금][법인][법인세]벤처기업회계의 개념, 벤처기업회계의 목적, 벤처기업회...
[벤처기업평가][벤처기업평가 지침][벤처기업평가 항목][벤처기업평가 접근방법]벤처기업평가...
[벤처기업 사업계획서]벤처기업 사업계획서의 정의, 벤처기업 사업계획서의 필요성, 벤처기업...
[벤처기업][벤처기업 실무][벤처기업 성공][벤처기업 실패][벤처기업 특별조치법 시행]벤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