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과거 여성의 전문직 종류
궁녀
의녀
기녀
다모
무녀
유심히 보아야 할 점
1.궁녀
-궁녀는 언제부터 존재했는가?
-궁녀는 누구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궁녀의 삶은 어떠한가?
-궁녀의 직위체계는 어떠한가?
2.의녀
-의녀란 누구인가?
-의녀제도에 대해서
-의녀의 역할은?
3. 기녀
-기녀란 누구인가?
-기녀의 유래는?
-기녀에게도 등급이 있었나?
-기녀에도 종류가 있었는가?
4.무녀
-무녀란 누구인가?
-무녀가 필요했던 이유는?
-무녀의 유형
-무녀는 시대적으로 어떤 모습?
5.다모
-다모는 존재했던 여성 직위?
-다모의 역사적 기록은 어떠한가?
-다모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다모의 임무는?
대전회통이 정의한 ‘궁녀’
대전 회통에 의하면
'궁녀란 궁중 여관의 별칭으로 상궁 이하의 궁인직' 이것은 즉 궁녀란 궁중에서 일하는 여성 관리라는 뜻이다
궁녀는 언제부터 존재했는가?
이 궁녀들은 언제부터 있었던 것일까?
* 삼국시대
백제 의자왕과 삼천 궁녀의 전설 (세종실록 책 표지내용 한문으로 기록되어있음)
'의자왕이 신라에게 패하게 되자 궁녀들이 이 바위로 달아나 스스로 강물에 떨어져 죽었으므로 낙화대라 하였다'
- 이 기록으로 볼 때 삼천 궁녀는 과장이라 하더라도
삼국시대에 궁녀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고려시대
-본격적인 궁녀제는 고려시대때 시작
-그것을 이어 조선시대 초기에 구체적인 규정과 체제를 마련한 것
이때 정비된 궁녀제는 조선말까지 그대로 유지
궁녀의 범위
궁녀의 범위
궁녀란 좁게는 상궁과 내인을 말하고
넓게는 무수리나 비자같은 하녀들까지 포함된다.
궁녀로서 최고의 위치에 오른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정빈이씨 진종 생모
추존된 왕 진종의 어머니인 정빈 이씨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
장희빈으로 더 유명한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
추존왕 원종의 생모인 인빈 김씨
비운의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
영친왕의 생모인 순헌귀비 엄씨
(이중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명은 궁녀 출신이다.)
궁녀
의녀
기녀
다모
무녀
유심히 보아야 할 점
1.궁녀
-궁녀는 언제부터 존재했는가?
-궁녀는 누구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궁녀의 삶은 어떠한가?
-궁녀의 직위체계는 어떠한가?
2.의녀
-의녀란 누구인가?
-의녀제도에 대해서
-의녀의 역할은?
3. 기녀
-기녀란 누구인가?
-기녀의 유래는?
-기녀에게도 등급이 있었나?
-기녀에도 종류가 있었는가?
4.무녀
-무녀란 누구인가?
-무녀가 필요했던 이유는?
-무녀의 유형
-무녀는 시대적으로 어떤 모습?
5.다모
-다모는 존재했던 여성 직위?
-다모의 역사적 기록은 어떠한가?
-다모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다모의 임무는?
대전회통이 정의한 ‘궁녀’
대전 회통에 의하면
'궁녀란 궁중 여관의 별칭으로 상궁 이하의 궁인직' 이것은 즉 궁녀란 궁중에서 일하는 여성 관리라는 뜻이다
궁녀는 언제부터 존재했는가?
이 궁녀들은 언제부터 있었던 것일까?
* 삼국시대
백제 의자왕과 삼천 궁녀의 전설 (세종실록 책 표지내용 한문으로 기록되어있음)
'의자왕이 신라에게 패하게 되자 궁녀들이 이 바위로 달아나 스스로 강물에 떨어져 죽었으므로 낙화대라 하였다'
- 이 기록으로 볼 때 삼천 궁녀는 과장이라 하더라도
삼국시대에 궁녀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고려시대
-본격적인 궁녀제는 고려시대때 시작
-그것을 이어 조선시대 초기에 구체적인 규정과 체제를 마련한 것
이때 정비된 궁녀제는 조선말까지 그대로 유지
궁녀의 범위
궁녀의 범위
궁녀란 좁게는 상궁과 내인을 말하고
넓게는 무수리나 비자같은 하녀들까지 포함된다.
궁녀로서 최고의 위치에 오른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정빈이씨 진종 생모
추존된 왕 진종의 어머니인 정빈 이씨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
장희빈으로 더 유명한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
추존왕 원종의 생모인 인빈 김씨
비운의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
영친왕의 생모인 순헌귀비 엄씨
(이중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명은 궁녀 출신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절약교육의 운영범위와 목표, 에너지절약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에너...
[증권피해구제][증권시장사기이론]증권피해구제의 범위, 시장사기이론(증권시장사기이론)의 ...
지방정부 예산구조 하에서의 사회복지 재정범위에 관한 논고
가족정책 유형화를 위한 준거) 가족정책의 범위, 탈가족화와 가족화를 통해 본 가족정책 유형...
마케팅 근시가 소비자 니즈, 경쟁시장의 범위규명 그리고 시장세분화와 어떠한 의미(또는 관...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UN아동권리협약, 유엔아동권리협약) 범위,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UN아...
사회복지법상의 법률관계,효력 (적용범위), 주체, 헌법상의 생존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법상...
2014년 2학기 환경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2학기 컴파일러구성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환경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컴파일러구성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환경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컴파일러구성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환경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