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격의 이해
1. 성격의 의미
1) 정 의
2) 성격의 구조 : 프로이드와 융을 중심으로
2. 성격발달이론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3) 뢰빙거의 자아발달이론
3. 환경과 성격발달
1) 권위주의적 부모
2) 부권의 상실
3) 모성애 결핍
4) 그레이트 마더
5) 아동학대
6) 부부싸움
4. 성격 교정
1) 조헤리 창
2) 성격 교정
1. 성격의 의미
1) 정 의
2) 성격의 구조 : 프로이드와 융을 중심으로
2. 성격발달이론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3) 뢰빙거의 자아발달이론
3. 환경과 성격발달
1) 권위주의적 부모
2) 부권의 상실
3) 모성애 결핍
4) 그레이트 마더
5) 아동학대
6) 부부싸움
4. 성격 교정
1) 조헤리 창
2) 성격 교정
본문내용
자신들의 부모이다. 부모가 불행한 결혼 속에서 심하게 다투고 공격하는 것을 보고 자랐다. 그래서 결혼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름다움과 행복이 아니라 돈으로 싸우고 상처주고 하는 부적 감정이다. 정신분석에 의하면 몸이 마르는 신경성 식욕 부진 증의 한 원인으로 어른 혐오 현상을 꼽는다. 즉, 크는 것은 어른이 되는 것이기에 이를 피하고자 살찌는 것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역시 자신의 가족사와 관련 깊다. 심하게 다투는 부모, 자식에 상처를 주는 부모를 통해 혐오조건이 형성된 것이다. 그래서 어른이 싫은 것이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 한다. 하지만 이것은 부부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부부끼리는 싸운 후 서로에게 미안해서 더욱 잘하려고 노력한다. 말 그대로 비온 뒤에 땅이 더 굳을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아니다. 부모가 싸울 때 마다 아이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 어릴 적 부모의 싸움 속에 불안해하던 경험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 순간 얼마나 불안 했는가! 어렸을 때 부모는 세상의 전부다. 가장 인정받고 싶은 대상이 서로를 향해 공격하고 있으니 얼마나 무섭고 떨렸겠는가! 만일 이런 경험이 어린 시절 내내 반복 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어린 시절의 상처는 뇌에 흔적을 남질 수 있다. 잘못하면 감정의 뇌가 위축 될 수 있다. 정신의학 용어에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ost-traumatic stress syndrome)이 있다. 정신적 상처는 후에 어떤 형태로 재현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이야기는 부모가 아이들의 상처를 치유해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이다. 부모가 정신을 차리고 아픈 상처를 사랑으로 대신 해준다면, 어린 시절의 사건은 과거로 남을 수 있다. 하지만 자식에게 이정도의 충격을 줄 수 있는 부모라면 자신들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린 시절 사건이 과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가 되고 미래가 될 수 있다.
4. 성격 교정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고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 방법에 대해 잘못된 생각들을 갖고 있다. 과외공부 받으면 성적이 올라가듯이 그런 식으로 성격 교정을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성격이란 쉽게 고쳐지고 변하는 것이 아니다. 성격은 유전과 경험(특히 초기경험)을 바탕으로 조금씩 아주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성격이 내가 마음먹는다고 그리고 제도적 장치를 이용한다고 고쳐지는 것은 아니다. 성격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은 딱 한 가지이다 바로 자기만의 끝없는 노력이다.
이 장에서는 노력의 한 방법으로서 조헤리 창을 응용하고자 한다. 노력의 첫 단계는 일단 자기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 된다. 그런 의미에서 조헤리 창은 자신을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한다.
1) 조헤리 창
조헤리 창(Johari Window)은 원래 자기개방과 피드백(feedback)이란 두 가지 중요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조셉 루프트와 해리 잉햄(Joseph Luft & Harry Ingham) 두 명의 심리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인간의 자아를 분석해 놓은 모형이다. 조헤리 창(Johari Window)이라는 명칭은 이들 두 학자의 이름(Jo+Hari=Johari)에서 따왔다.
조셉 루프트와 해리 잉햄에 의하면,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자아가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즉, 공개된 부분(open), 자신만 모르는 부분(blind), 자신만 아는 부분(hidden) 그리고 아무도 모르는 부분(unknow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창들의 크기와 형태는 상호 신뢰의 수준과 피드백 및 자아의 개방 정도를 나타낸다.
공개된 부분(open)
본인이 자신에 대해서 알고 동시에 타인이 자신에 대해서 알고 있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알고 있는 정보에 해당된다. 이를테면 특정인의 모습을 보고 알 수 있는 키, 몸무게, 눈 색깔, 신체적 특성 등에 관한 것이다
자신만 모르는 부분(blind)
자기에 대해서 자신은 모르면서 타인이 알고 있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자신도 모르는 습관, 버릇, 특성 등이 이에 포함된다. 자신의 이런 부분에 대해서 알 수 있는 방법은 타인과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피드백(feedback)을 얻는 것이다.
자신만 아는 부분(hidden)
자기에 대해서 남은 모르고 자신만 아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한다. 이 부분에는 몇 시에 일어나느냐하는 아주 사소한 정보부터 사적인 치부에 이르는 중요 정보까지 아주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신을 은폐하는 이유는 공개함으로써 공격을 받거나 약점을 잡히거나 자존심이 손상당할 것이라는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의 노출은 관계의 신뢰수준 정도, 당사자의 자존심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무도 모르는 부분(unknown)
자신에 대해서 타인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모르는 부분이다. 이를테면 프로이드(Freud)가 말하는 무의식의 부분에 해당된다.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2) 성격 교정
성격 교정과 인간관계의 발전을 원하는 사람들은 먼저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
사적 자기 층의 최소화
첫째, 좀 거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적인 자기 층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하고 대신 공적인 자기 층을 최대화 시키도록 해야 한다.
피드백의 수용
둘째, 좀 더 세부적인 사항으로 들어가 주변인의 피드백(feedback)을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주변의 누군가가 자신이 몰랐던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 이를 받아들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자기노출
셋째, 역시 세부적인 노력으로서 자신을 노출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자기만 알고 있는 숨겨진 자아를 남들에게 공개하는 그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방어기제 차단
넷째, 타인의 피드백(feed back)을 수용하고 자아를 개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누구나 감추고 싶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이 부분을 자극할 때 사실을 인정하는 대신 방어하는 자세로 나온다. 따라서 프로이드는 방어 자세를 본능이라고 했다. 피드백(feed back)의 수용과 자아개방의 노력을 막는 방어기제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한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 한다. 하지만 이것은 부부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부부끼리는 싸운 후 서로에게 미안해서 더욱 잘하려고 노력한다. 말 그대로 비온 뒤에 땅이 더 굳을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아니다. 부모가 싸울 때 마다 아이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 어릴 적 부모의 싸움 속에 불안해하던 경험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 순간 얼마나 불안 했는가! 어렸을 때 부모는 세상의 전부다. 가장 인정받고 싶은 대상이 서로를 향해 공격하고 있으니 얼마나 무섭고 떨렸겠는가! 만일 이런 경험이 어린 시절 내내 반복 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어린 시절의 상처는 뇌에 흔적을 남질 수 있다. 잘못하면 감정의 뇌가 위축 될 수 있다. 정신의학 용어에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ost-traumatic stress syndrome)이 있다. 정신적 상처는 후에 어떤 형태로 재현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이야기는 부모가 아이들의 상처를 치유해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이다. 부모가 정신을 차리고 아픈 상처를 사랑으로 대신 해준다면, 어린 시절의 사건은 과거로 남을 수 있다. 하지만 자식에게 이정도의 충격을 줄 수 있는 부모라면 자신들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린 시절 사건이 과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가 되고 미래가 될 수 있다.
4. 성격 교정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고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 방법에 대해 잘못된 생각들을 갖고 있다. 과외공부 받으면 성적이 올라가듯이 그런 식으로 성격 교정을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성격이란 쉽게 고쳐지고 변하는 것이 아니다. 성격은 유전과 경험(특히 초기경험)을 바탕으로 조금씩 아주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성격이 내가 마음먹는다고 그리고 제도적 장치를 이용한다고 고쳐지는 것은 아니다. 성격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은 딱 한 가지이다 바로 자기만의 끝없는 노력이다.
이 장에서는 노력의 한 방법으로서 조헤리 창을 응용하고자 한다. 노력의 첫 단계는 일단 자기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 된다. 그런 의미에서 조헤리 창은 자신을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한다.
1) 조헤리 창
조헤리 창(Johari Window)은 원래 자기개방과 피드백(feedback)이란 두 가지 중요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조셉 루프트와 해리 잉햄(Joseph Luft & Harry Ingham) 두 명의 심리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인간의 자아를 분석해 놓은 모형이다. 조헤리 창(Johari Window)이라는 명칭은 이들 두 학자의 이름(Jo+Hari=Johari)에서 따왔다.
조셉 루프트와 해리 잉햄에 의하면,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자아가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즉, 공개된 부분(open), 자신만 모르는 부분(blind), 자신만 아는 부분(hidden) 그리고 아무도 모르는 부분(unknow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창들의 크기와 형태는 상호 신뢰의 수준과 피드백 및 자아의 개방 정도를 나타낸다.
공개된 부분(open)
본인이 자신에 대해서 알고 동시에 타인이 자신에 대해서 알고 있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알고 있는 정보에 해당된다. 이를테면 특정인의 모습을 보고 알 수 있는 키, 몸무게, 눈 색깔, 신체적 특성 등에 관한 것이다
자신만 모르는 부분(blind)
자기에 대해서 자신은 모르면서 타인이 알고 있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자신도 모르는 습관, 버릇, 특성 등이 이에 포함된다. 자신의 이런 부분에 대해서 알 수 있는 방법은 타인과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피드백(feedback)을 얻는 것이다.
자신만 아는 부분(hidden)
자기에 대해서 남은 모르고 자신만 아는 자기(self)의 부분을 말한다. 이 부분에는 몇 시에 일어나느냐하는 아주 사소한 정보부터 사적인 치부에 이르는 중요 정보까지 아주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신을 은폐하는 이유는 공개함으로써 공격을 받거나 약점을 잡히거나 자존심이 손상당할 것이라는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의 노출은 관계의 신뢰수준 정도, 당사자의 자존심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무도 모르는 부분(unknown)
자신에 대해서 타인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모르는 부분이다. 이를테면 프로이드(Freud)가 말하는 무의식의 부분에 해당된다.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2) 성격 교정
성격 교정과 인간관계의 발전을 원하는 사람들은 먼저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
사적 자기 층의 최소화
첫째, 좀 거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적인 자기 층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하고 대신 공적인 자기 층을 최대화 시키도록 해야 한다.
피드백의 수용
둘째, 좀 더 세부적인 사항으로 들어가 주변인의 피드백(feedback)을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주변의 누군가가 자신이 몰랐던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 이를 받아들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자기노출
셋째, 역시 세부적인 노력으로서 자신을 노출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자기만 알고 있는 숨겨진 자아를 남들에게 공개하는 그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방어기제 차단
넷째, 타인의 피드백(feed back)을 수용하고 자아를 개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누구나 감추고 싶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이 부분을 자극할 때 사실을 인정하는 대신 방어하는 자세로 나온다. 따라서 프로이드는 방어 자세를 본능이라고 했다. 피드백(feed back)의 수용과 자아개방의 노력을 막는 방어기제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한다.
추천자료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연구와 교육에의 시사점 및 프로이트와 에릭슨 이론의 공통...
아돌프 히틀러 성격 심리 - 앨리스, 아들러와의 가상토론
우리 아이들의 성격발달에 관한 고찰 PPT 교육심리학적 접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매슬로우(Maslow) 자아실현접근 (성격심리)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심리유형 검사)의 개요, MBTI 성격유형별 학습전략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설명 하고 6세 이전에 형성된 성격은 변하기 어렵다는 프로...
[교육심리학]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 교육적 ...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레포트
(((교육심리학 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및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우울장애와 우울성 성격장애
칼 융의 분석 심리학적 성격 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